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국가표준

검색결과 3,320건 처리시간 0.033초

국가표준화 추진체계

  • 한태수
    • 지식정보인프라
    • /
    • 통권9호
    • /
    • pp.66-69
    • /
    • 2002
  • WTO 무역체제에서 세계 각국은 향후 자국에 유리한 국제시장 형성을 위하여 국제표준(ISO, IEC 등)을 신속히 국가표준으로 도입한다던지 또는 자국의 국가표준을 국제표준에 최대한 반영시킨다던지 하는 등의 국제 표준과 연계한 국가표준화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국가표준화 활동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하여 일관되고 효율적인 국가표준 추진체계를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 PDF

측정표준의 경제성연구

  • 김동진;김진호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5-23
    • /
    • 1989
  • 제품제조에 있어 측정의 중요성과 그 경제적 특성에 비추어 주요 산업의 측정관련 투자실태를 파악하고 투자에 따른 그 기여도를 면밀히 분석 한다는 것은 매우 큰 의미를 갖는다. 그 의미의 하나는 측정표준을 공급하고 있는 국가표준기관의 업무수행에 따른 파급효과를 측정하여 향후 국가표준체계의 확립에 필요한 공급기능의 수급자원의 결정에 주요 자료로 기대되고 있다. 그리고 제품의 품질향상을 위한 측정관리의 효율화운동이 점차 확산됨으로써 개별 기업의 생산성 증대와 불량률 감소로 인한 원가절감으로 국산제품의 가격경쟁력의 우위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국가표준의 준용에 따른 측정표준과 관련된 측정투자의 비용과 그 수익성에 관하여 정확한 경제성의 연구 분석이 필요하다. 국가표준의 확립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국가표준의 확립 에 따른 경제성을 분석하여야 한다. 측정투자에 대한 효과분석을 통하여 측정표준에 관한 중요성을 알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는 측정표준을 공급받고 있는 산업체를 대상으로 그 효과를 분석하고 측정의 중요성을 파악하여 일반 산업체에 주지하며 개별 업체의 이익과 국가경제의 부를 창출함으로써 국가표준의 확립효과를 크게 기대하게 될 것이다.

  • PDF

국가 ITS표준화추진체계 운영효율화방안 (한국.미국.일본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The Comparative Analysis of National ITS Standardization System)

  • 이용택;이상건;이승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1-181
    • /
    • 2002
  • 본 연구는 한국, 미국, 일본의 ITS 표준추진체계 비교분석(Comparative Analysis)을 통해, 국가 ITS표준 추진체계의 운영효율화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ITS표준추진체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국외사례분석을 통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대응방안을 제언하였다. 미국, 일본사례 비교분석결과, 국가ITS표준화추진체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관.민협력적, 범부처적 국가ITS표준추진체계 모델을 정립하고, 국제표준과 연계하여 국가표준, 부처표준, 단체표준을 추진하되, 해당표준이 표준의 기능과 역할에 부합하도록 개발.제정되어야한다. 사업자와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Need)를 신속히 표준화할 수 있도록 단체표준화육성을 통해 국가 표준화하고, 특히 교통안전과 공공성에 관련된 ITS기술은 정부부터가 강력히 규제할 수 있는 기술기준(Technical Regulation)을 도입하도록 하였다. 아울러 표준제정 뿐만 아니라 데이터등록소(Data Registry) 및 웹기반의 표준화활동 등 표준화구축사업을 통해 표준화의 활동을 활성화하도록 제언하였다.

T&S FOCUS 이 달의 포커스 - 금속, 나노 조직공학 등 국내 기술의 국제표준화 선점 사례 -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 성공사례로 본 글로벌 경쟁력 강화

  • 황병옥
    • 기술표준
    • /
    • 통권115호
    • /
    • pp.16-19
    • /
    • 2011
  • 표준기술력향상사업은 표준 연구개발, 표준전문가 양성 및 표준 활용 확산 등을 통하여 국가 산업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2010년까지 총 1,000여 건의 과제를 수행하였다. 국제표준을 선점한 국가표준기술력 향상사업의 성공사례를 살펴본다.

  • PDF

최신 소방방재기술 현황

  • 이수경
    • 기계저널
    • /
    • 제44권9호
    • /
    • pp.46-52
    • /
    • 2004
  • 21세기에 들어서면서 IT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모든 분야에서 글로벌화가 신속히 추진되고 있다. 더욱이 WTO/TBT협정(무역의 기술적 장벽에 관한 협정)은 '자국의 국가 표준을 제정할 때 국제표준이 있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국제표준의 채택을 의무화'하여 '선진국은 2005년까지 개발도상국은 2010 년까지 국제표준을 국가표준으로 채택'하게끔 하고 있으며 또한 APEC/CTI 산하의 표준 및 적합성평가소위원회(SCSC : Sub Committee on Standard and Conformance)에서도 회원들의 자국 국가표준을 국제표준과 일치화 할 것을 합의'하여 선진국은 2010년까지 개발도상국은 2020년까지 자국의 표준을 국제표준과 일치화를 완료토록 하였다.(중략)

  • PDF

하천 유량측정분야의 한국산업표준 (Korean Industrial Standards of River Measurements)

  • 김종민;정상화;김민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9-9
    • /
    • 2023
  • 하천의 관리 및 활용을 위해서는 하천의 유량, 수심, 유속과 같은 수리량을 측정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수리량은 측정하는 방법은 직접 측정하는 방법과 구조물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이 있으며, 직접 측정하는 방법도 지점 유속을 측정하여 도섭법으로 측정하는 방법, 초음파 방식 도플러 유속계를 이용한 횡단 측정방법 및 특정 수심에서 측정한 유속을 이용하여 지표유속법으로 유량을 산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수자원의 조사·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1조제1항에 따르면 수문조사의 방법·기준 및 수문조사 자료의 처리·활용 방법 등은 표준화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정부에서는 WTO의 TBT협정 등 국제규범에 대응하기 위하여 국제표준인 ISO, IEC 등에 부합하는 국가표준운영체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여러 분야의 국제 표준에 대한 대응을 수행하고, 국가표준을 관리하고 있다. 그 중 유량측정과 관련된 국가 및 국제 표준은 2018년부터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총괄하고,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한국수자원공사에서 표준관리를 위한 표준개발협력기관과 국제표준 대응협력을 위한 ISO 국내 간사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국가표준의 유량분야(TC 113)는 4개의 세부분과위원회(SC)로 구성되어 있고, 하천에서 수행되는 유량, 수심, 유속 측정 및 측정장비의 검정, 강수량 측정기기 등에 대한 39종이 제정되고 관리하고 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는 유량분야의 일반사항, 하천에서의 유량측정방법 및 유량측정기기에 관한 표준을 담당하고 있으며, 유량분야의 국제표준의 개발에 관한 과업을 수행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관리하는 유량분야 국가표준 및 국제표준의 종류 및 현업에서 수행중인 하천의 유량 측정과 국가표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 PDF

시사포커스-국가서 인쇄분야 직업능력표준 만든다

  • 조갑준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33호
    • /
    • pp.58-61
    • /
    • 2005
  • 출판.인쇄분야가 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사장 이동훈)이 국가차원에서 표준화한 국가직업능력표준에 포함됐다. 국가직업능력 표준 개발은 노동부가 지난 2002년 5월 산업인력공단 중앙고용정보원에 국가직업능력표준개발기획단을 구성해 국가직업능력표준 개발현황, 모형설계, 활용방안 연구와 일부 영역의 개발을 위탁함으로써 이뤄졌다. 이를 통해 노동부와 산업인력공단은 2004년에 출판.인쇄, 환경서비스, 마케팅, 기계장치설치 및 유지보수, 건설시공 등 5개 영역(34직종)의 직업능력표준 개발을 완료했고 향후 매년 20~30개 영역을 개발하여 2008년까지 총 100개 영역에 대해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