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국립대학교

검색결과 5,641건 처리시간 0.031초

솔잎(Pinus densiflora leaf) 추출물의 항비만효과 (Anti-Obesity Effect of Pinus densiflora Leaf Extracts)

  • 최민영;신별;유주형;여주호;이재원;금나경;안미연;정진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85-38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솔잎 추출물(PDL)의 항비만활성을 검증하기 위해, PDL이 3T3-L1에서 DMI/insulin에 의해 유도되는 과도한 지질 형성을 억제하는지 평가하였다. 본 결과를 미루어 볼 때, PDL은 지방세포의 adipogenesis과 관련된 PPARγ, CEBPα 그리고 perilipin-1의 발현을 억제하여 과도한 지질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PDL은 향후 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잠재적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PDL이 항비만 활성이 있는지 검증한 초기 단계 연구로 추가적인 기전연구와 동물기반 전임상 항비만활성 검증이 필요하다.

감마선 조사가 저염 명란(Theragra chalcogramma) 젓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salt Fermented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Roe)

  • 남기호;이현진;박노현;김동환;송민규;김종일;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302-309
    • /
    • 2022
  • Low-salt fermented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roe (Myungran Jeotgal, MJ),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eafood, was prepared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method and irradiated using gamma rays (0-10.0 kG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mma irradiation (GI) on food quality. After irradiation with 2.5 kGy gamma rays, the number of viable cells in MJ was reduced by one log compared to that observed in non-irradiated MJ, and no living cells were detected after 7.5 kGy GI. Though up to 2.5 kGy GI had no effect on color quality, over 7.5 kGy GI resulted in significantly poor quality MJ surface color. 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increased slightly in irradiated MJ, while those of polyenes and monoenes decreased slightly as the GI dose increased. Exposure of MJ to GI had no effect on the free amino acid and mineral composi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appropriate GI dose for MJ ranged from 2.5 to 5.0 kGy, which may be recommended for industrial application.

향어(Cyprinus carpio)를 활용한 반건제품의 제조 및 관능 특성 (Preparation and Sensory Properties of Semi-dried Israeli Carp Cyprinus carpio)

  • 이창영;박시형;박예은;최유리;이석민;오선화;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21-128
    • /
    • 2022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optimize the processing procedure of high-quality semi-alternating temperature dried Israeli carp Cyprinus carpio (SAD-IC) and to investigate the sensory properties of the product. Based on the differences in moisture content of the dorsal and ventral muscles, high quality SAD-IC was prepared by alternating the drying temperature between 4 h at 35℃, and 2 h at 5℃, three times before final drying for 2 h at 35℃. The surface in SAD-IC produced under the optimal alternating-temperature drying process had a markedly superior browning index value and softer texture compared to products produced using constant-temperature drying. SAD-IC produced from dorsal and ventral muscle had significantly superior taste values than the raw material.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D-IC has the potential to be industrialized.

스마트 온실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Implement of Web-based Remote Monitoring System of Smart Greenhouse)

  • 김동억;박노복;홍순중;강동현;우영회;이종원;안율균;한신희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4권4호
    • /
    • pp.53-61
    • /
    • 2022
  • 적절한 기후와 토양 조건을 조성하여 제어되는 온실에서 농작물을 재배하는 것은 중요한 연구 및 적용 과제가 되어왔다. 온실의 적절한 환경 조건은 최적의 식물 성장, 작물 수확량 향상을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온도센서, 토양 센서, 작물 센서, 카메라 등 각종 센서와 장비를 연결하는 온실 IT기술을 적용하여 농작물 재배 환경과 생육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웹 기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목적으로 하였다. 측정항목은 기온, 상대습도, 일사량, CO2 농도, 양액 EC, pH, 배지온도, 배지 EC, 배지 수분함량, 수액 흐름, 줄기 직경, 과실 직경 등이다. 개발된 온실 모니터링 시스템은 네트워크 시스템, 센서가 부착된 데이터 수집 장치, 카메라로 구성되었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서버/클라이언트 환경에서 구현되었다. 온실 환경 및 작물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저장된 정보 중 성장 및 환경에 대한 항목을 추출 비교하고 분석할 수 있다. 스마트 온실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스마트 온실 관리를 위한 환경 및 작물성장을 이해하고 응용 실무에 사용될 것이다.

다양한 첨가제에 따른 고투과성 역삼투막의 특성평가 (Evalu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High-Flux Reverse Osmosis Membranes with Various Additives)

  • 권현웅;임광섭;위자야 게데 헤리 아룸;한성민;김성헌;박준호;이동준;엄상민;남상용
    • 멤브레인
    • /
    • 제33권6호
    • /
    • pp.427-43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고투과성 및 높은 염 제거율을 가지는 역삼투막의 성능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첨가제 및 계면중합 시 경화 온도 및 시간에 따른 특성평가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첨가제가 없는 막과 첨가제를 첨가한 막의 모폴로지는 모두 "ridge-and-valley" 구조를 나타내어, 폴리아미드 층이 다공성 지지층 표면에 성공적으로 중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2-Ethyl-1,3-hexanediol (EHD) 첨가함으로써 향상된 친수성과 수투과율 가졌으며, 이는 접촉각 측정을 통해서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97.78%와 98.7%의 NaCl 및 MgSO4 제거율과 3.31 L/(m2⋅h⋅bar)의 높은 수투과율을 가진 고투과성 계면중합막을 제조하였다.

반도체 패키지용 Au Wire의 표면처리용 린스 성분에 따른 표면오염 비교 연구 (A Correlation Study on Surface Contamination of Semiconductor Packaging Au Wire by Components of Rinse)

  • 김하영;추연룡;임지수;박규식;김지원;강다희;라윤호;제갈석;윤창민
    • 접착 및 계면
    • /
    • 제25권2호
    • /
    • pp.63-68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반도체 패키지용 와이어 본딩 공정에서 금(Au) wire의 표면처리에 적용되는 린스의 종류에 따른 Au wire의 오염 현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Au wire의 표면처리를 위해 실리콘(Si) 성분이 함유된 린스와 유기 계통으로만 이루어진 린스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실제 영향성을 확인하기 위해 두 종류의 1.0wt% 린스 용액으로 Au wire에 표면처리를 진행하였다. 이후, 반도체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Si 성분이 포함된 분진과의 반응성을 확인하기 위한 모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optical microscopy(OM) 및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분석을 통해 Si 성분이 함유된 린스로 표면처리한 Au wire의 경우 분진이 다량 흡착되었으며, 유기 계통으로만 이루어진 린스로 표면처리한 Au wire에는 소량의 분진이 흡착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Si 성분이 함유된 린스의 경우 상대적으로 극성을 띠기에, 주성분이 극성인 분진과 극성 상호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Si 성분이 존재하지 않는 린스를 사용하여 Au wire를 표면처리할 경우 분진에 의한 오염 현상이 감소하여 실제 와이어 본딩 공정에서 불량률을 낮추는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