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방기획관리체계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rends and Strategies on Defense Information Technology based IT Convergence Technology (IT 융합기술 기반 국방정보 기술동향 및 발전전략)

  • Kye, J.E.;Lee, J.H.;Lim, D.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8 no.2
    • /
    • pp.132-144
    • /
    • 2013
  • 국방과학기술은 중장기 기획문서체계에 의해 체계적인 기술기획이 수립되고 있다. 또한 합동참모본부의 전략문서와 연계하여 국방과학기술의 중장기 전략을 수립한다. 무기체계는 지휘통제, 감시정찰 및 정밀타격체계로 구성되고, 핵심기술은 정보통신, 센서, 플랫폼 등 8대 기술 분야로 구성된다. 국방정보 기술은 국방에 관한 정보를 생산, 유통 또는 활용하여 국방 분야의 제반 활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미래 전장운용 개념 구현 및 국방경영 효율화를 지원하여 국방비전 및 국방개혁을 달성하는 핵심 기능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국방정보 기술 개발의 목적은 한반도 전 구역에서 실시간 및 근실시간으로 요구 수준 및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장가시화, 네트워크화된 지휘통제, 효과 중심 정밀타격, 전쟁지속을 위한 인사, 군수, 동원 등 통합지원체계를 구축하여 미래전 양상과 국방정보화의 특성을 고려한 실시간 정보공유 및 관리 가능한 정보화 환경을 구축하는 데 있다. 본고는 국방정보 기술 체계 및 요소기술에 대한 특성과 적용기술 및 발전 방향을 살펴본다.

  • PDF

무기체계 획득을 위한 평가분석제도 고찰

  • Jo, Nam-Tae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5 s.159
    • /
    • pp.32-37
    • /
    • 1992
  • 무기체계의 획득정책은 국가안보, 경제 및 사회 각 분야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므로 세계각국의 정책 또한 다양하나, 자국의 이익(권익)보호 차원에서는 동일할수밖에 없기 때문에 국가별로 특성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무기체계 획득과 관련하여 기획.계획 및 예산집행 평가체계를 국방기획관리제도(국방부 훈령 제421호)에 의거 제도화 하고 있으며, 운용면에서는 다소견해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어느 선진국 제도에 비교해도 뒤지지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우리의 획득관리시스템 이렇게 설계합시다

  • Kim, Hyeong-Bae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0 s.284
    • /
    • pp.22-33
    • /
    • 2002
  • 획득이란 군사임무 수행에 요구되는 무기체계나 서비스나 물자에 대하여 개념을 정립하고, 정책을 발전시키며 사업을 시작하여 무기체계를 개발하고, 생산하며 배치하고 운용하며 군수지원을 하고 개량하고 폐기하는 일련의 수명주기 활동에 필요한 업무를 통 털어 말한다. 따라서 획득관리란 획득이라는 개념에 대한 모든 관리활동을 말하며 획득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획득요원들에 대한 교육훈련이 포함되고 나아가서는 국방중기계획을 수립하고 예산을 획득하는 기획관리업무를 지원하는 활동까지는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 PDF

A Case Study of BSC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n Defense Information Planning Office (국방부 정보화조직의 BSC 성과관리체계 구축 사례)

  • Cho, Sung-Rim;Choi, Jong-Sup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585-591
    • /
    • 2005
  • 참여정부가 정부혁신 방안의 하나로 추진하고 있는 성과관리제도는 조직이 지향하는 목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성과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달성 여부를 판단하여 결과를 의사결정에 환류하는 경영관리기법이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공공분야의 성과관리제도는 정부업무평가, 직무성과계약제, 재정사업 성과관리제도 등 다양하다. 국방부는 정부 방침에 따라 성과관리체계를 구축함에 있어 내부의 성과관리뿐만 아니라 외부 평가제도를 지원하기 위한 통합성과관리체계를 구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국방부 정보화기획관실의 BSC 기반의 성과관리체계 구축 사례를 통하여 공공기관 정보화조직의 성과관리체계 구축 방향을 제안한다.

  • PDF

획득관리의 혁신방안 제언(2)

  • Kim, Hyeong-Bae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5 s.243
    • /
    • pp.30-35
    • /
    • 1999
  • 이 글은 그 동안 국방부에서 1970년대 국방기획관리제도를 만들때 참여하였고 중기계획과장으로 10여년간 근무한 경험과 국방과학연구소에서 8년간 연구개발을 지켜보았으며, 또한 1996년 사업관리 전문교육기관인 미국의 국방체계관리대학에서 최근 미국에 선풍적으로 일고 있는 획득개혁에 대하여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국방업무 중에서 앞으로 어떻게 획득관리 분야를 발전시켜야 할 것인가에 중점을 두고 우리에게 가능한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작성한 것이다

  • PDF

획득 관리의 혁신방안 제언(3)

  • Kim, Hyeong-Bae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6 s.244
    • /
    • pp.32-39
    • /
    • 1999
  • 이 글은 그 동안 국방부에서 1970년대 국방기획관리제도를 만들때 참여하였고 중기계획과장으로 10여년간 근무한 경험과 국방과학연구소에서 8년간 연구개발을 지켜보았으며, 또한 1996년 사업관리 전문교육기관인 미국의 국방체계관리대학에서 최근 미국에 선풍적으로 일고 있는 획득개혁에 대하여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국방업무 중에서 앞으로 어떻게 획득관리 분야를 반전시켜야 할 것인가에 중점을 두고 우리에게 가능한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작성한 것이다

  • PDF

획득관리의 혁신방안 제언

  • Kim, Hyeong-Bae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4 s.242
    • /
    • pp.18-25
    • /
    • 1999
  • 이 글은 그 동안 국방부에서 1970년대 국방기획관리제도를 만들때 참여하였고 중기계획과장으로 10여년간 근무한 경험과 국방과학연구소에서 8년간 연구개발을 지켜보았으며, 또한 1996년 사업관리 전문교육기관인 미국의 국방체계관리대학에서 최근 미국에 선풍적으로 일고 있는 획득개혁에 대하여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국방업무 중에서 앞으로 어떻게 획득관리 분야를 발전시켜야 할 것인가에 중점을 두고 우리에게 가능한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작성한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Defense Cyber Warfare Exercise (국방사이버전 연습체계 개선 방안 연구)

  • Kwon, Moon-Taek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9 no.4
    • /
    • pp.43-53
    • /
    • 2009
  • In the information society, information security is a critical issue for defense cyber network system. This paper provides a result of a study on the defense cyber exercise system for cyber warfare. So far, defense cyber exercise system has been uneffective and is not systematic even if several exercises has been implemented.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a systematic and integrated cyber exercise process is suggested. Under the suggested system, we expect that cyber exercise for cyber warfare will be implemented with more effective manner.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for Enhancing Utilization of Defense Critical Technologies (국방 핵심기술 활용성 증대를 위한 개선 방안 연구)

  • Cho, Il-Ryun;Kim, Chan-Soo;Noh, Sang-W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6
    • /
    • pp.120-125
    • /
    • 2018
  • Various security threats, such as North Korea's nuclear tests and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developments, are becoming issues. Considering the current security situation in South Korea, proper selection of weapons and efficient defense acquisition systems are essential. In this paper, we conduct a survey and analysis of the defense core technology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weapons systems, and review whether current defense research and development is carried out efficiently. A theoretical study was conducted on ways to enhance the linkage between defense core technology and weapons systems develop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necessity for development of weapons systems and the linking of defense core technology planning with the need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in enhanced utilization of defense core technology were derived. We propose a method for a long-term weapons systems concept plan that integrates defense core technology planning with forces planning and pre-project research programs to improve planning efficiency.

국방-IT융합을 위한 전략적 접근방안

  • Yu, Cheon-Su;Sim, Seung-Bae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8 no.4
    • /
    • pp.3-10
    • /
    • 2011
  • 본고에서는 산업-IT융합포럼의 국방 분과 운영 경험을 토대로 국방에 IT를 융합하여 발전시키기 위한 현안을 살펴보고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보화 관점에서 국방 내 외부 요인을 검토하여 1)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기술에 대한 군사적 적용가능성을 시험 검증하여 신속하게 도입할수 있는 방법 2) 검증된 상용기술 제품에 대하여 중장기 기획관리 절차를 생략하고 빠르게 전력화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 3) 무기체계 개발에 있어 국산 소프트웨어의 채택 4) 현 방산업체가 제작하는 무기체계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개발과 관련하여 일반기업에게도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방안을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특히, 기존 정보화보다는 큰 틀에서 국방과 IT의 융합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국가의 산업-IT융합 정책과 보조를 맞추되 국방 내부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IT 시범사업의 활성화, 상용 제품 및 기술의 검증을 위한 실험부대의 설치 및 운용 등의 다양한 개선대안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