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국내골재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23초

국내 골재석산의 분포와 유형 분석 (Geology and Distribution of Crushed Aggregate Resources in Korea)

  • 홍세선;이창범;박덕원;양동윤;김주용;이병태;오근창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5호
    • /
    • pp.555-568
    • /
    • 2004
  • 국내에서의 골재의 수요는 198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빠르게 증가되어 왔다. 국내 골재 생산량 중 하천골재의 비율은 약 25%, 바다골재 20∼25%, 육상골재 약 5%이며, 산림골재는 약 40∼50%를 점하며 거의 모든 굵은 골재의 공급을 담당하고 있다. 산림골재는 지역적으로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나 서울, 부산 등 광역시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국내 산림골재로서 개발되는 암석은 심성암류 27%, 변성암류 32%, 퇴적암류와 화산암류가 각각 18%를 차지한다. 암종별로 보면 전체 골재석산에서 화강암 대상이 25%, 편마암 20%, 사암 10%, 안산암 10%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석재로 이용되는 암종은 국내 암석 종류 중 15개 암종에 불과하지만 골재로 이용되는 암종은 석재 이용 암종의 2배인 29종으로 심성암류는 화강암, 섬장암, 섬록암, 반화강안, 반암, 규장암, 맥암 등이며, 화산암류는 유문암, 안산암, 조면암, 현무암, 응회암, 화산각력암 등이다. 또한 변성암류에서는 편마암, 편암, 천매암, 슬레이트, 변성사암, 규암, 혼펠스, 석회규산염암, 각섬암 등이 사용되고, 퇴적암에서는 사암, 셰일, 이암, 역암, 석회암, 각력암, 쳐트 등이 이용된다. 이들 암종들 중에는 석재로 사용하기 어려운 셰일, 이암, 화산각력암 등이 포함된다. 석재에서는 화강암이 70∼80%의 점유빈도를 보이지만 골재에서는 25% 정도의 점유율만을 보인다. 두 번째로 많이 이용되는 암종은 편마암으로 전체 점유율 중 20% 정도 차지한다. 그리고 사암과 안산암이 10% 내외 정도의 점유율을 보인다. 도별 점유현황을 살펴 보면 충북에서 심성암의 비율이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전북, 강원, 경기도의 순으로 심성암의 점유율이 감소하며 경남과 전남이 12%, 10%로 가장 낮은 점유율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보통 70∼80%의 심성암 점유율을 보이는 석재자원과는 매우 다른 형태이다. 전남지역은 화산암 골재가 50% 이상이며, 경남은 퇴적암 골재가 50% 이상을 점한다. 또한 변성암의 골재 사용비율은 경기도, 충남에서는 거의 50% 수준에 육박한다. 골재 석산은 경기도, 경북, 경남, 충북에서 거의 비슷한 비율로 분포하며 오히려 전북에서의 골재 석산의 수는 적은 편에 속한다. 강원도가 골재석산의 수가 가장 적은 편이다.

콘크리트의 고온에서의 특성

  • 태순호;이병곤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1997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 /
    • pp.19-24
    • /
    • 1997
  • 콘크리트 구조물이 고온에 가열되면 그 성질이 변화하여 구조물은 다양한 영향을 받는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고온에서의 성상은 시멘트의 종류, 골재의 성질, 배합비, 함수율, 재령 등에 의해 다르다. 콘크리트의 열성질에 관한 외국에서의 연구는 다수 보고되었으나 국내에서 연구한 결과는 없으며 특히 시멘트의 종류, 골재의 성질 등에 따라 고온에서의 성상이 다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시멘트, 골재를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콘크리트 배합을 일반 구조물 및 아파트 현장에서 사용하는 배합비로 시험체를 제작ㆍ실험하였다. (중략)

  • PDF

석탄가스화발전 용융슬래그의 치환율 변화에 따른 빈배합 모르타르의 특성 분석 (Properties of Lean Mixed Mortar with Various Replacement Ratio of Coal Gasification Slag)

  • 박경택;한민철;현승용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91-399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에 새롭게 도입하고자 시운전중인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에서 발생하는 석탄가스화 용융슬래그(CGS)를 국내의 부족한 골재자원으로 재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즉, 부족한 골재자원확보를 위해 IGCC에서 발생하는 CGS를 빈배합 모르타르인 콘크리트 2차제품용 잔골재로 활용하고자 국내 건설산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석산의 부순 잔골재로 양호한 품질의 CSa 및 굵은 입자로 표준입도를 벗어난 CSb와 해사인 SS를 혼합한 혼합잔골재에 CGS를 0~100 % 범위에서 치환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CSa 혹은 CSb+SS에 CGS를 25~50% 정도 치환할 경우 골재의 입도측면 및 시멘트 모르타르의 유동성 및 압축강도 측면에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져 활용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쇄석골재의 화학반응성 연구 (A Study on the Chemical Reaction of Crushed Aggregates)

  • 이장화;김성욱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36-144
    • /
    • 1995
  • 근래 양질의 하천골재가 거의 고갈상태에 직면함에 따라 쇄석골재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실정에 비추어 볼 때 골재의 화학반응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실제 쇄석골재를 생산하는 238곳 중 63곳의 시료골재를 채취하여 화학적, 광물학적, 모르터 바 분석실험을 실시하여 골재의 화학반응성을 규명하였다. 분석시험 결과 대부분의 시료골재가 화학반응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광물학적 분석에서 유해광물로 알려진 성분들이 여러 시료골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따라서 해사의 사용 등 점차 화학반응 환경이 공존하게 되면 골재의 화학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이 커지므로 계속적이고 심도있는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슬래그 골재의 특성 (Properties of Slag Gravel)

  • 서상교;최정호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6-72
    • /
    • 2001
  • 지구 온난화, 천연 자원의 고갈, 처분 장소의 핍박 등 환경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건설분야에서 천연산 골재의 부족은 매우 심각한 상황에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재생골재의 재활용 등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1999년도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재생골재(KS F 2572), 콘크리트용 재생골재(KS F 2573), 도로기층용 재생골재(KS F 2574)에 대한 규격을 제정함으로써 실용화의 단계에까지 이르고 있다 그러나 제철소의 제강 및 정련 공정상에서 발생하는 철강슬래그를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활용하기 위한 국내의 연구는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고 있어 초기 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콘크리트용 천연산 골재의 대체 재료로서 각종 철강슬래그의 적극적인 재활용을 도모하기 위해 최근 슬래그를 골재로서 사용하기 위해서 연구한 결과 및 실례를 수록한 문헌을 조사 검토하여 슬래그 골재의 특성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석산폐석을 활용한 쇄석골재의 특성에 관한 시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rushed Aggregate Using Quarry-Waste)

  • 김경수;송기범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167-176
    • /
    • 1998
  • 골재의수요는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천연골재는 점차 고갈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기존석산들에서 발생되는 폐석자원을 쇄석골재로 활용하면 일거양득의 효과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가장 대규모 석산단지인 포천 및 익산지역 기존석산에서 발생되는 석산폐석에 대한 물리적, 화학적 및 광물학적 시험.분석을 실시하여, 쇄석골재로서 석산폐석의 특성규명과 활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포천과 익산지역에서 발생되는 석산폐석을 쇄석골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폐석자원을 쇄석골재로 활용함으로써 골재의 수요에 보충하고, 산림 및 자연경관의 훼손과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는 석산골재 신규개발의 억제에도 효과가 기대된다.

순환골재 치환률에 따른 압축강도 비교분석 (Investigation on Failure Behavior of Varying Ratios of Recycled Aggregate)

  • 장훈;정원석;안주옥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160-160
    • /
    • 2011
  • 현대의 건설기술은 자원절약과 환경보전이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 자원순환과 지속 가능한 친환경 건설기술 개발은 차세대 연구분야로써, 연구가 시급한 분야가 되었다. 최근에는 골재 수급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고 동시에 자원순환을 위한 방안으로서 건설폐기물로부터 생산된 순환골재를 콘크리트용 천연골재의 대체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속가능형 건설기술을 국내 독자 기술로 확립하고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순환시스템을 확고하게 구축하여 순환자원에 의한 국가경쟁력 강화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순환골재 콘크리트 공시체를 제작하여 강도 및 강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실험방법으로 순환굵은골재의 치환 비율을 0%에서 100%까지 변화시킨 공시체를 제작하고 각 공시체의 정적 극한강도 거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하중은 공시체가 파괴가 발생 할 때까지 변위제어 방식으로 재하 하였으며 이 때 공시체의 파괴거동은 설치된 계측센서들을 이용하여 계측 및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공시체의 압축강도는 순환굵은골재 치환률이 25% 미만일 경우 일반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95% 이상의 구조성능을 갖지만, 순환굵은골재 치환률이 100%인 경우, 일반콘크리트 압축강도의 85% 수준의 구조성능을 나타냈다. 강성은 FRP 부재의 순환골재 치환률에 따라 최대 14%의 강성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순환골재 치환률이 높을수록 순환골재 표면의 폐모르타르와 이물질의 영향으로 재료간의 부착강도가 감소되어 강도와 강성이 저하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국내 골재 품질 현황 및 골재등급에 따른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Domestic Aggregate Quality Statu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According to Quality of Aggregate)

  • 민충식;박종호;정용;이재현;김용로;김효락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2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07-208
    • /
    • 2012
  • This study is aimed to utilize for basic material of concrete quality management through evaluate properties of fresh and hardened concrete with the aggregate quality. As a result, fine aggregate's slump change of between one grade was 8~82% and in case of coarse aggregate, slump change of between one grade was 2~22% on same mixing condition. The unit water for same workability condition, unit water was increased 16kg/㎥ with decreasing of one grade for fine aggregate and unit water was increased 5kg/㎥ with decreasing of one grade for coarse aggregate.

  • PDF

전국 골재산지 권역별 콘크리트용 골재의 물성 평가 (Evaluation of Aggregates Properties Depending on Producing Sectors and Regions in Korea)

  • 한민철;이준석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99-50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지역별 4개 권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골재를 임의로 선정하여 관련 골재 KS의 품질 항목을 기준으로 적합 부적합 여부 및 품질 실태를 확인하고 골재 품질 확보의 필요성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각 권역의 골재원에 따른 골재의 물성을 평가한 결과 골재가 유통되는 지역 및 골재원의 특성에 따라 골재의 품질은 다소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일부 골재의 품질 수준은 열악하였고, 상당수의 골재가 관련 KS의 기준에 부적합한 비 KS 골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골재의 유통과정 중 입도나 조립률을 검사하지 않는 골재채취법은 저품질의 불량 골재도 유통할 수 있는 근거가 되기에 기준에 부적합한 골재도 유통이 가능하여, 국내 골재의 품질 실태가 매우 우려스러운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른 각 골재원에 따른 골재의 KS 품질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021년도 국내 골재 수급 분석 (Aggregate of Korea in 2021)

  • 홍세선;이진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56권1호
    • /
    • pp.87-101
    • /
    • 2023
  • 이 연구는 매년 국내 골재의 수요공급이 어떠한 형태로, 얼마만한 양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향후 수급에 대한 전망을 파악하는데 있다. 2021년 국내 골재 총 채취량은 약 1억 3,574만 m3 이며, 이 중 모래는 약 4,726만 m3 (35%), 자갈은 약 8,848만 m3(65%) 채취되었으며, 허가채취는 약 6,298만m3(46%), 신고채취는 약 7,276만m3(54%)이다. 골재원별로 보면 하천골재 약 38만 m3, 육상골재 약 348만m3, 산림골재 약 4,990만m3, 바다골재 약 922만m3, 선별파쇄 약 6,736만m3, 선별세척 약 355만m3, 그리고 기타신고골재가 약 185만m3로 선별파쇄골재와 산림골재가 전체 채취량의 약 86%를 차지하고 있다. 광역시도에서는 경기도가 골재를 가장 많이 채취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충청남도, 인천광역시, 경상남도, 충청북도, 강원도, 전라남도, 경상북도의 순이다. 2021년에는 231개 시군구의 약 64%인 148개 시군구에서 골재를 채취하였다. 100만m3 이상의 골재를 채취한 시군구는 48개이며, 이들 시군구에서는 전국 채취량의 74%인 약 1억 82만m3를 채취하였다. 2021년도에는 약 1,000개소 정도의 채취장이 운영되었으나 실제 골재를 채취한 채취장은 약 805개소이다. 선별파쇄가 약 377개소로 가장 많으며, 산림골재는 192개소, 육상골재는 139개소 내외이다. 100만 m3 이상을 채취한 채취장은 15개소이며, 1만 m3 미만의 소규모 채취장도 약 85개소이다. 약 372여개의 허가채취장에서 허가기간은 최장 32년에서 최소 2개월이며, 허가기간이 10년 이상인 채취장은 100개소이다. 그러나 2023년 이후 채취가능한 채취장이 약 40%이며, 2021년 수준의 골재 허가채취물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매년 최소한 100개소 이상의 채취장에 대해 허가연장, 신규허가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