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내 주식형 펀드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Determination Factors of Mutual Fund Return (한국주식시장에서 주식형 펀드의 성과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Park, Bum-Ji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4 no.1
    • /
    • pp.85-107
    • /
    • 2007
  • In this study, I analyzed determinant factors of mutual fund return. The samples was distribut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ratio of included stocks in funds. The proxies of mutual funds were set up three ways(returns of fu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 found that growth positively affect to fund return, abnormal return and adjusted abnormal return in all samples. While, according to three types of sample, expected and unexpected fund cash flows had differently effect on fund return. Inferentially, it seemed that the ratio of included stocks in fund was the cause of that. But price pressure hypothesis are not supported. In conclusion, it was not found the possibility of stock market disturbance in this analysis.

  • PDF

우리나라 주식형 펀드의 투자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Jo, Dam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1 no.2
    • /
    • pp.109-130
    • /
    • 1994
  • 이 논문에서는 3대 투자신탁회사의 주식형 펀드의 투자성과를 측정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추가적으로 자산운용의 실무적 현실을 고려하여 각 펀드의 속성(주식편입비율 한도, 대상투자자, 운용회사)의 차이가 투자성과와 어떤 관련을 갖고 있는가를 분석함으로써 투자신탁에 내재하는 도덕적 위해의 문제를 노출시켜 보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3대 투신사의 29개 주식형 펀드에 대한 1984. 2분기${\sim}$1993. 1분기의 분기수익률 자료를 사용하여 시장예측능력과 포트폴리오 선택 능력을 측정하였다. 시장예측능력의 척도로서 Henriksson & Merton(1981)이 제시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선택 능력의 척도로서 Treynor & Black(1973)의 평가비율과 Fama(1972)의 순선택능력 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자산운용을 담당하는 투신사와 주식편입비율 한도에 관계없이 주식형 펀드들의 시장예측능력과 선택능력 모두가 음의 값을 보이 고 있다. 예외적으로 외국인전용 펀드의 투자성과는 내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투자신탁에 비하여 다소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표본으로 사용한 5개 외국인전용 펀드는 다른 펀드와 마찬가지로 음의 시장예측능력을 보여주고 있으나, 평가비율은 다른 포트폴리오들과는 달리 양의 값을 갖고 있고, 이들의 순선택능력은 음의 값을 보이긴 하지만 다른 포트폴리오보다 그 절대 값이 보다 작다. 이러한 결과는 외국인전용 펀드의 포트폴리오선택능력이 보다 우수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외국인전용펀드가 보다 나은 선택능력을 보여준 이유는 이들이 투자자문위원회라는 감시 장치를 갖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환언하면 국내투자자용 펀드의 열등한 투자성과는 감시장치가 없는 데 따른 일종의 도덕적(道德的) 위해(危害)로 해석된다.

  • PDF

Premium and the Future Net Asset Value Returns in he Korean Mutual Fund Market (폐쇄형 뮤추얼펀드의 프리미엄과 기대 운용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 Yoon, Young-Chul;Khil, Jae-Uk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7 no.2
    • /
    • pp.99-124
    • /
    • 2000
  • 폐쇄형 뮤추얼 펀드의 시장가격이 펀드의 순자산가치와 일치하지 않는 이상현상은 일찍이 재무분야에서 제기된바 있는 의문현상 중의 하나이다. 펀드의 프리미엄과 기대운용성과에 관한 연구 결과는 여전히 혼재된 상태이다. Chay and Trzcinka(1999)의 연구에 의하면 미국의 주식형 펀드는 평균 8.61% 할인되어 거래되고 있고 표준편차는 10.93%로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의 성장형 펀드의 경우 약 8.06% 할인율을 가지고 있고 펀드간에 9.35%의 표준편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1999년 4월말부터 2000년 8월말까지의 국내 성장형 뮤추얼 펀드의 일별 프리미엄과 순자산가치 수익률을 이용하여 펀드의 현재 프리미엄이 미래 기대운용성과 및 미래 기대시장위험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고 있는지를 검정하였다. 국내 성장형 펀드의 프리미엄과 기대운용성과 간의 실증분석 결과, Malkiel(1977), Thompson (1978), Pontiff(1995) 등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시장에서의 펀드 프리미엄과 미래 기대운용성과 와의 관계는 음(-) 또는 영(0)의 관계를 보였다. 과거의 운용성과와 미래의 기대 운용성과 간의 관계에서는 비유의적인 양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많은 기존 연구들에서 보여 주었던 과거 운용성과와 기대 운용 성과간의 평균유지현상이 국내 시장의 경우 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국내 펀드의 프리미엄과 기대시장위험에 관한 관계에서는 일정한 음의 유의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Pontiff(1995)의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Veri cation of the Style Consistency of Domesti Equity Mutual Funds Using Return-Based Style Analysis (수익률 기반 스타일 분석을 이용한 국내 주식형 펀드의 스타일 지속성 검증)

  • Kwon, In-Young;Song, Seong-Joo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3 no.5
    • /
    • pp.783-797
    • /
    • 2010
  • Based on the importance of asset allocation in the return of an investment portfolio, this article attempts to verify the appropriateness of mutual funds as means of investment to obtain optimal asset allocation. The return-based style analysis is applied to determine a mutual fund's allocation(or a style) among a set of specified asset classes. Assuming a particular investor who defines a range allowed a fund's style to differ from its original one, it is examined whether or not the fund style is continued over an investment time horizon. After verifying the fact that the original style of the investment fails to remain unchanged from the empirical analysis limited to domestic equity mutual funds, we further investigated the reasons for the style drift. Despite several limitations of the analysis, it yields the conclusion that domestic equity mutual funds do not seem to be an appropriate investment tool to achieve a target asset allocation.

Is There Timing Ability in Korean Equity Funds? (국내 주식형 펀드의 타이밍 능력은 존재하는가?)

  • Kim, Sang-Bae;Park, Jong-Goo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6 no.2
    • /
    • pp.93-11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rket timing and volatility timing abilities in Korean equity funds by distinguishing 'skill' and 'luck' for individual funds. In this study, we use the funds, which exist more than consecutive 24 month non-overlapping periods. This procedure leaves 545 funds among total 1,904 funds during sample priod January 2001 to December 2007. To derive the 'luck' distribution, the cross-sectional bootrap approach is adopted. From our results, it is found that when the traditional regression approach is adopted, only few Korean equity funds possess market timing and volatility timing abilities. However, based on the 'luck' distributions, which are derived from cross-sectional bootstrap approach, it is found that market timing and volatility timing abilities of Korean equity funds are merely from 'luck' rather than 'skill'.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Equity Funds in Korea (우리나라 주식형 펀드의 투자성과 평가)

  • Shin, Inseok;Cho, Sungbi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32 no.1
    • /
    • pp.97-129
    • /
    • 2010
  • We examine performance of actively managed equity funds in Korea for the period from 2002 to 2008 and investigate if fund managers have market timing abilities. We obtain the following findings: (1) average performance of funds evaluated at net return basis(net of expenses) is statistically indistinguishable from zero; (2) average performance of funds evaluated at gross return basis(before netting expenses) exceeds benchmark market returns significantly. More importantly, when funds are grouped by their size of expenses, higher performance is matched with larger expense; (3) the regression results for decomposing positive excessive returns of large-expense funds between market timing and stock selection ability are mixed. The first two findings of the paper are consistent with the Efficient Market Hypothesis a $l{\acute{a}}$ Grossman and Stiglitz(1980). Concluding remarks, however, need to be reserved since sources of excessive performance of funds with large expenses are yet to be clarifi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