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국민전선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8초

말레이시아 13대 총선: 사바주(Sabah)는 국민전선의 텃밭인가? (Malaysia's 13th General Election: Sabah-Barisan Nasional Fixed-Deposit State?)

  • 자이니 오스만;에코 프레이트노 조코;람리 돌라;암룰라 마레인닝;김종업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6권3호
    • /
    • pp.91-118
    • /
    • 2016
  • 말레이시아 사바주(Sabah)의 12대(2008)와 13대(2013) 총선의 결과는 독립 이후 말레이시아에서 여당 연합을 형성해 온 국민전선(Barisan Nasional: BN)은 서서히 사바주의 정치에서 지배력이 이전과 다름을 보여주는 의미있는 결과를 보여준다. 12대 총선 이후 사바주는 국민전선의 정치적 텃밭에서 서서히 정치적 영향력(특히 주의회 선거)이 약해됨을 보여준다. 비록 13대 총선에서 국민전선(BN)이 겉으로는 사바주의 연방의회 의원 의석을 가져가는 등 정치적 텃밭으로 보여주지만, 이전에 비해 득표력이 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사바주의 13대 총선 결과는 사바주를 여당 연합인 국민전선(BN)의 텃밭(fixed-deposit state)로 부를 수 있는지를 말레이 총선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하여 말레이시아의 12대와 13대 총선 결과를 토대로 하여 이전의 총선의 결과와 비교하여 정치적인 변화와 함께 사바주의 사회문화적 종교적 환경을 바탕으로 한 변화의 조짐을 분석하였다.

중국의 대만관련 싱크탱크에 관한 연구

  • 이광수
    • 중국학논총
    • /
    • 제70호
    • /
    • pp.197-219
    • /
    • 2021
  • 中國臺灣相關智庫反映了黨國體制的戰略目標, 智庫的屬性, 地域特性, 分爲國家型, 地方型, 大學型, 同時根據統一戰線戰略採取軟硬兼施的方法, 分爲獨立抑制型, 統一促進型, 教育交流型三種。另外, 臺灣相關智庫在解決臺灣問題的方式上, 正朝着確保交流領域的多元性, 交流方法的靈活性, 交流內容的獨創性的方向變化。但是, 兩岸關係根據臺灣執政黨的交替與否, 具有受到很大影響的特徵。因此, 中國爲了解決中國臺灣問題, 堅持了基本原則:首先遏制獨立, 其次促進統一, 最終完成統一。因此, 中國智庫希望通過分擔活動責任, 擴大與臺灣的交流領域, 交流渠道, 交流內容, 同時對臺灣政策決定過程和兩岸關係發展發揮影響力。另外, 大學型智庫還發揮着與兩岸年輕一代直接交流的窗口作用, 因此中國重視以中國爲中心解決方案"一國兩制和平統一方案"的教育和以反對"臺獨"爲重點的教育。

옥내용 전선의 전류변화에 따른 아산화동 증식현상

  • 최충석;김향곤;정헌상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90-93
    • /
    • 2000
  • 경제성장에 따른 국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편리하고 다양한 전기기구의 보급이 보편화되었으며, 전력수요 또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전기는 우리의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부분이 되었으며, 산업발전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그러나 전기로 인한 피해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1998년 총 화재 32,664건 중 전기화재가 10,897건으로 전체의 33.4%의 높은 점유율을 나타냈다. (중략)

  • PDF

말레이시아의 정치변동과 의회정치의 발전: 지속과 변화 (Political Change and the Development of Parliamentary Politics in Malaysia: Continuity and Change)

  • 황인원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2권2호
    • /
    • pp.201-238
    • /
    • 2012
  • This study analyses the nexus between political change and development of parliamentary politics in Malaysia. The continued and stable parliamentary politics did not necessarily associated with political development in Malaysia for the last five decades. Except the 1969 general election, the ruling coalition, Barisan Nasional(BN), has never been failed to obtain the two-third majority of parliamentary seats even though there has been regular general elections in every 4-5 years without any interruption. It is, however, worth noting that there has been dramatic political changes since the late 1990s. In particular, the 2008 general election showed the remarkable results, collapsing the two-third majority of BN's parliamentary seats. The opposition parties even took over the 5 state governments out of 12 in total. The more distinguished feature was the emergence of opposition coalition, called Pakatan Rakyak(PR), right after the 2008 general election. It was the first united coalition in Malaysia's modern political history among the severely divided opposition parties. Since its emergence, the PR has initiated various changes leading towards a more active parliamentary politics. In this regards, this study argues that parliamentary politics is no more regarded as a dependent variable in Malaysia's political process.

말레이시아 선거권위주의체제의 변화 가능성: 13대 총선을 중심으로 (The Possible Change of the Electoral Authoritarianism in Malaysia: By Focusing on the 13th General Election)

  • 황인원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4권1호
    • /
    • pp.45-87
    • /
    • 2014
  • This study traces the possibility of political change in the Malaysian electoral history, especially by focusing on the 13th general election held in May 2013. The results of the 13th general election was another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Malaysia's electoral politics. Following after the 12th general election held in 2008, opposition coalition(PR) achieves a remarkable electoral result by obtaining over 50% of the total votes. Opposition parties also successfully collapsed the ruling coalition(BN)'s two-third majority in parliamentary. It was de-facto defeat of the ruling coalition and victory of the opposition coalition. More precisely, the 2013 election results show that the reformasi movement, which was active in 1998-99 period, are still alive and its impact on Malaysian electoral politics get stronger. Malaysia has long been considered as a typical electoral authoritarian regime since its independence in 1957. It is because that there has been negative relations between electoral politics and political change through out its electoral history. As shown in the most recent two general elections held in 2008 and 2013, however, Malaysia's hegemonic political system can be possibly changed through electoral politics. This article examines the detailed results of the series of post-reformarsi general elections(1999, 2004, 2008, 2013)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s towards the nexus of electoral politics and political change under the electoral authoritarian regime in Malaysia.

해병대 전통정신계승 방안에 관한 연구 - 인천상륙작전 중심으로 - (The reserch of method of succession on ROK marine's spirit and tradition - Based on the Incheon landing Operation-)

  • 김호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6_1호
    • /
    • pp.15-24
    • /
    • 2016
  • 인천상륙작전은 1950년 9월 15일에 연합군과 한국 해병대가 실시한 한반도 최초의 연합상륙작전이었다. 인천상륙작전의 역사적 의의는 낙동강방어전선에서 반격을 위한 공세이전으로 전환시켜 수도 서울 탈환이라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 있다. 인천상륙작전간 한국해병대는 미군들의 주요지휘관들로부터 "한국 해병대의 철저한 전투수행에는 어떠한 결함도 발견할 수 없었다"고 격찬을 받으면서 위국헌신의 희생정신으로 한국해병대의 위용을 전 세계에 과시하였다. 오늘날 우리 해병대가 국민들에게 사랑과 신뢰를 받으면서 국민의 군대로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평시 강한 훈련을 통하여 유사시를 대비했기 때문이었다. 앞으로도 장병들의 주적개념과 국가관을 확립토록 정신교육을 강화하고 또한 강한 훈련을 통하여 싸우면 반드시 이긴다라는 자신감을 배양토록 힘써야 할 것이다. 특히 구타 및 가혹행위 등의 잘못된 전통을 척결하여야 할 것이다. 선배해병들의 피와 땀과 눈물어린 전통을 보다 계승 발전시켜 국민에게 신뢰받는 해병대가 되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전기공업진흥법의 조속한 제정을 촉구함

  • 한만춘
    • 전기의세계
    • /
    • 제24권2호
    • /
    • pp.99-99
    • /
    • 1975
  • 우리나라에서 지상과제인 경제개발, 특히 중화학공업육성에 있어서 전기공업이 치지하는 비중이 큰것을 다시 말할 필요가 없다. 전기공업은 전원개발과 산업발전에 필요한 전기 기기등 중전기공업은 물론, 전선, 케이블, 계장제어기기, 가정용 전기 기기 및 조명기구등 그 범위가 넓고 선진국에서도 대기업이 전기공업을 바탕으로 크게 성장하여 왔다. 80년대에 국민소득 1,000불, 수출 100억불을 목표로 하는 우리나라는 산업의 원동력인 전력수요의 계속적인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서 1986년에 1645만KW의 발전설비용량을 갖도록 하는 장기계획이 수립되여 전원개발이 추진되고 있는데 이에 수반되는 막대한 전기기기를 공급하고 나아가서는 수출을 신장하기 위해서 전기공업의 획기적인 발전을 강력히 기도되여야 할 단계에 왔다고 하겠다. 특히 전기공업은 그 부가가치가 크고 기술집약적이어서 정부방침과 같이 국산화방안이 강력히 추진된다면 금후 우리나라에서 크게 발전할 수 있는 업종이라고 하겠다.

  • PDF

유흥장의 방재설비 관련 실태분석 (The analysis of field condition for fire-fighting equipments in entertainment places)

  • 이건호;김기현;김종민;방선배;김한상;배석명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1-285
    • /
    • 2004
  •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서비스산업의 발달로 화재위험 건물로 분류되는 나이트클럽과 같은 유흥장은 전국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이들 시설의 이용객수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또한 규모가 대형화되고 화려해짐에 따라 전기설비도 복잡하고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한정된 장소에 수많은 전기설비의 설치로 전선 및 케이블이 집중되어 시공되는 유흥장의 특성상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항상 노출되어 있으며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로써 화재 발생시 대형 참사가 일어날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 그러나 화재시 인명이나 재산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한 방재설비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흥장 방재설비에 대한 관련법이나 규정을 소개하고 유흥장의 현장실태조사를 통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유흥장 방재설비의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송전선 철탑설계에 대하여

  • 김정부;홍부식
    • 전기의세계
    • /
    • 제28권10호
    • /
    • pp.9-16
    • /
    • 1979
  • 근래 우리나라의 국민소득이 높아짐에 따라 가전제품의 수요가 늘고, 중화학공업의 발달에 따라 전력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석유가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므로 기력발전소를 지양하고 대용량의 원자력, 양수발전소, 석탄발전소가 건설되고 있는 경향이 있다. 발전소는 입지조건상 해안 또는 강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수요지와는 거리가 멀고 또는 계통의 안전도(Stability), 신뢰도(Reliability)를 높이기 위하여 154KV와 345KV 송전선으로 전계통을 연계하고 있다. 송전선의 전력운송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복도체 또는 사도체로 하고 있으며 전선도 ACSR에서 TACSR로 하는 나라도 있다. 현재 미국에서는 765KV Canada에서는 735KV 송전선으로 운전되고 있으며 장차 1500KV 송전선도 곧 실용화된다고 한다. 이에 따라 송전선의 지지물인 철탑도 대형화되어가고 높이도 증가하게 되어 이의 제작및 건설비가 막대하게 들게되며 앞으로는 용지확보도 더욱 어렵게 되어 송전선의 회전수를 2 또는 4회선으로 건설하여야 될것이다. 송전선철탑설계는 종래에는 Cremona도식해법에 의하여 설계하였으나 이의 작도및 하중조건이 많아지면 부재의 정확한 설계하중을 산출하는 데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불편을 헤소하기 위하여 Ritter의 수치해석법(moment 방법)을 이용한 전산화 및 설계이론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