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가 관리 대책

Search Result 304, Processing Time 0.05 seconds

National Drought Response Framework and Emergency Action Plan for Mega-Drought (미국의 국가가뭄대응체계 및 비상대처계획의 시사점)

  • Nam, Won-Ho;Knutson, Cody L.;Hayes, Michael J.;Svoboda, Mark D.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05-405
    • /
    • 2020
  • 최근 선제적인 가뭄대응을 위하여 관계부처가 상시 가뭄 관리체계를 지속하고, 범정부적 가뭄예방 대처를 위한 가뭄종합대책이 수립되었다. 가뭄종합대책에는 통합적 가뭄 위기대응체계를 마련해 단계별로 가뭄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극한가뭄에 대비해 선제적 용수확보와 가뭄 전문가 지역 협의체 운영 등을 통해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계획이 포함되어있다. 또한 국가재난관리체계에 따라 지자체는 지역별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수립하고, 현장조치 행동메뉴얼에 따라 단계별 제한급수대책 수립, 재난대응 단계별 행동요령 (징후 감지, 초기 대응, 비상 대응) 등을 수행한다. 이처럼 가뭄은 발생 후 해갈까지 많은 시간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사회전반에 걸처 영향을 주는 대형복합재난으로 국가적 차원의 통합적 관리가 필요한 재난으로 국가가뭄대응체계 및 비상대처계획 (Emergency Action Plan, EAP) 수립이 필요하다. 미국은 1998년 국가가뭄정책법(National Drought Policy Act)을 제정해 가뭄관리에 대한 법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2006년 국가통합가뭄정보시스템법 (National Integrated Drought Information System Act)을 제정해(Public Law 109-430) 현재의 국가통합가뭄정보시스템 (NIDIS)이 설립되었다. 이후 국가가뭄회복력파트너십 (National Drought Resilience Partnership, NDRP)을 발족하여 2016년 장기가뭄 회복력을 위한 국가재해대응정책을 수립하였다 (Federal Action Plan for Long-Term Drought Resilience). 미국의 경우 1982년 콜로라도 주, 사우스다코타 주, 뉴욕 주를 시작으로 2020년 현재 48개 주에서 연방정부단위의 가뭄대응계획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에서 실행되고 있는 가뭄 적응 대책 및 비상대처계획을 조사, 분석하고, 향후 메가 가뭄 발생시 국가단위의 가뭄 재난위기관리 매뉴얼, 정부 및 지자체의 가뭄 대응 체계 및 대응 방안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Strategy for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Network (국가재난관리 정보통신망 구축전략)

  • 박세일
    • Journal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Association
    • /
    • v.36 no.5
    • /
    • pp.50-52
    • /
    • 2003
  • 행정자치부의 “국가재난관리 시스템 기획부”는 참여정부 임기 내 각종 재해, 재난에 따른 인명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각각 60%, 30% 줄이는 것을 목표로 안전한 사회(secure society)구축, 사회연계성(network society)강화, 효율적인 사회(effective society) 환경구성 이라는 패러다임을 기조로 국가재난관리 종합대책안을 추진 중이다. 종합대책 추진안에는 첨단 정보기술(IT)이 각종 재해, 재난을 막는 핵심툴로 활용되는데 여기서는 국가재난관리 정보통신망(Secure Network)구축에 관한 기본개념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Study on Establishing Earthquake-resistance Reinforcement Measures for Earthquake Disasters in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국가산업단지의 지진재난 내진보강대책 수립 연구)

  • Chang Young So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9 no.4
    • /
    • pp.882-896
    • /
    • 2023
  • Pupose: The purpose is to prepare safety management and seismic reinforcement measures that can effectively improve the potential risks of earthquake-resistant design and the deficiencies of safety guidance and inspection of factory facilities in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Method: In this study,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derived through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overall earthquake disaster safety management, such as safety management status and management system in preparation for earthquake disasters in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was implemente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based on facility type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Result: In conclusion, the problems of safety management and seismic reinforcement in preparation for earthquake disasters in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were summarized and classified into four types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and related system supplementation, authority of tenant companies and local governments, seismic reinforcement and safety management support measures, organizational structure capacity building) to derive improvement measures. Conclusion: Based on this, seismic reinforcement measures that companies in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should implement in preparation for earthquake disasters were prepared, and detailed plans for each measure were presented.

글로벌 프라이버시 원칙 비교분석

  • Youm, Heung-Youl;Ko, Jae-Nam
    • Review of KIISC
    • /
    • v.23 no.1
    • /
    • pp.68-77
    • /
    • 2013
  • 최근 들어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법제도적 대책뿐만 아니라 기술적 보호대책의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국가마다 지역마다 서로 다른 개인정보보호관련 법 제도적 요구사항의 상이는 서로 다른 보호조치 수준을 초래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국가 간 또는 지역 간 개인정보의 자유로운 이전의 커다란 장애물이 되고 있다. 따라서 글로벌하게 합의된 프라이버시 원칙이 요구되었으며, 이에 기반을 둔 보호대책(control)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 보호대책은 기업에 의해 수립되는 개인정보보호관리체계 (PIMS,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의 인증 기준이 되며, 개인정보관리체계의 인증은 국가간 개인정보보호의 원만한 이동을 가능케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각각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기구(APEC), 그리고 국제표준화 기구인 ISO/IEC, 그리고 한국 정보통신기술협회(TTA) 정보통신단체표준에서 정의된 프라이버시 원칙을 살펴보고, 각 프라이버시 원칙을 비교한다. 또한, 최근 구글의 개인정보통합관리에 대응할 수 있는 비연결성(unlikability) 원칙을 포함한 추가적인 프라이버시 원칙도 제시한다. 참고로 본 논문의 내용은 TTA 표준[4] 개발 시에도 반영 되었다.

Analysis of Investment in Domestic Disaster Prevention and Planning (국내 재해예방투자 현황 및 계획 분석)

  • Kim, Dae-Gon;Park, Jo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15-815
    • /
    • 2012
  • 우리나라의 경우 1조원 이상 피해를 입힌 자연재해가 '98년 이후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등 최근 급격한 도시화 산업화 및 범지구적인 이상기후 현상으로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가 점차 대형화 다양화되는 추세이다. 그에 따른 국내 재해관리 및 사전예방의 중요성은 그 동안 여러 차례 기획사업 및 재정계획을 통해 제시된 바 있으나, 대부분 추진계획 수립에 그치고 실질적인 예산 편성시에는 충분히 반연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재해예방투자사업의 규모와 구체적 계획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재해사전예방 분야의 기존 투자계획으로는 "제1차 국가안전관리 5개년 기본계획"과 "2005-2009 국가재정운용계획", "수해방지대책 백서" 등이 있었으며 그 중 "제1차 국가안전관리 5개년 기본계획"은 정부역사상 처음으로 시행하는 중 장기 국가재난관리정책으로, 풍수해대책, 설해대책 등의 자연재해를 비롯하여 총 17개의 재난유형별 재난관리대책을 포괄하고 있으며, 11개 부처 및 시도에 대해 27개 사업, 36조 8천억원을 투자하는 계획을 제시하였다. 가장 최근에는 2010년 8월에 국무총리실 주도 재난관리 개선 민관합동 TF팀을 구성하여 기후변화 및 기상이변에 선제적 대응 및 기존 방재체계에 대한 근본 패러다임 전환을 통한 선진적 방재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기 위하여 기후변화대응 재난관리 개선 종합대책을 마련하였다. 일선 경험이 많은 민간전문가 주도로 철저히 현장 중심의 문제점과 대안을 검토하고 대책을 준비함으로서 기존의 재난관리대책 구축방법과 차별성을 띄었다고 할 수 있다. 이번 재난관리 개선 종합대책에서는 5개 시 도의 현장조사와 기존대책을 분석하고, 전문가 의견 등을 검토하여 도시유역종합치수계획, 소하천 및 사방댐 정비, 소규모 시설 정비 등 26건을 포함한 '99년부터 3회에 걸쳐 추진한 재해관련 범정부 종합대책을 검토하여 필요성이 있으나 추진이 미흡했던 과제는 포함시켰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에 필요한 신규과제 및 재해취약요인이 드러난 도시방재를 위한 개선과제를 집중 검토하도록 하였다. 다수부처 관련 쟁점과제에 대해서는 주관부처를 정하거나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조정회의 및 세미나, 공청회를 통해 보완 검토하였다. 그 결과로서 2011년 전년대비 재해예방 관련 사업에 대한 국고 투자규모는 도시침수방지 17%, 수자원 관리 25%, 항만 정비 17%, 산사태 예방 24%, 농업기반시설 정비 20%, 위험지 정비 19%, 재난 예측 및 대응시스템 개선 16% 증가하여 투자계획이 수립되었으며 전체적으로는 약 21% 증가된 투자계획이 수립되었다.

  • PDF

초고속국가망의 제도적.관리적 보안대책 방안

  • 이형옥
    • Review of KIISC
    • /
    • v.11 no.1
    • /
    • pp.21-27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초고속국가망에서 보안대책을 제도적, 관리적, 기술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였다. 초고속정보통신망사업은 국가정보화를 촉진할 정보인프라 구축에 대한 필요성에 따라 지난 95년부터 추진해온 초고속망구축사업이다. 국가망 구축은 2000년까지 전국 144개 모든 통화권을 고속 대용량 (155Mbps∼5Gbps)의 광케이블로 연결하였으며, 2000년 7월에는 초고속교환(ATM)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2000년 말 기준으로 초고속국가망을 이용하는 기관은 28,686개이고 이용회선수는 36,357개 회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망이다.

  • PDF

Study on the State Leadership's Safety Measures Regarding the North Korean Threat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 Focuses on the Threat of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북한 대량살상무기 위협에 대한 국가지도부 안전대책에 관한 연구 - 북한 핵무기 위협을 중심으로)

  • Choi, Kee-Nam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37
    • /
    • pp.325-354
    • /
    • 2013
  • The concept of national security and the fundamental system for crisis management have departed from traditional methods and the importance of a national critical infrastructure crisis management has been emphasized. A national critical infrastructure crisis means a situation where human resource, material and functional system that may have a material effect on the critical functions of the government, the vitality and integrity of society, national economy and the safety of the public becomes disabled due to causes such as terrorism or major disasters. Although North Korea had been subject to numerous rounds of negotiations and sanctions as it continually developed nuclear weapons since the 1960s, it has also showed off its nuclear armaments through successful nuclear testings and missile launches. As the development and threat of North Korea's weapons of mass destruction becomes more noticeable and the range of its risk expands, this study focuses on the potential for an absence of leadership for national crisis management where the country's leadership, which should serve the critical role and function of handling national crises, becomes completely destroyed by the unexpected initial attacks by North Korea. As a res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afety measures for the country's leadership in preparation for North Korea's threat of nuclear weapons by examining the concept and degree of risk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with a focus on nuclear weapons, analyzing the substance of the threat of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and evaluating such threat. In conclusion, first, to ensure the normal functioning of a national crisis management system in the event of a national crisis, we must seek safety measures that conform to the scope and succession order of the leadership of the national crisis management for an Enduring Constitutional Government (ECG) and the Continuity Of Operations (COOP). Second, in the event of a national ceremony, the gathering of the country's leadership all together in an open place should be avoided. In unavoidable circumstances, the next in rank that will act on behalf of the current leader should be designated and relevant safety measures should be taken. Third, during time of peace, in preparation for national crises, the scope of protection for the country's leadership should be prescribed and specific security and safety measures should be implemented. Fourth, the succession order for acting president in the case of the death of the president pursuant to Articles 71 and 26(1) of the National Government Organization Act should reconsidered to see whether it is a reasonable provision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a national crisis management that corresponds to the threat of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and weapons of mass destruction. Pursuant to the Basic Guidelines for National Crisis Management set out under Presidential Directive No. 229, the Korean government is currently operating a case-by-case "crisis management standard manual" and its sub-manuals and has also prepared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s security and safety measure regulations regarding the acting president.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actualize the above points in the case-by-case crisis management standard manual and security and safety measure regulations regarding the acting president to implement and legislate them.

  • PDF

국가화재 안전기준의 현황 및 발전방향

  • Lee, Hyeon-Yeong
    • 방재와보험
    • /
    • s.114
    • /
    • pp.8-13
    • /
    • 2006
  • 사회, 경제적 한경변화에 따른 화재 위험도나 대형 인명사고의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해졌고 이런한 요구에 맟춰 나온 것이 바로 국가화재안전기준이다. 국가화재안전기준은 사람의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한 소방방재시설 및 기술기준, 관리 및 유지적 요건 등을 규범화 하고 있다. 국가의 생명보호정책이라는 중요한 과제를 안고 있는 화재안전기준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아본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egal System for Drought Disaster of Rural Region (농촌지역의 가뭄재해 법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Lee, Young Kune;Park, Mi R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29-129
    • /
    • 2016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한 자연재해의 대규모화에 따라 가뭄재해가 농촌지역에 중대한 피해를 끼칠 수 있는 여지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인하여 대하천의 정비가 강화되었지만 농촌지역 주변의 중소하천은 여전히 기후변화에 취약한 현실이다. 농촌지역의 가뭄재해에 대하여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이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농촌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해대책법 시행규칙" 및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령", 그리고 "농어업재해대책법 시행규칙"에 있어서 가뭄관련 조항의 개정을 제안하였다. "자연재해대책법" 제2장(자연재해의 예방 및 대비)에서는 풍수해(제2절), 설해(제4절) 에 이어 가뭄에 대한 예방 및 대비를 규정(제5절 29조-33조)하고 있다. 제29조는 가뭄방재를 위하여 필요한 조사 및 연구를 수행하여야 함을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서 '필요한' 조사 및 연구는 시행령 혹은 시행규칙 등을 통해 명확히 할 필요가 있으며, 제30조는 가뭄재해 극복을 위해 제한 급수 및 제한 발전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조치를 취함으로써 발생하는 손해 배상 규정의 삽입이 필요하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8조(다른 법률과의 관계 등) 2호에서 제3조1호 가목의 규정에 해당하는 재난(가뭄 포함)의 예방 복구 등에 관해서는 '자연재해대책법'이 정한 바에 따르도록 규정하고 있기는 하지만, 자연재해로 인한 재난에 대해서는 소극적 규정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제4장(재난의 예방)에 있어서 재난은 제3조1호의 가목(자연현상으로 발생하는 재해), 나목(사회적 재해), 다목(국가기반체계와 관련된 재해) 각각의 경우에 따른 예방대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각 조항의 개정은 농촌지역 가뭄재해에 대한 정책활용을 염두에 두고 개정안을 제시하지만, 법령 자체의 목적 및 타법과의 정합성 등 대한민국 법체제의 통일성 및 안정성을 최대한 반영하였다. 해당 조항의 개정으로 농촌 및 농업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가뭄대응 정책의 활용을 도모하고 가뭄재해로부터 안전한 영농환경이 구축될 수 있을 것이 기대된다.

  • PDF

Construction work and Safety Management (건설공사의 안전관리방안)

  • Kim, Kyou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77-178
    • /
    • 2022
  • 건설 안전관리는 건설업을 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고 나 재해의 발생 원인과 예방을 위한 관리 대책을 수립하여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모든 활동을 말한다건설현장의 안전사고는 근로자에게는 육체적 8정신적 고통과 노동력의 상실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발생하며 기업 입장에서는 생산력의 저하와 비용의 증가=국가로서도 사회 경제적 손실이 발생함으로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안전관리 대책이 반드시 필요하다건설공사가 대형화=복잡화=고층화 및 대규모 지하 굴착과 같은 고난도의 작업이 많아짐에 따라 작업 환경의 특수성과 작업 환경상 높은 위험을 갖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