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소규칙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High Voltage Electron Microscopy of Structural Patterns of Plastid Crystalline Bodies in Sedum rotundifolium (HVEM에 의한 둥근잎꿩의 비름 (Sedum rotundifolium L.) 색소체의 결정체 구조)

  • Kim, In-Sun
    • Applied Microscopy
    • /
    • v.36 no.2
    • /
    • pp.73-82
    • /
    • 2006
  • Major contributions has been made in cellular ultrastructure studies with the use of high voltage electron microscopy (HVEM) and tomography. Applications of HVEM, accompanied by appropriate image processing, have provided great improvements in the analysis of three-dimensional cellular structures. In the present study, structural patterns of the crystalline bodies that are distinguished in mesophyll plastids of CAM-performing Sedum rotundifolium L.,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HVEM and tomography. Tilting, and diffraction pattern analysis were performed during the investigation. The titlting was performed at ${\pm}60^{\circ}\;with\;2^{\circ}$ increments while examining serial sections ranging from 0.125 to $1{\mu}m$ in thickness. The young plastids exhibited crystalline inclusion bodies that revealed a peculiar structural pattern. They were irregular in shape and also variable in size. Their structural attributes affected the plastid morphology. The body consisted of a large number of tubular elements, often reaching up to several thousand in number. The tubular elements typically aggregated to form a fluster The elements demonstrated either a parallel or lattice arrangement depending on the sectioning angle. The distance between the elements was approximately 20nm as demonstrated by the diffraction analysis. HVEM examination of the serial sections revealed an occasional fusion or branching of elements within the inclusion bodies. Finally, a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of the plastid crystalline bodies has been attempted using two different image processing methods.

The effects of Korean logical ending connective affix on text comprehension and recall (연결어미가 글 이해와 기억에 미치는 효과)

  • Nam, Ki-Chun;Kim, Hyun-Jeong;Park, Chang-Su;Whang, Yu-Mi;Kim, Young-Tae;Sim, Hyun-Su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4.10d
    • /
    • pp.251-258
    • /
    • 2004
  • 본 연구는 연결어미가 글 이해와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연결어미의 효과와 글읽기 능력과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결어미로는 인과 관계와 부가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어미가 사용되었다. 앞뒤에 제시되는 두 문장의 국소적 응집성(Local coherence)을 형성하는데 연결어미가 도움을 준다면, 연결어미가 있는 경우에 문장을 이해하는 속도가 빨라지고 글 내용을 기억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예측하였다. 만일에 글읽기 능력이 연결어미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능력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면, 연결어미의 출현 여부와 읽기 능력간에 상호작용이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실험 1에서는 인과 관계 연결어미를 사용하여 문장 읽기 시간에 연결어미의 출현이 미치는 효과와 문장 회상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인과 관계 연결어미는 뒤의 문장을 읽는데 촉진적인 효과를 주었으며, 이런 연결어미의 효과는 읽기 능력에 관계없이 일관된 촉진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연결어미의 출현은 문장의 회상에 도움을 주었으며, 연결어미가 문장 회상에 미치는 효과는 읽기 능력의 상하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부가 관계 연결어미가 문장 읽기 시간과 회상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부가 관계 연결어미 역시 인과 관계 연결어미와 유사한 형태의 효과를 보였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는 인과 관계와 부가 관계 연결어미가 앞뒤 문장의 응집성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이런 연결어미의 글읽기에 대한 효과는 글읽기 능력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건이 복합 명사의 중심어 선택과 의미 결정에 재활용 될 수 있으며, 병렬말뭉치에 의해 반자동으로 구축되는 의미 대역 패턴을 사용하여 데이터 구축의 어려움을 개선하고자 한다. 및 산출 과정에 즉각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정보들은 현재 구축중인 세종 전자사전에도 직접 반영되고 있다.teness)은 언화행위가 성공적이라는 것이다.[J. Searle] (7) 수로 쓰인 것(상수)(象數)과 시로 쓰인 것(의리)(義理)이 하나인 것은 그 나타난 것과 나타나지 않은 것들 사이에 어떠한 들도 없음을 말한다. [(성중영)(成中英)] (8) 공통의 규범의 공통성 속에 규범적인 측면이 벌써 있다. 공통성에서 개인적이 아닌 공적인 규범으로의 전이는 규범, 가치, 규칙, 과정, 제도로의 전이라고 본다. [C. Morrison] (9) 우리의 언어사용에 신비적인 요소를 부인할 수가 없다. 넓은 의미의 발화의미(utterance meaning) 속에 신비적인 요소나 애정표시도 수용된다. 의미분석은 지금 한글을 연구하고, 그 결과에 의존하여서 우리의 실제의 생활에 사용하는 $\ulcorner$한국어사전$\lrcorner$ 등을 만드는 과정에서, 어떤 의미에서 실험되었다고 말할 수가 있는 언어과학의 연구의 결과에 의존하여서 수행되는 철학적인 작업이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철학적인 연구의 시작으로 받아들여지는 이 의미분석의 문제를 반성하여 본다.반인과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결과가 옳다면 한국의 심성 어휘집은 어절 문맥에 따라서 어간이나 어근 또는 활용형 그 자체로 이루어져

  • PDF

The reliability of the cephalogram generated from cone-beam CT (Cone-beam CT로부터 제작된 측모 두부계측방사선사진의 정확도 평가)

  • Kang, Ji-Young;Kim, Kwang-Won;Lim, Sung-Hoon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7 no.6
    • /
    • pp.391-399
    • /
    • 2007
  • Three-dimensional approaches for the diagnosis and analysis of the dentofacial area are becoming more popular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cone-beam CT (CB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cephalometric measurements of lateral cephalograms generated from a CBCT image by making comparisons with the traditional digital lateral cephalogram, an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the clinical application of CBCT generated cephalogram images. Methods: Twenty patients whose external auditory meatus could be identified in the CBCT image were selected, and both CBCT and digital cephalograms were taken. Differences between the measurements of both cephalograms were tested by paired t-test. Results: Among the 22 measurements used, only U1-FH, Mx6 to PTV, and maxillomandibular differe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BCT generated cephalogram and the digital cephalogram.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BCT generated cephalogram can be used for some cephalometric measurements not requiring porion, PTV, condylion as a landmark (SNA, SNB, U1 to SN, IMPA, interincisal angle, etc.).

The Effect of Hyperthermia Combined with Radiation on Crypts of the Mouse Jejunum (마우스공장 소낭선의 방사선 효과에 온열요법의 병용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Bae, Hoon-Sik;Park, Charn-Il;Kim, Jung-Ji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5 no.1
    • /
    • pp.13-21
    • /
    • 1987
  • The effect of local hyperthermia of 41 to $43^{\circ}C$ for 30 minutes on radiosensitivity of normal tissue was studied utilizing jejunal crypt microcolony assay. Hyperthermia of this range enhanced the radiation effect and the effect was mainly additive without significant effect on the slopes of cell survival curves. At the isoeffect level of 20 microcolony formation, the thermal enhancement ratio was 1.02, 1.10 and 1.39 for $41^{\circ},\;42^{\circ}\;and\;43^{\circ}C$,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of microcolony forma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jejunum was not uniform, having more colonies around the mesenteric border, and this suggests the effect of uneven cooling by blood circul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