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가인적자원개발

Search Result 11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국가인적자원 개발 방향과 전문대학의 과제

  • Gang, Mu-Seop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e
    • /
    • pp.151-156
    • /
    • 2001
  • (1) 21세기 우리나라가 선진국에 진입하여 초일류 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해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지식기반사회로의 성공적인 이행과 디지털 경제 시대에의 능동적인 대응임. (2) 지식기반사회 그리고 디지털 경제시대는 정보와 지식이 가치 창출과 경쟁력의 핵심 원천인 동시에 경제활동의 중심이 되며, 이러한 지식과 정보를 창출 획득, 활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적자원개발 관리가 국가 발전의 핵심 전략임. (3) 대다수 OECD 회원국에서는 이미 지난 세기말부터 지식기반사회로 이행하기 위한 국가 발전의 핵심 전략으로 인적자원개발 관리에 관심과 정책을 총집결하여 왔으며, 국가 차원의 교육개혁추진과 관련부처의 통폐합 등 인적자원개발 관리체제를 재구축 하였음. (4) 부존자원이 전무하여 사람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우리나라도 다각적으로 인적자원개발 관리에 관심을 보이고, 정책을 펼쳐왔지만 아직 국가 차원의 인적자원개발 관리체제가 미흡하여 정책의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곳곳에 인적자원개발 관리의 비효율 비능률이 초래되고 있음.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Integrated Na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Network Infrastructure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국가 지식정보인프라 통합 정보망 구축 방향에 대한 고찰)

  • Jeong, Dong-Yeoul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5 no.3
    • /
    • pp.1-2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guidelines for building up an integrated information network(IIN) model that enable to enhance production, flow and us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IIN consists of five areas of key infrastructure, such as, education, R&D, labor market, school-industry cooperation, and lifelong education information infrastructure. Based on the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of each information infrastructure, this paper raises variety of issues and solution for the IIN model. Directions for building up the IIN includes both information base infrastructure and information support infrastructure.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사업 혁신사례: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을 중심으로

  • Gwon, Gyeong-Seop;Jo, Ji-Yeong;Gang, So-Yeon;Park, Eun-Yeong;Lee, Su-Gy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75-78
    • /
    • 2018
  •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사업은 고용보험법과 근로자직업능력 개발법에 근거하여 고용보험기금을 재원으로 하여 운영되는 사업으로서 고용보험기금을 재원으로 하기 때문에 고용보험료를 납부하는 기업이나 교육생은 전액무료로 수강이 가능하나 경영진의 무관심과 근로자의 필요성 인식 저조, 시간 지리적 제약 등의 이유로 일부 분야에서는 어려움을 겪어 왔다. 본 연구에서 소개하는 사례는 보건산업 분야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사례이다.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역시 초기에는 기업의 참여도 저조 등으로 교육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조직혁신과 수요자 니즈 충족을 통해 급속한 성장과 성과를 내고 있다.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은 컨소시엄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기관 위상 제고 및 조직 안정화 노력을 하였고, 교육 참여기업 및 교육생 수요에 기반한 교육과정 개편, 사업 운영 조직 및 인프라 개편 등 사업 운영 혁신을 통해 교육확대 등 교육사업 성과향상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본 혁신사례는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업사업은 물론 정부지원 교육훈련사업 전반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Method of Organizing the Public Administration System for Library Policy Implementation (도서관정책 추진을 위한 행정체계 조직화 방안에 관한 연구)

  • Cho Hyun-Yang;Lee Jae-Wo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6 no.4
    • /
    • pp.115-132
    • /
    • 2005
  • Libraries' functions include not only being a treasure house for cultural heritage and cultural development but also comprehensive functions such as lifelong learning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t the present time,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MOE) has legal infrastructure and leadership which can develop and manage the nation's overall human and intellectual resources unlike previous Ministry of Education. For library to evolve as a stronghold for developing human resources and lifelong education, library policies must be unified into MOE which can provide the needed leadership. With direct management of libraries by MOE, which is currently overseeing and coordinating the nation's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olicies, library policies can be implemented systematically, mutual cooperation between libraries will be easier, and the link between library policies and the national and reg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olicies can be made.

  • PDF

국방부 인적자원개발 활성화를 위한 국가기술자격 운영개선에 관한 연구

  • Kim, U-Hyeon;Lee, Won-Park;Jeong, Byeong-Han;Park, Jae-Hye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2.11a
    • /
    • pp.233-243
    • /
    • 2012
  • 특수조직에 해당하는 우리 군은 징집에 의한 국방의 의무에 목적을 두어 장병을 관리 운영하여 대학 재학자 또는 일부 지식층으로부터 군복무기간을 평생가치를 두고 버리는 기간으로 인식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군의 변화로 군 생활 시기는 새로운 삶의 도약의 발판으로 '교량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기간으로 변화하여 평생교육차원에서 장병 개개인의 자기발전을 지원하여 생산적인 병영생활이 될 수 있도록 군 스스로 인적자원개발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군 인적자원 운영과 자격과의 상관성에 대해 고찰하면서 현재 지속가능 자격과 미래 유망자격에 대해 도출하기 위해 보스턴컨설팅그룹의 매트릭스(BCG Matrix)를 활용하여 군의 현재 위치에 대해 분석하고 이에 따른 국가기술자격의 효율적 운영방안과 인적자원개발의 예측경영에 대해 제언하도록 한다.

  • PDF

영재교육, 주요 정책방향 및 향후 과제

  • 오승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2.05a
    • /
    • pp.51-65
    • /
    • 2002
  • 올 3월1일부터 영재교육진흥법이 시행됨에 따라 영재교육이 공교육차원에서 실시되는 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그간 영재교육에 관해서는 필요성을 공감하면서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어 왔다. 그렇지만 1996년부터 판별도구 개발 및 영재교육 시행방안에 대한연구를 계속해왔고, 최근 사회의 급격한 변동, 그에 따라 우수인력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작년부터 관계부처간 협의 및 각계의견을 수렴하여 영재교육 추진방향을 정립하게 되었다. 특히 지난해에는 인적자원개발회의(의장: 교육부총리)에서 영재교육 추진방향에 대한 정부차원의 의견을 모으는 한편, 몇 십년 전부터 영재교육을 실시해온 미국을 각 시.도교육청 담당자들과 방문하여 수업현장을 살펴보고, 이스라엘 영재학교 교장을 면담하는 등으로 영재교육을 구체화하는 작업을 추진해 왔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올 4월 10일 인적자원개발회의에 '영재의 조기발굴 및 육성에 관한 2002년도 국가인적자원개발 시행계획'을 보고하고, 5월3일자로 부산과학고를 영재학교로 지정하면서 영재교육은 교육정채그이 한 영역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여기에서는 현재까지 정립된 국가차원의 영재교육 시행방안에 대한 설명과 함께 앞으로 영재교육이 공교육 제도 안에서 자리잡도록 하기 위한 과제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 PDF

대학의 기초 통계학 교육: 이대로 둘 것인가?

  • Jeong, Chi-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07-212
    • /
    • 2003
  • 21세기 정보화, 기술, 국제화 등 시대적 성격에서 볼 때 국가적 차원의 통계적 소양 교육은 일반 시민의 기본 소양 및 인적자원 개발의 문제임을 인식하고 국가 그리고 대학의 일반 교육 정책으로 다를 필요가 있다. 현재 대학 교육에서 소외되고 사각지대에 있는 기초통계학 교육을 사회 변화와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교육이 시급한 과제이다. 본 논문은 대학 기초통계학의 현재의 대학교육 상황, 학생들의 교육적 배경, 통계적 소양과 시대적 의미, 기초통계학의 목표, 성격 그리고 방향들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Transition Process of Vocational Education as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Korea (산업인력양성 체제로서 국내 직업교육의 변천 과정 고찰)

  • Kim, Chung Hwan;Moon, Inyoung;Park, Shinhee;Kim, Ji Hyeon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45 no.2
    • /
    • pp.21-4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how the vocational education for training industrial workforce as a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NHRD) system has undergone a transition process in relation to the national economic, industrial, and socio-cultural contexts. First, how vocational education as an industrial workforce training system has changed in accordance with Korea's economic environment, industrial development, and social changes; second, what are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d the role and importance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hird, vocational education as a system for training industrial workforce and training workforce in science and engineering were analyzed different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HRD model. To this e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 papers, research reports, and thesis were investigated and classified by period, and major changes in vocational education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economic, industrial, and social issues and policies by perio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as the industry advanced, the level of vocational education increased and the scope expanded. Second, vocational education tended to shrink gradually after the manufacturing industry base, and especially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tended to decline after the national industry focused on light industry. Third, since the 1970s, the diversification of the NHRD and jobs has resulted in wage gaps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 which has increased the preference for university education and avoided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 addition, a NHRD model focusing on training science and engineering workforce was proposed to compare the existing NHRD model focusing on overall vocational education,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NHRD needs to be subdivided into various fields or levels to derive a model and examine change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vocational education in Korea, especially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has declined due to large impacts on socio-cultural perception due to economic growth, enthusiasm for education, and external shocks such as the financial crisis, and the long-term effort to change this perception is suggested to overcome the crisis of vocationa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