• Title/Summary/Keyword: 국소침식

Search Result 1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xperimental Study for Beach Process by Construction of Offshore Structure (외해구조물 건설에 따른 해빈 변형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이중우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2 no.2
    • /
    • pp.96-106
    • /
    • 2000
  • Though the recent years, large scale structures have been built on offshore for utilization of coastal ocean space as offshore airport and marine terminals. Sometimes, those big scale structures, however, happened to act as significant barriers against waves and severe beach erosion would take place on the coast. The present study deals nearshore topography changes affected by construction of an offshore structure with different distance from the shore. The series of three dimensional movable bed experiments have been examined in detail. Moreover, in order to make clear the relation of nearshore currents and local erosions behind offshore structure, the nearshore currents are calculated by Boussinesq equation model and compared with the same scale condition of the physical model experiments.

  • PDF

A study on the change of sediment yields and erosion spatial distribution by rainfall variation (강우집중에 따른 토양침식의 공간분포 및 침식량 변화에 관한 연구)

  • Kim, Seong Won;Lee, Dae Eop;Jeong, Anchul;Lee, Gi 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21-121
    • /
    • 2021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국내의 강우량과 강우패턴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최근 30년 여름철 집중호우의 평균강수량은 1980년 694.5 mm에서 2000년대 768.7 mm로 평균강수량이 74.2 mm 증가하였다. 평균강수일수는 36일에서 40일로 약 4일 증가하였다. 집중호우의 증가로 국소적 홍수에 의한 재해규모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토양침식은 물의 순환과정에서 있어 나타나는 하나의 현상으로 토양손실을 의미한다. 강우량과 지형 및 토양특성이 토양침식량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이다. 토양침식은 농경지 감소, 고탁수 하천유입, 하천 및 호소내 퇴적으로 인한 수생태환경 변화 등의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토양침식량을 예측하기 위해 연평균 토양침식예측모형을 적용하고 있으며, 최근에 강우강도를 고려한 토양침식모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동일한 강우량을 Huff 방법을 이용하여 24시간 강수량 자료를 만들고 물리적기반 토양침식모형에 적용하여 나타나는 토양침식과 퇴적 공간분포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Local Scour According to the shapes of Piers (교각형태에 따른 교각주변의 국소세굴 형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hoi, Hong-Yun;Roh, Kyong-Bum;Jin, Young-Hoon;Park, Sung-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601-1604
    • /
    • 2006
  • 본 연구는 교각주위에 발생하는 국소 세굴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세굴공의 형태, 범위, 최대세굴심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한 교각 형태의 변화에 따른 교각주위의 국소세굴 변화 양상에 관한 실험을 수행 하였다. 정적세굴조건을 유지하면서 평형상태에 도달한 후 전형적인 세굴공의 형태는 교각전면부에서 반원이고, 교각후면부에서는 반타원의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교각형상으로 인한 상대세굴심은 마름모일 때 가장 크게 나타났다. 최대 세굴심은 흐름이 교각과 부딪쳐서 하강류가 발생하는 지점인 교각전면부에 발생되었다. 이는 하강류가 교각 전면부에 세굴공으로부터 하상물질을 세굴공 외부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본 실험을 통해 교각 후면부의 하류구간에서 교각에 의해 교란된 물의 흐름의 영향으로 인한 세굴공의 형상을 분석하여 보면 세굴공의 경사가 후면부에서는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었고, 하류구간에는 세굴공에서 침식, 이동된 토사가 퇴적되어 하상이 원 하상고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HAE UN DAE Beach Deformation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a Sea Wall (해운대 해수욕장 침식에 미치는 해안제방의 영향에 대하여)

  • Mun, Byeong-Hyeong;Kim, Ga-Ya;Lee, Seung-Hwi
    • Water for future
    • /
    • v.17 no.3
    • /
    • pp.197-209
    • /
    • 1984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into the local scour of wall-toe and the beach deformation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a seal wall. It has been performed to determine the values of the marine invertigation of HAE UN DAE and two dimensional Movable bed gydraulic model test. From the results of this work approtection method of HAE UN DAE beach erosion is established to reduce the amount of topography deformation by investigating the values of the constructive position of a sea wall, seabed slope, the maximum scour depth, the first and the second influence range, the maximum quantity of beach deformation, and the distance measured from the sea will to the maximum quantity of beach deformation.

  • PDF

Numerical Simulation for Winnowing Failure of Bed Protection (바닥보호공의 흡출 파괴에 대한 수치모의)

  • Ha, Sung Won;Kim, Tae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08-308
    • /
    • 2017
  • 국내 하천에 설치된 횡단구조물은 2009년을 기준으로 약 20,753개로 알려져 있으며 수위 유지, 하상고 유지 등의 목적을 가지고 설치된다. 그러나 낙차를 가진 빠른 유속의 흐름을 형성시켜, 하류 하상에서 국소 세굴을 발생시킨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횡단구조물 하류에 굴요성 구조(flexible structure)인 돌망태, 블록공, 사석 등으로 이루어진 바닥보호공(bed protection)이 설치되나 유실, 침하 등의 문제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피복 대책에서 일어날 수 있는 파괴 기구인 전단파괴, 흡출 파괴, 경계 파괴, 하상 형태 변화에 따른 하부 침식 중 흡출 파괴(winnowing failure)를 유발하는 흐름을 검토하기 위한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이때 흡출 파괴는 바닥보호공의 공극으로 미세한 하상 재료가 난류와 침투류의 작용에 의해 침식되어 바닥보호공이 침하되는 것을 말한다. 수치모의는 전산유체동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모형인 FLOW-3D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난류 모형으로 LES 모형을 적용하고 조밀한 격자를 부여하여 바닥보호공의 공극에서 발생되는 비교적 작은 척도의 와(vortex)를 해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치모의에 적용된 횡단구조물은 보, 물받이공, 바닥보호공으로 구성하였으며 특히, 바닥보호공의 형상은 구체(sphere)로 가정하여 다층으로 배치하였다. 바닥보호공의 공극 또는 구체 사이에서 발생되는 유속, 압력 등의 흐름특성을 분석한 결과, 바닥보호공 두께가 두꺼울수록 흡출 파괴에 대해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바닥보호공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입자영상유속계(Particle Image Velocimeter, PIV)와 같이 공극에서 흐름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과 병행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Prediction of burial depth over time evolution at seabed (해저면에서 시간변화에 따른 매몰심 변화 예측)

  • Seungho Lee;Hyoseob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76-476
    • /
    • 2023
  • 해저면에 놓인 물체는 주변의 국소 흐름 변화에 의해 해저면 전단응력이 국부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침식과 퇴적이 발생하게 되면서 해저면 지형의 변화에 의해 움직임이 발생한다. 이때 물체의 크기, 무게, 밀도와 형상에 따라 구름, 미끄러짐, 액상화 현상 또한 동반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저면에 놓인 물체의 시간변화에 따른 매몰심 변화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물체는 원형 단면의 실린더 형태로 고려했다. 시간변화에 따른 매몰심 변화를 평형 매몰심으로의 접근속도에 관련된 인수와 매몰심 변화량으로 기본방적식을 구성하였고, 이를 유한 차분식으로 수립하였다. 최종 평형 매몰심 계산은 Friedrichs et al.(2016)의 경험식을 사용하였다. 앞선 연구에서 김효섭 등(2016)은 시간에 따른 세굴심 변화 모델 STEP-K를 제시한 바 있다. 시간변화에 따른 연직방향 실린더 주변에서의 국소세굴심을 예측하는 기법으로, 해저면에 놓인 수평방향 물체 주변의 매몰심 발달을 예측하기 위해 매몰 발생에 대한 시간의 척도를 새롭게 제안하였다. STEP-K에서 사용했던 KC수를 대신해 흐름-단주기 파랑 공조시의 해저면의 전단응력을 대표할 수 있는 대표전단응력을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보정계수를 통해 현장 또는 실험실 단위의 자료가 가용한 경우 식을 보정할 수 있다. 제안한 매몰심 예측기법은 Elmore et al.(2007)의 매몰실험 관측자료를 활용하여 보정하였다. 결과적으로 보정자료에 대한 시간에 따른 매몰심의 변화양상을 잘 재현하였으며, 향후 우리나라 해양환경 자료를 활용한 보정을 통해 적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Hydraulic Characteristics Investigation due to the Change of GapWidth between Artificial Reefs (인공리프 개구폭 변화에 따른 흐름특성 고찰)

  • Kim, Kyu-Han;Shim, Kyu-T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8 no.6
    • /
    • pp.408-415
    • /
    • 2016
  • Small fishing ports and coastal structures installed in a relatively low sea water depth disturb the wave induced current and cause the collapse of equilibrium state of sediment transport. These structures creates diffracted waves and matter the concentration of waves to cause the beach erosion. In order to mitigate these eroding problems on the beach, many counter measurements were proposed such as detached breakwater, groin or headland; however, these methods interrupt the aesthetic view of sandy beach due to the exposed structures above the sea level and have difficulty of applying to those beaches with the good scenery. Furthermore, some of these methods create secondary environmental problems after the installations. To eliminate these problems, one of the countermeasures, artificial reefs have been selected and used worldwide to minimize the disturbance of the scenery and secondary effects on the environment. Meanwhile, it is important to set the design elements for installing the artificial reefs such as that of length, opening width, clearing distances from the shoreline and more. Nevertheless, there are no construction manuals or standards for designing the artificial reefs with these important design elements yet. In this study, different conditions of artificial reefs were used with various cases throughout hydraulic model test to precisely analyze the changes of waves and currents to propose the standards of design elements to install the artificial reefs.

Hydraulic Assessment of Channel Form on the Narrow Pass of Channel (하천 협착부에서 하도형태에 관한 하도수리학적 평가 -낙동강 선산지구를 중심으로 -)

  • Choi, Ho-Kyun;Kim, Won-Il;Ryu, Young-Hoon;Lee, Sam-Hee;Ahn, W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11-1715
    • /
    • 2007
  • 하천에서는 나라마다 하천마다 구간마다 독특한 하도특성을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70 %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로 인하여 특이한 하도형태의 모습을 보이는 구간이 산재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모습이 충적하도와 침식하도가 연속해 발생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이 하천 협착부 구간이다. 이러한 하천협착부 주변지역은 전형적인 수해상습 구간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우리 나라에서는 이러한 협착부 구간에서 하도특성을 반영한 연구 및 설계 사례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선산지역의 하천 협착부에서의 하도 수리학적 의미와 하도형태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래하천인 조사구간의 저수로 하상에서 아주 미세한 유사분급 현상은 확인할 수 있었지만, 명쾌한 자연 영력에 의한 유사분급 현상이라 판단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이는 완만한 하상경사, 균일성에 가까운 하상재료의 공급에 기인한다고 추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연적인 현상보다는 골재채취 등의 원인에 따른 유사분급이 확연하다고 추정되었다. 그리고 협착부의 배수구역에서 과거 활발했던 이동상 단단면 하도형태가 유심부의 이동과 더불어 최근 급격하게 복단면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저수로의 하폭이 크게 줄어드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궁극적으로 이상홍수 발생시의 복단면 가중 또는 홍수단면적 축소, 저수로에서의 호안 또는 제방 아래부분의 국소세굴이 야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원주교각에 대한 국부세굴 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원주형의 교각에서는 단일원주보다는 원주군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때 교각의 직경(D)에 대한 교각 사이 간격$(L_d)$의 비$(L_d/D)$에 따른 전면교각에서의 수류변화의 영향이 후면교각에 작용하여 상호 복합적인 흐름 및 세굴특성을 나타내므로 이와 같은 복렬형 원주군의 세굴특성을 파상형 원주교각에 적용하여 국부세굴의 크기 변화를 해석하였다. 따라서, 교각주위에서의 수류특성 및 세굴의 변동은 원주군 및 교각파상의 크기와 간격 등과 같은 구조물의 배열조건과 Froude 수, 수심 등의 수리학적 조건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의 조건을 체계적으로 변화시켜 가면서 교각주위에서의 국부세굴 및 세굴 감소특성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오목 및 볼록 파상형 원주 주위에서의 세굴크기는 원형원주와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오목형 $B/\acute{h}=3$에서는 세굴경감효과가 탁월하여 70%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볼록형 $B/\acute{h}=5$에서는 세굴촉진특성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파상형 원주에서는 하강류나 와류를 파상형의 내부로 유도하여 세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최적의 파상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원 분야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기본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았다. 또한 저자들의 임상병리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신증후군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

  • PDF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Mt. Bukhan Area (북한산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 박인협;이경재;조재창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 no.1
    • /
    • pp.1-23
    • /
    • 1987
  • To investigate the forest structure of Mt. Bukhan. ranging from Seoul to Kyongkido, twenty plots were set up by the vegetation physiognomy and veget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leading dominant tree species in canopy stratum, fores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large groups of natural forest communities, semi-natural forest communities and artificial forest communities, and each of them covered 82.64, 7.03, and 5.71% of Mt. Bukhan area, respectively. Pure or mixed natural forest communities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were major forest communities and covered 70.8% of Mt. Bukhan area. The important planted tree species were Robinia pseudoacacia, Pinus rigida, and Alnus birsuta and they were mainly planted at the southern slope and roadside. The degree of human disturbance of vegetation of 8, 7, and 6 area covered 82.64, 0, and 12.74%, respectively. According to forest dimensions, most of forest communities were young aged forests of which mean DBH was 20cm and canopy height below 10m. However, a few mature forest communities of Pinus densiflora or Quercus mongolica were found in the small area. The range of Shannon's species diversity of major natural forest communities, pure or mixed forest communities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was 1.085~1.242. According to stand dynamic analysis by DBH class distribution, the present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arid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ies may last long their present forest structure and most of other communities may be succeeded to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however, a few communities invaded by Robinia pseudoacacia and Quercus aliena-Quercus acutissima communities may be succeeded to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ies and Quercus aliena communities, respectively. DCA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this study. DCA ordination were showed that successional trends of tree species seem to be from Pinus densiflora through Quercus serrata. Prunus sargrntii. Sorbus alnifolia to Q. mongolica. Fraxinus mandsburica, F. rhynchophylla in the upper layer and from Zanthoxylum schinifolium, Lespedeza crytobotrya trough Rhus trichocarpa. Rh. verniciflua. Rhododendron mucronulatum. Rh. schlippenbachii to Acer pseudo-sieboldianus. Magnolia sieboldii, Euonymus sieboldianus.

  • PDF

Hydraulic Assessment about Correlation of Fluvial Movement and River Bed Form on the Narrow Pass of Channel (하천 협소부에서 하상 이동성과 형태와의 상관성에 관한 하도수리학적 평가)

  • Choi, Ho-Kyun;Kim, Won-Il;Lee, Sam-Hee;Ahn, Won-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2 no.2
    • /
    • pp.141-148
    • /
    • 2009
  • Each river in each country has peculiar channel characteristics at every section. Korea consists of mountains at the rate of 70%. Due to this, the sections that display unique channel form are scattered. One of the typical features is the narrow pass of channel section that presents in the process of the generation of alluvial channel and deformation channel. Around as this narrow pass of channel, it often comes to be regular flood disaster section. Regardless of this situation, investigations and plans that reflect channel characteristics at the narrow pass of channel have been wholly wanting until now. In accordance with this, we have investigated and analysed hydraulic significance and channel form of the narrow pass of channel in Seonsan in this study. The study has found real minute classification of sediment phenomenon at river bed of low flow channel on investigation section which is sand-bed river, but it was vaguely difficult to conclude that classification of sediment arises from explicit natural force. We were able to assume that the phenomenon comes from gentle bed slope, supply of river bed materials which is nearly uniformity. However, classification of sediment would come from collecting an aggregate rather than natural force. And we found that compound cross section conversion has been developing dramatically with channel form of movable bed section referring to movement which was active before at drainage district of the narrow pass of channel. With this, we could find the phenomenon that river width of low flow channel diminished largely. This kind of situation implies that it may cause compound section weighting, flood dimension decreasing, revetment at low flow channel or the local scour at bottom of levee when extraordinary flood occu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