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내골재

Search Result 22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Geology and Distribution of Crushed Aggregate Resources in Korea (국내 골재석산의 분포와 유형 분석)

  • Hong Sei Sun;Lee Chang Bum;Park Deok Won;Yang Dong Yun;Kim Ju Yong;Lee Byeong Tae;Oh Keun Chang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7 no.5
    • /
    • pp.555-568
    • /
    • 2004
  • The demand of aggregate resources in Korea has been increased with a rapid economic growth since the 1980s. About 25% of the total aggregate production is derived from riverine aggregates, 20% to 25% from marine sands, 40% to 45% from crushed aggregate and the rest 5% to 15% from old fluvial deposits. The abundance of crushed coarse aggregates varies in the uniform distribution of country, but in general it can be concentrated in the most densely populated areas, five main cities. Typical rock types of the Korean crushed stones are classified as plutonic rocks of 27%, metamorphic rocks of 32%, sedimentary rocks and volcanic rocks of 18%, respectively. The most abundant coarse aggregate used in the country is obtained from granite (25% of total) and subordinately gneiss (20%), sandstone (10%) and andesite (10%). Although rock types using as dimension stone are only fifteen, those as aggregate amount up to twenty nine rocks. These rocks consist of plutonic rocks such as granite, syenite, diorite, aplite, porphyry, felsite. dike and volcanic rocks such as rhyolite, andesite, trachyte, basalt, tuff, volcanic breccia and metamorphic rocks such as gneiss, schist, phyllite, slate, meld-sandstone, quartzite, hornfels, calc-silicate rock, amphibolite. And sandstone, shale, mudstone, conglomerate, limestone, breccia, chert are main aggregate sources in tile sedimentary rocks. The abundance of plutonic rocks is the highest in Chungcheongbuk-do, and decreases as the order of Jeollabuk-do, Gangwon-do and Gyeonggi-do. In Jeollanam-do, volcanic aggregates occupy above 50%, on the contrary sedimentary aggregates are above 50% in Gyeongsangnam-do.

콘크리트의 고온에서의 특성

  • 태순호;이병곤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7.05a
    • /
    • pp.19-24
    • /
    • 1997
  • 콘크리트 구조물이 고온에 가열되면 그 성질이 변화하여 구조물은 다양한 영향을 받는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고온에서의 성상은 시멘트의 종류, 골재의 성질, 배합비, 함수율, 재령 등에 의해 다르다. 콘크리트의 열성질에 관한 외국에서의 연구는 다수 보고되었으나 국내에서 연구한 결과는 없으며 특히 시멘트의 종류, 골재의 성질 등에 따라 고온에서의 성상이 다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시멘트, 골재를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콘크리트 배합을 일반 구조물 및 아파트 현장에서 사용하는 배합비로 시험체를 제작ㆍ실험하였다. (중략)

  • PDF

Properties of Lean Mixed Mortar with Various Replacement Ratio of Coal Gasification Slag (석탄가스화발전 용융슬래그의 치환율 변화에 따른 빈배합 모르타르의 특성 분석)

  • Park, Kyung-Taek;Han, Min-Cheol;Hyun, Seung-Y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9 no.5
    • /
    • pp.391-399
    • /
    • 2019
  • This study reviewed the possibility of recycling into exhausted aggregate resources in Korea as a means of utilizing coal gasification slag(CGS) from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IGCC) while being commissioned in order to introduce the new system to Korea. In other word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insufficient aggregate resources, CGS generated by IGCC as a residual aggregate for concrete secondary products, which is an empty mortar, was considered to replace CGS in the range of 0 to 100 % for mixed residual aggregate mixed with crushed sand A(CSa) of good quality and sea sand(SS) of deep particles, which are the most commonly used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According to the study, replacing CGS with CSa or crushed sand B(CSb)+SS by 25 % to 50 % resulted in good results in the aspect of the granularity of the aggregate and the workability and compressive strength of cement mortar, which were found to be usable.

A Study on the Chemical Reaction of Crushed Aggregates (국내 쇄석골재의 화학반응성 연구)

  • 이장화;김성욱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7 no.1
    • /
    • pp.136-144
    • /
    • 1995
  • 근래 양질의 하천골재가 거의 고갈상태에 직면함에 따라 쇄석골재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실정에 비추어 볼 때 골재의 화학반응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실제 쇄석골재를 생산하는 238곳 중 63곳의 시료골재를 채취하여 화학적, 광물학적, 모르터 바 분석실험을 실시하여 골재의 화학반응성을 규명하였다. 분석시험 결과 대부분의 시료골재가 화학반응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광물학적 분석에서 유해광물로 알려진 성분들이 여러 시료골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따라서 해사의 사용 등 점차 화학반응 환경이 공존하게 되면 골재의 화학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이 커지므로 계속적이고 심도있는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Properties of Slag Gravel (슬래그 골재의 특성)

  • 서상교;최정호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3 no.1
    • /
    • pp.66-72
    • /
    • 2001
  • 지구 온난화, 천연 자원의 고갈, 처분 장소의 핍박 등 환경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건설분야에서 천연산 골재의 부족은 매우 심각한 상황에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재생골재의 재활용 등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1999년도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재생골재(KS F 2572), 콘크리트용 재생골재(KS F 2573), 도로기층용 재생골재(KS F 2574)에 대한 규격을 제정함으로써 실용화의 단계에까지 이르고 있다 그러나 제철소의 제강 및 정련 공정상에서 발생하는 철강슬래그를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활용하기 위한 국내의 연구는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고 있어 초기 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콘크리트용 천연산 골재의 대체 재료로서 각종 철강슬래그의 적극적인 재활용을 도모하기 위해 최근 슬래그를 골재로서 사용하기 위해서 연구한 결과 및 실례를 수록한 문헌을 조사 검토하여 슬래그 골재의 특성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rushed Aggregate Using Quarry-Waste (석산폐석을 활용한 쇄석골재의 특성에 관한 시험적 연구)

  • 김경수;송기범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0 no.5
    • /
    • pp.167-176
    • /
    • 1998
  • 골재의수요는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천연골재는 점차 고갈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기존석산들에서 발생되는 폐석자원을 쇄석골재로 활용하면 일거양득의 효과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가장 대규모 석산단지인 포천 및 익산지역 기존석산에서 발생되는 석산폐석에 대한 물리적, 화학적 및 광물학적 시험.분석을 실시하여, 쇄석골재로서 석산폐석의 특성규명과 활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포천과 익산지역에서 발생되는 석산폐석을 쇄석골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폐석자원을 쇄석골재로 활용함으로써 골재의 수요에 보충하고, 산림 및 자연경관의 훼손과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는 석산골재 신규개발의 억제에도 효과가 기대된다.

Investigation on Failure Behavior of Varying Ratios of Recycled Aggregate (순환골재 치환률에 따른 압축강도 비교분석)

  • Jang, Hoon;Chung, Wonseok;An, Zu-O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60-160
    • /
    • 2011
  • 현대의 건설기술은 자원절약과 환경보전이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 자원순환과 지속 가능한 친환경 건설기술 개발은 차세대 연구분야로써, 연구가 시급한 분야가 되었다. 최근에는 골재 수급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고 동시에 자원순환을 위한 방안으로서 건설폐기물로부터 생산된 순환골재를 콘크리트용 천연골재의 대체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속가능형 건설기술을 국내 독자 기술로 확립하고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순환시스템을 확고하게 구축하여 순환자원에 의한 국가경쟁력 강화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순환골재 콘크리트 공시체를 제작하여 강도 및 강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실험방법으로 순환굵은골재의 치환 비율을 0%에서 100%까지 변화시킨 공시체를 제작하고 각 공시체의 정적 극한강도 거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하중은 공시체가 파괴가 발생 할 때까지 변위제어 방식으로 재하 하였으며 이 때 공시체의 파괴거동은 설치된 계측센서들을 이용하여 계측 및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공시체의 압축강도는 순환굵은골재 치환률이 25% 미만일 경우 일반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95% 이상의 구조성능을 갖지만, 순환굵은골재 치환률이 100%인 경우, 일반콘크리트 압축강도의 85% 수준의 구조성능을 나타냈다. 강성은 FRP 부재의 순환골재 치환률에 따라 최대 14%의 강성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순환골재 치환률이 높을수록 순환골재 표면의 폐모르타르와 이물질의 영향으로 재료간의 부착강도가 감소되어 강도와 강성이 저하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Domestic Aggregate Quality Statu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According to Quality of Aggregate (국내 골재 품질 현황 및 골재등급에 따른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Min, Choong-Siek;Park, Jong-Ho;Jeong, Yong;Lee, Jae-Hyun;Kim, Yong-Ro;Kim, Hyo-R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2.11a
    • /
    • pp.207-208
    • /
    • 2012
  • This study is aimed to utilize for basic material of concrete quality management through evaluate properties of fresh and hardened concrete with the aggregate quality. As a result, fine aggregate's slump change of between one grade was 8~82% and in case of coarse aggregate, slump change of between one grade was 2~22% on same mixing condition. The unit water for same workability condition, unit water was increased 16kg/㎥ with decreasing of one grade for fine aggregate and unit water was increased 5kg/㎥ with decreasing of one grade for coarse aggregate.

  • PDF

Evaluation of Aggregates Properties Depending on Producing Sectors and Regions in Korea (전국 골재산지 권역별 콘크리트용 골재의 물성 평가)

  • Han, Min-Cheol;Lee, Jun-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7 no.6
    • /
    • pp.499-506
    • /
    • 2017
  • This study is to present empirical data about the needs for quality security of aggregate by randomly selecting aggregate from 4 major locations including A, B, C, D province in Korea, by investigating its quality status in terms of physical properties and particle distribution based on Korean industrial standards(KS). The test results indicated that wide variance in quality, and some of aggregate samples were far below the standard, still many of them are not satisfying KS standards. In addition, the current aggregate manufacturing process that does not include inspection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by sieving and fineness modulus, can induce a possibility of non-KS aggregate's distribution; this provide that the current status of aggregate quality security of Korea is seriously threatened. Thus, it is important to secure each aggregate's quality level under KS standards.

Aggregate of Korea in 2021 (2021년도 국내 골재 수급 분석)

  • Sei Sun Hong;Jin Young Lee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6 no.1
    • /
    • pp.87-101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duction of aggregate every year, and is to understand the supply and demend prospects. In 2021, the total of 135 million m3 of of aggregates was produced in Korea, a slightly increase from the total production of 2020. Of these, about 47 million m3 of sand and about 88 million m3 of gravel were produced. About 46% of total quantity of aggregates were produced with permission and the rest were aggregates produced after declaration. It estimated that of the 135 million m3 of aggregates in Korea in 2020, about 49.6% was produced by screening crushed aggregate, by 36.8% by forest aggregate, 2.6% by land aggregate, 6.8% by sea aggregate and 2.6% by washing each other, and 0.2% by river aggregate. This indicates that screening crushed aggregate and forest aggregate are the main product as in 2021. Leading producing metropolitan governments were Gyeonggi-do, Chungcheongnam-do, Incheon, Gyeongsangnam-do, Chungcheongbuk-do, Gangwon-do, Jeollanam-do, Gyeongsangbuk-do in order decreasing volume. In 2021, aggregates were produced in 148 local governments, and The 10 leading producing local governments were, in descending order of volume, Hwaseong, Ongjin, Paju, Pocheon, Gwangju, Youngin, Cheongju, Gimhae, Anseong, west EEZ. The combined production of the 10 leading local governments accounted for 30% of the national total, and. 47 local governments have produced aggregates of more than 1 million m3 each other. In 148 local governments that produced aggregate, a total of 805 active operations produced aggregate with 372 operations by river, land and forest aggregate, 433 operations by selective crushed and washing aggreg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