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부거동

Search Result 44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ubstrucuring Technique for Local Vibration of Building Structures (부분구조법에 의한 건축물의 국부진동해석)

  • 이동근;안상경;김진구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2 no.1
    • /
    • pp.57-66
    • /
    • 1999
  • 국부진동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일부 부재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물 전체의 대하여 동적해석을 수행하는 것은 비경제적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부진동의 효율적인 해석을 위하여 부분구조법을 사용하였다. 선택된 부재의 해석에 사용할 경계조건을 구하기 위하여 자유도를 응축하는 행렬응축기법을 사용하였다. 해석의 정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경계조건을 고정지지와 단순지지한 경우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부분구조기법을 이용하면 가진층에 대해서는 효율적으로 매우 정확한 거동을 예측할 수 있지만, 가진층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대한 거동 예측 시에는 다소 오차가 발생한다.

  • PDF

Postbuckling Analysis of laminated composite-stringer stiffened-Curved panels Loaded in Local compression. (국부 압축력을 받는 스트링거 보강 복합적층 만곡 판넬의 좌굴후 거동해석)

  • 김조권
    • Composites Research
    • /
    • v.13 no.1
    • /
    • pp.25-32
    • /
    • 2000
  • In this paper, postbuckling behavior of laminated composite-stringer stiffened-curved panels loaded in local compression is analyzed using the finite element program developed. Postbuckling Analysis is performed in dividing the panel behavior into three basic parts. The eight node degenerated shell element is used in modelling both panel and stiffeners, and the updated Lagrangian description method based on the 2nd Piola-Kirchhoff stress tensor and the Green strain tensor is used for the nonlinear finite element formulation. The progressive failure analysis is adopted in order to grasp the failure characteristics. The postbuckling experiment of the laminated composite-stiffened-curved panel had been done to verify the finite element analysis. The buckling load and the postbuckling ultimate load are compared in parametric study.

  • PDF

A Study on the Design Criteria Relating to the Local Buckling of Pultruded FRP Structural Compression Members (펄트루젼 구조압축재의 국부좌굴 설계규준 개발에 관한 연구)

  • Joo, Hyung Joong;Lee, Seung Sik;Yoon, Soon J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18 no.5
    • /
    • pp.597-606
    • /
    • 2006
  • Since FRP materials have various advantages over steel, many research activities to use them for the civil engineering applications are now in progress.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the local buckling behavior of FRP pultruded members as a first step toward the development of design criteria. In the design of compression members,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not only if local buckling occurs or not but also which plate component governs local buckling, but it is not easy to perform this work in a rigorous manner. In the present paper, a simple and accurate equation which can compute the coefficients of buckling of orthotropic plates and local buckling of pultruded compression members is suggested by performing rigorous analysis, energy analysis, and parametric study. The local buckling strength and the plate component governing the local buckling behavior of thin-walled pultruded compression members can be easily determined by using the proposed equation.

국부 화재에 노출된 강재 기둥의 거동 특성

  • Min, Jeong-Gi;Chae, Hak-Byeong;Kim, Tae-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11a
    • /
    • pp.31-32
    • /
    • 2013
  • 건축 구조물의 내화성을 판단하기 위한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가열로에서 규정된 표준가열곡선에 따라 시험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건축 구조물의 내화성을 빠르고 쉽게 판단하기에는 적합하나 지식의 발전과 함께 증가하는 성능기반설계법에 대해 합리적인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제 화재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국부화재에 대한 강재 기둥의 거동에 대해 평가하고 그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Correlation between Analysis and Experiment on Inelastic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Frame (철근콘크리트 골조의 비탄성 거동에 관한 실험 및 해석의 상관성)

  • 이한선;김상대;박철용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9 no.6
    • /
    • pp.255-266
    • /
    • 1997
  • 본 논문의 목적은 내진상세를 가진 철근콘크리트 골조의 비탄성 거동 예측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해석적 방법이 가지는 신뢰성을 검토하고 실험에서 실측할 수 없었던 내부 힘의 분포 및 변화과정을 관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미 실험이 수행된 2경간 2층 내진상세 모멘트-저항 철근콘크리트 평면골조(1)를 대상으로 ICARC 2D 프로그램(3)을 사용하여비탄성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가 실험결과에 최대한 일치하도록 관련 모델 변수들을 조절하였다. 이러한 해석결과가 실험결과와 어느 정도 일치하는 지 비교하였으며, 해석결과 얻어진 내부 힘의 발전과정을 관찰한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1)전체 횡력-횡변위 관계는 실험결과에 매우 유사하게 해석결과를 얻을 수 있다. (2)구조물의 힘의 분포 및 재분재 과정에 관련하여 해석은 구체적인 정보를 제사하였으며 실험결과 나타난 균열 및 변형결과와 대체로 일치한 소성힌지 발생과 파괴메카니즘을 나타내어 그 유용성을 입증하고 있다. (3)해석결과가 대체로 실험결가아 일치하나 국부거동과 관련하여 일부분 실제거동과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어, 보다 정확한 모델을 개발할 필요성을 느낀다.

Inelastic and Local Buckling Behavior of H-Beams with Web Opening under Cyclic Loadings (반복하중을 받는 H형강 유공보의 소성 및 국부좌굴 거동)

  • Lee, Eun Taek;Kim, Cheol Hwan;Oh, Woo H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15 no.3
    • /
    • pp.271-279
    • /
    • 2003
  •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describe the elastic and inelastic behavior of H-shaped beams with web openings, and were generally concentrated on the uniaxial loading conditions. With previous research results, the formulae for the design of beams with web openings, considering local buckling, have been proposed by Darwin. Although the formulae are so simple and useful to apply to real situations, it needs more research on cyclic loading conditions. In this experimental study, a total of seven H-shaped beams with circular web openings under cyclic loading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The dimension criteria were based on the formulae proposed by Darwin. The suitability of the existing design formulae, the effects of plastic hinges on beams with web openings, and the local bucking around the web openings to the beam strength under cyclic loading were also investigated through by the observations of the behavior of these beams with various dimensional openings.

Anchorage Zone Behavior and Analysis of Precast Prestressed Concrete Box-Girder Bridges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C) 박스거더 교량의 정착부 거동 및 해석)

  • 오병환;임동환;이명규;백신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1994.04a
    • /
    • pp.36-41
    • /
    • 1994
  •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상자형 교량의 정착부에 프리스트레스 힘이 도입되면, 과다한 국부집중 하중으로 인하여 균열이 발행할 수 있으며, 최근 이러한 교량의 건설시 텐던을 따라가며 심각한 균열이 발생한 경우가 있다. 본 논문은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상자형 교량의 정착부에 발생하는 국부집중 응력의 분포 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파괴기구 고찰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정착부 파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단면의 형상, 텐던의 배치상태, 국부보강 철근의 형태 및 구조보강 철근량 등을 변수로 하는 역학적 거동 실험 및 해석 연구가 수행되었다. 위의 실험 및 해석연구결과 정착부 파괴양상이 규명되었으며, 프리스트레스 정착부의 새로운 파괴기구 개념이 제시되어, 정착부 파괴과정을 적절히 설명하고 있다.

  • PDF

Determination of the Allowable Load for Trussed Web Beam (트러스웹을 가진 보의 허용하중 산정)

  • Kim, Myeong-H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2
    • /
    • pp.1-5
    • /
    • 2010
  • The efficient beam members for modern greenhouse need to be much lightweight with the required flexural and buckling strength.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and practicality of the trussed web beam recently proposed for column and beam members of greenhouse, the flexural behavior and buckling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the finite element approach. On the basis of analytical studies, the member design process was presented considering the lateral and local buckling behavior. Also, two improved alternatives which were capable of retaining the lateral and local buckling effectively were suggested.

Fracture Prediction in Concrete-Filled Square HSS Bracing Members (콘크리트충전 각형 강관 가새부재의 파단 예측)

  • Lee, Mi-Ji;Moon, Ki-Hoon;Han, Snag-Whan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583-586
    • /
    • 2011
  • 가새골조의 정확한 내진성능평가를 위해서는 실험과 유사한 이력거동과 파단 시점을 잘 예측할 수 있는 해석적 모델이 필요하다. 가새의 이력거동을 모사히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자들에 의해 제안된 물리적 이론 모델을 사용하였다. 또한, 가새부재의 국부좌굴에 의한 파단 예측을 위해 피로변수의 보정계수를 도입한 손상 지표를 개선하였다. 결과적으로 실험과 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콘크리트충전 각형 강관가새부재의 국부좌굴 효과를 반영한 피로 보정계수를 판폭두께비에 따라 회귀분석을 통해 결정하고, 본 연구에서 제안한 해석 모델의 결과와 이전 연구의 결과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 PDF

Study on numerical analysis for cable anchorage device of arch type cable stayed bridge for light railroad (경전철용 아치형 사장교의 보강형 정착구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 Kong, Byung-Sueng;Jeong, Ji-Chan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619-622
    • /
    • 2011
  • 케이블 정착구 검토를 위해서 사장교 전 체계를 모델링하는 것은 전체모델링 해석시 많은 노력과 시간이 요구되고 해석결과의 분석 또한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문제가 예상되는 부분만을 국부 상세해석하여 구조적 거동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케이블 정착부에는 여러 보강재들로 구성되어 있어 국부해석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실제와 가능한 한 근접하도록 모델링을 하고 전체 구조물의 거동을 국부 상세모델에 적적히 반영할 수 있도록 경계조건을 설정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부산 지하철 4호선의 아치형 사장교를 국내 범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인 MIDAS/CIVIL을 이용하여 아치리브와 거더정착구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해석 후 해석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정착부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 검토 분석 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