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국가학술자원

검색결과 469건 처리시간 0.059초

국제 물거래에 대비한 가상수 이동 추이 분석 (Trend Analysis of Virtual Water Trade at the Global Level for Overcoming Water Scarcity)

  • 윤종한;박성제;유시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133-133
    • /
    • 2016
  • 지구온난화와 그에 따른 기후변화로 수자원부족현상이 전지구적으로 나타남에 따라 세계 각국은 물부족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대처방안을 찾고 있다. 가상수 이론은 전세계적 차원에서 상품에 내재된 가상수를 통해 물을 공급하고 배분함으로써 물부족을 해결할 수 있다는 주장으로서 물부족현상에 처한 세계 각국의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향후 국제적 수준에서 물거래에 대한 조치가 예상됨에 따라 이에 가상수가 국가간에 얼마나 어떠한 형태로 이동하는지 '가상수 이동'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가상수 흐름에 대한 정보는 미국이나 일본 등을 중심으로 한 자료뿐이었다. 한국을 중심으로 한국의 관심사를 반영한 가상수 이동에 대한 연구결과는 충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세계적 수준에서의 가상수 이동추이를 한국을 중심으로 분석하도록 한다. 분석수준은 전세계적 수준과 국가간 수준이며, 분석기간은 1989년부터 2014년까지 총 26년이다. 분석 대상은 가상수 교역이 활발한 주요 16개국의 11개 농축산물이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UN과 세계식량기구의 자료를 활용해 데이터셋을 구축했다. 분석결과 전세계적 수준에서는 콩, 옥수수, 밀, 보리가 주요 가상수 수출입 품목으로 밝혀졌다. 시기별로는 1999년 까지는 밀의 교역이 압도적이었으나 1999년 이후 콩 가상수의 교역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가상수의 유형과 관련해서는 녹색가상수의 교역이 청색가상수보다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국가간의 가상수 이동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을 알 수 있었다. 가상수의 주요 수출국은 미국을 비롯해 브라질, 아르헨티나, 호주 등 농업대국이 상위권을 차지했고, 주요 수입국은 중국, 일본, 한국 등 동북아시아 국가들이었다. 가상수 수출은 미국이 분석기간 내내 우위를 차지하나, 2000년대 이후 중국의 부상이 눈에 띄는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가상수 수입과 관련해서는 2000년대 이후 중국의 가상수 수입 증가 추세가 두드러졌다. 국가간 수준의 분석에서는 한국과 미국, 한국과 중국, 한국과 호주 등 한국의 주요 가상수 교역국가간의 흐름을 분석했다. 국가간 수준의 분석에서 특기할 만한 점은 미국에서 한국으로 이동한 전체 가상수의 81퍼센트를 녹색가상수가 차지하며, 한국에서 중국으로 이동한 가상수의 74퍼센트가 축산물 가상수라는 점이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해 향후에는 가상수 이동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것이 요구되며, 가상수 이동추이의 변화가 가져올 시나리오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유기성폐기물의 바이오가스화 기술 및 보급 현황 (The Status of Commercial Plant and Different Technologies for Bio-gasification of Organic Wastes)

  • 허남효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63-766
    • /
    • 2007
  • 국내에서 발생되는 고형폐기물 중 자원으로 재활용 가능한 유기성폐기물은 하수슬러지, 음식물류폐기물, 축산분뇨 등을 대표 할 수 있다. 이들 유기성폐기물은 환경적인 측면에서 볼 때 다른 유기성 폐수 및 폐기물에 비하여 오염부하량이 상대적으로 높지만, 이를 생물자원 (Biomass)으로 인식하고 이용 할 경우 지구온난화와 같은 환경문제 뿐만아니라 향후 자원고갈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 자원이다. 유기성폐기물을 대체에너지 자원으로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국제적 환경규제와 에너지 정책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자원순환형 폐기물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체계적인 정책적 지원책과 기술 개발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자원 재활용과 에너지회수 기술에 있어 혐기성소화(anaerobic digestion)는 유기성폐기물의 효과적인 감량화, 재이용화, 안정화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유용 에너지원인 메탄가스를 회수할 수 있는 바이오가스 전환기술로 최근에 주목을 받는 biotechnology 중의 하나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특히, 소비자원의 대부분이 해외에 의존하는 국내현실과 최근 고유가에 따른 국가 에너지 정책을 제고해야하는 현 시점에서 유기성폐기물을 이용한 바이오가스화 기술을 널리 보급하기 위해서는 요소기술 개발과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시베리아 자원활용을 위한 TSR-TKR연결 필요성

  • 김상원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2-48
    • /
    • 2001
  • 남북한의 경제협력은 한반도 통합과정과 통일 한반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될 것이다. 남북한 통합이 아직 속단할 단계는 아니므로 중장기적 전망이 타당하겠지만 러시아의 시베리아지역은 아ㆍ태지역과 유럽(중동과 서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 포함)을 이어주는 교량의 위치에 놓여 있는 중요한 지역이므로 이지역을 둘러싼 국제적인 경쟁과 다양한 형태의 국가간 및 지역간 협력의 시대가 불원간에 도래할 것임을 전망할 수 있다.(중략)

  • PDF

소형 UAV를 활용한 명승경관자원 모니터링 방안 (Study of the UAV for Application Plans and Monitoring of scenic site)

  • 김재용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1-242
    • /
    • 2017
  • 본 연구는 소형 UAV를 이용하여 수시로 변하고 있는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주변의 지형경관 변화를 주기적으로 취득함으로서 자연유산에 대한 효과적인 모니터링을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PDF

고부가 서비스용 수용가 통합자원관리 시스템 관련 국내외 표준 조사 분석 (Research about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andards concerning Consumer Portal System for IT-Based Energy Service Business)

  • 최준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209-210
    • /
    • 2008
  • 고부가 서비스용 수용가 통합자원관리 시스템에 관련된 국내외 표준에 대해 조사하였다. 국가 표준은 KSC 부문이 있고, 국제 표준은 주로 IEC가 제정한 것이다. 그밖에 여러 국제 표준화 기구가 있지만 고부가 서비스용 수용가 통합자원관리 시스템 개발에 적용될 수 있는 국제 표준을 찾을 수는 없었다. 그래서 고부가 서비스용 수용가 통합자원관리 시스템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표준이 국내외 표준으로 제안되는 것이 좋겠다. 제안되는 표준안이 국내외에서 표준으로 채택된다면 다양한 기술 개발안이 연구되며 경쟁함으로써 빚어지는 연구역량의 낭비를 줄이고, 기술의 진보 방향을 우리나라에서 주도함으로써 미래 기술 영역을 선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미이용 원양산 대왕 오징어의 식품소재화를 위한 삼투공정법의 개발

  • 조민성;심길보;최영준;이남걸;이동익;조영제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57-158
    • /
    • 2001
  • 어육연제품은 전통적인 수산가공품으로 제품의 모양, 식감등을 조절이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다. 연제품은 명태육을 주원료로 하고 있으며, 태평양 연안 국가들의 자국 자원관리, 한ㆍ일 및 한ㆍ중 어업협정으로 인한 연안자원 감소, 연근해 자원의 고갈등으로 원료확보가 어려워졌으나 국내 및 국제 연제품의 소비는 꾸준히 증가하여 구조적인 원료확보의 어려움에 처하고 있다. 따라서, 대체자원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고 적색육인 고등어등의 어종을 연제품원료로 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적색육 특유의 어취 및 황색도 증가 등으로 이용이 제한되고 있다. (중략)

  • PDF

ATM망에서의 자원분배 및 운영기법 연구 (A Study Of Division and Operation for Network Resources in ATM Networks)

  • 박명혜;김선익;이진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제13회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599-603
    • /
    • 2000
  • 현재 각 국가별로 추진 중인 초고속 정보통신망은 지금까지 전화, 데이터, CATV 등 서비스별 특성에 따라 구축되어온 개별 망들을 대용량 전송, 광대역 교환, 고도지능형 관리 기술을 바탕으로 통합하고, 이들 개별 망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들은 물론 미래에 예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들도 효과적으로 수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가능하기 위하여 모든 초고속 정보통신망은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ATM기반 초고속 정보통신망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 관리하는 방안이 통신망 사업자의 주요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TM통신망에서의 자원 관리의 범주를 단순한 대역폭 할당 뿐 아니라 효율적인 자원관리를 위해 기본적인 트래픽 제어 등으로 폭넓게 고려하여 ATM 망자원 분배를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들을 분석하였다.

  • PDF

석회석 자원 탐사 및 개발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통합 층서적 접근

  • 유인창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2년도 추계 공동 심포지엄 논문집
    • /
    • pp.69-92
    • /
    • 2002
  • 비금속 및 금속 광물자원의 탐사는 국가경영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공공의 기반산업에 해당된다. 지금까지 수행되어 왔던 자원 탐사사업의 대부분은 비교적 개발이 용이한 천부 광상들에 집중되어 왔으며, 천부 광상들의 과도한 개발로 인하여 자원탐사의 범위가 점차 심부화 되고있는 실정이다. 지하 심부에 분포하는 광상들을 효율적으로 탐사해 내기 위해서는 분지 내 심부 퇴적층들에 대한 정밀한 대비와 평가가 요구된다. 그러나, 그 동안 천부 광상들의 평가에 적용되어 왔던 기재적 층서 원리들로는 심부에 분포하는 광상들을 도출해 내는데 한계가 있어 왔다 따라서, 분지 내 퇴적층들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를 위해 새로운 고해상도의 층서틀 수립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태백산분지 오오도비스 중기 퇴적층들에 대한 통합 층서적 접근을 통하여 고해상도 층서틀 수립에 대한 예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통합 층서적 접근은 퇴적 분지의 지체 구조적 진화에 따른 층서를 규명하는데 있어서 보다 나은 통찰을 제공하고 있으며, 아울러 분지 내 비금속 및 금속 광물자원 탐사 및 개발사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통합 층서적 접근을 통한 퇴적층들에 대한 고해상도 층서틀 수립은 분지 내에 부존 되어 있는 모든 형태의 자원 탐사 및 개발사업에 있어서 성공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층서적 규범으로 강조되어져야 한다.

  • PDF

공공 정보자원 가치증대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ays to increase the value of Information Resource in the public sector)

  • 이재두;이종우;김은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742-1745
    • /
    • 2012
  • 올해 초 한국 전자정부가 유엔에서 연속 세계 정상수준으로 평가 받았다. 이는 지난 20여 년간 약 20여조의 예산을 정보화 부문에 투자한 결과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른 한편에서는 그동안 국가정보화를 추진하면서 기투자한 정보자원에 대한 운영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이제 정보자원들을 어떻게 관리하고 활용할 것인가는 공공부문에서 중요한 현안이 되고 있다. 이는 주위 환경변화에 따른 정보자원의 의미와 가치를 재점검할 필요성과 바뀐 상황에 맞게 체계화가 필요한 시기임을 시사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공공부분의 정보자원관리에 대한 전반적 상황에 대한 개관과 함께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금까지는 정보자원을 조직 활동을 위한 투입요소의 시각에서만 접근했지만, 향후는 조직 활동 수행에 필수적인 정보자산의 개념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공공부문 정보자원관리에 대한 제반현상을 문서중심으로 조망하고 이에 따른 대응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결과는 정보자원 관리와 관련된 업무 및 연구를 할 때 정책적 시사점으로 참조하거나, 향후 실증적인 관련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