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공립 보육시설

Search Result 1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국공립 보육시설과 사립 보육시설의 질 비교 (A Comparison of the Quality in Public and Private Child-Care Center)

  • 권정윤;한유미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77-187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공립 보육시설과 사립 보육시설을 구조적, 과정적, 소비자 관점의 질 등 세 가지 질의 관점에서 비교하고, 이들 세 가지 유형의 보육의 질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국공립 보육시설 8개소와 사립 보육시설 8개소를 관찰하고, 이 보육시설들을 이용하는 어머니 29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공립 보육시설과 사립보육시설은 구조적 질과 소비자 관점의 질 측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지만 과정적 질 측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립과 사립 보육시설의 과정적 질이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로서의 부모들은 공립 보육시설에 더 만족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또한 보육시설의 구조적인 질은 과정적 질, 소비자 관점의 질과 상관이 있으나 과정적인 질은 소비자 관점의 질과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 PDF

보육정책의 실태와 과제 (The Status and Challenges of Child Care Policy)

  • 노명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5738-5744
    • /
    • 2012
  • 본 연구는 문헌조사방법을 통해 보육정책의 현황을 정리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보육정책의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실태 분석을 통해 발견한 보육정책의 문제점은 0~2세 전 계층 무상 보육으로 인해 실수요계층인 맞벌이 가정의 이용이 어려운 점, 양육수당의 지원 대상에서 36개월 이상의 보육시설을 이용하지 않는 저소득층이 제외된 점, 보육시설 이용아동 대부분 국공립이 아닌 민간어린이집을 이용하므로 보육의 공공성 확보가 어려운 점 등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향후 보육정책에서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으로 보육의 공공성을 확보하고, 양육수당을 현실화하고, 질 높은 영아전담 어린이집의 수를 늘리고, 시간제 보육서비스를 확대하고, 부모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민간보육시설 재정관리에 관한 시설장들의 인식유형과 개선방안 (The Perception Types of the Directors on PCC Financial Management and its Improvements)

  • 신원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1-9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민간보육시설의 재정관리에 관한 시설장들의 주관적 인식을 유형화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유형별 특성을 통해 민간보육시설의 효율적인 재정관리와 보육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민간보육시설의 재정관리와 관련된 엄선된 25개의 진술문을 가지고 27명의 시설장들에게 Q 분류를 하게한 결과 세 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첫째, '재정 독립형'은 민간보육시설을 위한 재무회계규칙이 개정되어야 하며, 민간보육시설의 특수성과 독립성을 보장해야 한다는 유형이다. 둘째, '공보육형'인데 민간보육시설에 대한 정부지원이 국공립보육시설에 대한 지원만큼 이루어져야 한다는 유형이다. 셋째 유형은 '사업별 지원형'으로 민간보육시설의 규모, 특성에 부합하는 규정을 제정하고, 그에 따른 지원을 해야 한다는 유형이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함의와 보육정책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보편적 보육료 지원정책이 여성 노동공급과 출산율에 미친 영향 (The Effects of Universal Child Care Subsidy on Female Labor Supply and Fertility)

  • 민규량;이철희
    • 노동경제논집
    • /
    • 제43권4호
    • /
    • pp.143-177
    • /
    • 2020
  • 본 연구는 영유아 보육료 지원정책이 보육시설공급률에 따라 노동공급과 출산율에 상이한 영향을 미쳤음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보육시설공급률이 높을수록 보육료 지원에 의해 보육시설 입소에 유리한 다자녀모의 경력유지 확률이 증가했을 뿐 아니라 첫째 자녀의 출산율이 높아졌고, 국공립 어린이집의 공급률이 높은 경우에는 보육비 지원 이후 둘째 자녀 출산율도 유의하게 높아졌음을 보여준다. 이는 보육료 지원정책의 효과가 출생순위에 따른 보육시설 입소 우선순위, 거주지역 보육시설의 양적, 질적 공급 정도에 따라 달라짐을 보여준다.

  • PDF

보육시설 주임교사의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of the job satisfaction in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of the head teache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nursery facility)

  • 강병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27-136
    • /
    • 2018
  • 본 연구는 보육기관의 서비스 질 향상과 안정적인 운영을 결정짓는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향상을 위해 주임교사의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성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2018년 2월부터 3월까지 각 기관에 방문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보육시설의 중간관리자인 주임교사의 리더십은 소속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시설 주임교사의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향상을 위해서는 보육시설의 중간관리자인 주임교사의 적절한 리더십이 발휘되어야함을 시사한다.

보육시설 아동의 건강관리향상을 위한 생태학적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n Ecological Model to Improve Health Care Management for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s)

  • 박은숙;임여진;조은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59-68
    • /
    • 2013
  • 목적 보육시설 내 아동건강관리 현황 및 생태학적 모형의 체계에 따른 아동건강관리 장애요인을 확인하고 보육시설 아동건강관리 향상을 위한 생태학적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방법 포커스 그룹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서울특별시 S구 소재 보육시설 중 재원아동 70명 이상의 국공립, 법인 및 민간 어린이집의 원장, 보육교사, 보육아동 부모, 3개 집단 총 22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한 후 잠재적 내용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보육시설 내 아동건강관리 현황으로는 '발달상태확인', '건강행위훈련' 등 12개 범주가 확인되었다. 생태학적 체계에 따른 보육시설 내 아동건강관리 장애요인으로는 질병관리에 대한 지식부족, 갑작스런 사고에 대한 미숙한 대처, 아동건강관리 전문인력의 부재, 유용한 건강관리 매뉴얼의 부족, 발달 및 건강에 대한 보육시설-부모 간 의견차이, 자녀건강관리에 대한 부모의 과도한 위임, 건강관리와 관련된 보육시설평가인증 항목의 부족 등 총25개 범주가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시된 보육시설 아동건강관리 향상을 위한 생태학적 모형은 보육아동을 위한 건강관리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체계의 요인을 고려한 프로그램 및 정책 개발 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공립보육시설 확충을 위한 우선설치지역 선정의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Study on Selecting Priority Regions for the Expansion of Public Child Care Centers)

  • 신나리;송신영;이은경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1-61
    • /
    • 2010
  •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select vulnerable regions with insufficient child care services based on an in-depth investigation of divers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o establish a practical goal for the expansion of public child care centers through identifying priority regions in foremost need of public child care centers out of the vulnerable regions. The vulnerable regions were selected from both urban and rural areas with particular criterions to determine their critical situation. First of all, the number of children aged zero to five, private and public child care centers, and capacity and enrolment of the regional child care center were selected from towns (Eup) and townships (Myeon) within rural areas and neighborhoods (Dong) within urban areas to calculate the capacity fulfillment. Specifically, a dense population of low-income families inhabited within urban areas defined the region's vulnerable status for the analysis, whereas poor accessibility of a child care center within rural areas correspond to the lack of child care services. The analytical result displayed that a total of 456 towns and townships did not acquire child care centers. Out of 456 towns and townships, 162 were selected as priority regions. On the other hand, 546 neighborhoods corresponding to upper 30 percentiles of urban area where children receive basic subsidy for low income families were selected as vulnerable regions. Out of 546 neighborhoods, 243 were selected as priority regions according to the analytical result.

경기 지역 영유아 보육시설의 급식운영관리 실태 조사 (A Survey on the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at Child Care Centers in Gyeonggi Area)

  • 손춘영;박희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77-586
    • /
    • 2011
  • 본 연구는 경기 지역 보육시설 시설장을 대상으로 급식운영 관리의 전반적인 실태를 시설유형별로 분석하여 영유아 보육시설의 실제적인 급식운영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설장은 여성이 97.1%로 대부분이었으며, 학력은 전문대졸 이상이 80.2%로 높은 편이었다. 운영기간은 5년 이하(72.2%)가 가장 많았는데, 특히 가정보육시설이 83.7%로 최근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p<0.01). 원아 수는 20명 이하(52.5%)가 가장 많았고 국 공립의 75.0%, 민간시설 84.0%, 가정보육시설 100.0%가 원아 100인 이하 시설이었다. 영양사 고용은 8.8%로 매우 낮았으나, 조리사 56.9%, 조리원은 35.6% 고용하고 있었고 시설별 차이(p<0.001)를 보였다. 2. 급식은 직영이었으며, 급식 횟수는 1회가 77.2%로 가장 많았으며, 간식은 대부분 2회 제공(89.2%)이었고, 1일 평균 급식비는 1,877원으로 유형별 차이는 없었다. 3. 조리실은 97.0%가 갖추었으나, 식당은 4.0%에 불과해, 배식은 88.7%가 교실에서 이루어져 위생관리의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식품보관 창고는 29.7%가 있다고 응답했으며, 국 공립 55.0%, 가정보육시설 24.6%, 민간시설 20.8% 였다(p<0.001). 4. 식단은 94.1%가 주기적으로 작성하였으나 보육정보센터 이용이 47.1%로 가장 많았으며, 식단작성시 메뉴에 대한 정보 또한 보육정보센터 이용(86.4%)인 것으로 나타나, 보육정보센터의 활용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식단작성시 고려사항으로는 영양적 균형이 86.2%로 높았다. 급식생산에 표준레시피는 38.0%가 사용하고 있었고 국 공립이 68.4%로 가장 많았고 민간시설 37.5%, 가정보육시설 28.1%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1). 5. 식재료 구매는 시설장(86.7%)이 주로 담당하였고 조리사(10.2%), 영양사(3.1%)의 순이었다(p<0.001). 구매 방법은 직접 구매 방식이 85.7%로 대부분이었고, 수의계약은 5.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구매 횟수는 매일(36.0%), 주 2~3회(32.0)%, 필요할 때마다(18.0%), 주 1회 (14.0%)의 순으로 매일 구매가 가장 많았다(p<0.05). 6. 조리기구 중 전자레인지(92.2%), 믹서기(83.3%)의 보유율은 높았으나, 오븐(36.3%), 토스터기(27.5%), 튀김기(19.6%)의 보유정도는 낮았다. 위생기구에서는 정수기는 전체의 90.2%대부분의 시설에서 갖추고 있었으나 식기세척기는 37.3%만이 갖추고 있었고 칼도마 소독고와 자외선 식기소독고의 보유율은 시설유형별 차이가 있었다(p<0.01). 손전용 세정대는 52.9%가 보유하고 있어 개인위생을 위해 확대 설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적온급식을 위한 보온/보냉고는 37.3%에 불과하였고 특히 보존식 전용 냉동고는 36.3%로 국공립(70.0%), 민간시설(40.0%), 가정보육시설(22.8%) 순으로 유의적인(p<0.001) 차이가 있었는데, 급식위생기기 보유 정도는 낮은 편이었다. 경기 지역의 보육시설은 2010년 현재 11,373개로 전체 보육시설의 29.6%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보다 많은 시설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해서 결과의 해석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여지며, 특히 최근 가정보육시설의 급속한 증가에 비해 급식운영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으로 앞으로 보육시설의 규모와 특성, 시설유형에 따른 운영방식을 고려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Belief of Teaching Efficacy)

  • 강이슬;김민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25-352
    • /
    • 2011
  •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내적 교육신념인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해서 알아보고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 및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지역 국공립, 민간, 가정 보육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36개월 미만의 영아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결과처리를 위하여 ANOVA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은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적 교수효능감이 개인적 교수효능감보다 높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영아보육교사 자신의 교수효능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통보다 낮게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 보면 업무관련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영아들과의 활동 스트레스, 개인관련 스트레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교수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에서 일반적 교수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와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수효능감 만이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개인적 교수효능감 만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중에서는 교육수준, 월 급여, 근무시간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월 급여가 적을수록, 근무시간이 많을수록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아를 둔 어머니의 어린이집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Effects of Variables on Mothers' Choices of Types of Infant Care)

  • 서소정;하지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19-335
    • /
    • 2014
  •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어린이집 선택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의 대기신청을 통해 최근 6개월 이내 입소한 0~40개월의 영아를 둔 어머니 185명과 현재 대기신청 중이며 자녀가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고 있는 어머니 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어머니들은 어린이집 대기신청 시 국공립어린이집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주된 이유는 보육환경 및 시설의 질적인 우수성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지 않는 어머니는 주변에 자녀를 보낼 만한 어린이집이 충분하지 않으며 질적 수준도 낮은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어머니에 비해 지적 성취와 성숙주의를 강조하는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어머니들의 경우 자녀의 연령이 어릴수록, 취업모인 경우, 대기신청기간이 길수록, 어린이집의 구조적 요인을 중요하게 여길수록 민간 또는 가정어린이집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어린이집을 선택하는 의사결정 과정에 어떠한 변인들이 우선순위로 작용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다양한 보육 욕구를 이해하고, 어린이집의 확충 및 질적 제고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을 수립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