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국가대표

검색결과 1,148건 처리시간 0.041초

국가대표도서관의 구술 컬렉션 핵심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Key Factors of the Oral Collection in National Representative Library)

  • 정연경;이재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53-77
    • /
    • 2020
  • 본 연구는 외국의 국가대표도서관 구술 컬렉션의 현황을 분석하여 한국의 국가대표도서관에서 구술 컬렉션을 구축할 때,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를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미의회도서관과 영국국립도서관, 호주국립도서관에서는 구술자료를 국가적으로 전승시켜야 할 국가지식유산으로 간주하여 일찍부터 관련 센터나 부서를 설치하고 모든 역량을 집중시켜 구술 컬렉션을 대표적인 컬렉션 중의 하나로 수집, 활용, 보존하고 있다. 이들 국가대표도서관의 구술 컬렉션 분석을 바탕으로 현재 구술 컬렉션이 전무한 국립중앙도서관이 국가대표도서관으로서 구술 컬렉션을 처음 시작할 때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를 법령, 조직, 수집 정책, 서비스, 컬렉션, 교육 및 협업, 기금 및 후원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하키 페널티 코너 시 고등학교 선수와 국가대표 선수간의 플릭슈팅 동작 비교 (A Comparision of Flick Shooting Motion in Penalty Corner between High School and National Players in Field Hockey)

  • 김호묵;우상연;김기운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99-50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필드하키 페널티 코너 시 고등학교 선수와 국가대표 선수간의 플릭 슈팅 동작을 비교 분석하여 페널티 코너 지도 시 운동학적 지침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전문 슈터 남자 고등학교 선수 5명과 국가대표 선수 6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여 페널티 코너 시 플릭 슈팅 동작을 비교 분석하였다. 국가 대표 선수들은 고등학교 선수에 비하여 스틱헤드 속도와 볼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대표 선수들은 고등학교 선수에 비하여 스틱으로 볼을 캐치하는 단계에서 오른발을 볼보다 앞쪽에 많이 내딛고, 볼을 앞쪽으로 길게 드래그하여 목표 방향으로 빠르게 보내고 있다. 고등학교 선수들은 국가대표 선수들에 비하여 볼을 캐치하는 단계에서 어깨의 각속도와 손목의 각속도 변화가 크고 동작 시간도 짧게 나타났다. 국가 대표 선수들은 신체 무게 중심의 상하편차가 적으며 폴로스루 단계에서도 릴리즈 단계의 몸 숙임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였으며 릴리즈 시점에서는 손과 전완의 각운동량이 고등학교 선수에 비하여 큰 것으로 나타났다.

NFRI 파트너 - KSTAR 참여로 핵융합 주요 기술의 대표 업체로 부상한 (주)SFA

  • 국가핵융합연구소
    • 핵융합뉴스레터
    • /
    • 통권47호
    • /
    • pp.14-15
    • /
    • 2010
  • 1997년부터 KSTAR 장치 개발에 참여해 진공함침금형과 KSTAR 토카막 주장치 조립을 위한 공학설계 및 조립과 제작 등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주)SFA(대표이사 배효점)는 국가핵용합연구소를 위시한 국가 연구소와 삼성, 현대, LG 그룹 및 POSCO 등 국내 대기업과 해외 총 15개국에 납품실적과 단독공사 수행 경험을 보유한 종합엔지니어링 회사로 KSTAR 참여를 통해 향후 핵융합발전소 건설에도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 PDF

태릉선수촌 국가대표 스포츠 팀 닥터의 역할 (Role of Team Doctor in Sports: Taeneung Korea National Training Center)

  • 김리나;고정아;김종덕;이제훈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5-69
    • /
    • 2009
  • 대한민국의 국가대표 선수가 되기 위해서 선수들은 반복적으로 많은 양의 훈련을 하며 이에 따른 크고 작은 스포츠 손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들이 많다. 태릉선수촌 안의 의무실에서는 이러한 부상 선수들을 관리하며 국제대회의 지원 업무와 도핑 관련업무 등을 수행해 내고 있다. 국가대표 선수들을 관리하는 태릉선수촌에서의 의사의 역할을 소개해 보고자 한다.

  • PDF

국가대표 선수들의 훈련 기간 동안 발생한 스포츠 손상 분석 (Analysis of sports injuries among Korean national players during official training)

  • 김은국;김태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3호
    • /
    • pp.555-56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엘리트 운동선수들이 국가대표 선수로써 공식적으로 수행한 훈련 기간 동안 발생한 스포츠 손상에 대해 종목별로 분석하였다. 국가대표 선수들을 진료하고 관리하는 의사, 물리치료사 및 종목별 트레이너들은 훈련도중 발생한 모든 스포츠 손상을 보고서 양식에 기록하였고, 이 중 기존에 이환되어 있는 만성 스포츠 손상을 제외한 급성 및 재발성 스포츠 손상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1년간 총 3,421건의 스포츠 손상이 발생하였고, 이 중 1,560건은 급성 스포츠 손상, 1,861건은 재발성 급성 손상이었다. 남자 선수와 여자 선수에서 급성 스포츠 손상이 가장 많이 발생한 종목은 각각 복싱과 하키였다. 남자 선수와 여자 선수에서 재발성 급성 스포츠 손상이 가장 많이 발생한 종목은 각각 레슬링과 펜싱이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국가대표 선수들의 공식적인 훈련기간 동안 발생한 종목별 스포츠 손상과 관련된 특징 및 발생률 (incidence rates)에 대한 다양한 분석 결과를 포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들의 훈련 중 발생하는 스포츠 손상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NTIS 범부처 국가R&D과제 신청 프로세스 설계 (A Study on Process Design for Applying the National R&D Projects of Governmental Department)

  • 한희준;김윤정;최희석;김재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87-590
    • /
    • 2014
  • 국가R&D사업 관리를 위해 17개 부처 청은 각각의 과제관리 대표전문기관을 지정하고 있으며, 16개 대표전문기관은 매년 국가R&D 과제를 발주하고 예산을 집행하며, 협약된 과제에 대한 성과를 관리하고 있다. 국가R&D 과제를 발주하기 위해 먼저 사업에 대한 공고를 시행하는데 대부분의 부처 및 대표전문기관은 온라인 시스템을 이용한다. 대표전문기관은 각각의 연구관리시스템을 운영하여 R&D과제 공고정보를 게제하고 연구자는 해당 시스템에 로그인하여 과제를 신청한다. 이 때 과제신청을 하고자하는 연구자는 원하는 공고정보를 찾고 과제를 신청하기 위해 산재된 연구관리시스템을 접근하여 원하는 정보를 탐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범부처 국가R&D과제 공고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산재된 연구관리시스템에 개별적으로 접근하지 않고도 과제신청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기종간의 로그인 방안과 과제신청 프로세스, 신청된 관제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논하며, 이는 국가R&D과제를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자에게 과제 신청 방법의 효율성을 제공한다.

올림픽 국가대표 선수들과 일반선수들의 감각추구 성향 분석 (Sensation Seeking Analysis of Olympic Team's Athletes and General Athletes)

  • 안정덕;김정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407-41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올림픽 국가대표선수들과 일반선수들의 감각추구 성향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대한민국 대표선수로 발탁되어 태능선수촌에서 훈련 중인 261명(남:134, 여:127)의 선수들과 고등학교, 대학 및 실업팀에서 측정 당시 선수로서 활동하며, 국가대표 경력이 전혀 없는 252명(남:192, 여:60)의 일반 선수들이 피험자로 참여하였다. 다음과 같은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국가대표 선수들이 일반선수들에 비해 스릴과 모험추구(p<.05), 권태 민감성(p<.05), 탈제지(p<.001)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험추구 요인에서는 성별과 수준별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남자 선수들이 여자 선수들에 비해 스릴과 모험추구(p<.01) 및 탈제지(p<.001) 요인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남자 선수들의 경우 스릴 및 모험추구 성향이 가장 높은데 반해 여자 선수들은 경험 추구 성향이 가장 높다는 특징을 발견하였다.

국가대표 선수의 성격강점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haracter Strength of National Players)

  • 유현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480-489
    • /
    • 2020
  • 이 연구는 국가대표 선수들의 체험에 내재하여 있는 강점의 본질적인 의미를 찾고자 Giorgi(1985)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대한체육회에 소속된 국가대표 개인, 단체 종목 선수들로 참여를 원하는 선수들을 의도적 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최종 6명을 선발하였다. 심층 면담은 2019년 9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되었으며, 1회 90~180분, 각 선수당 2회의 심층 면담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17개의 하위요인, 5개 요인으로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5개의 요인은 좋은 습관 만들기, 나만의 무기 만들기, 긍정적 사고, 단순화하기, 좋은 컨디션 유지하기로 나타났다. 결과에서 나타난 5가지의 요인은 자발적으로 이루어질 때 강점으로 발휘되며, 이러한 강점은 선수들이 진정으로 자신의 종목을 좋아하게 되는 계기와 활력을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강점들은 선수들의 긍정심리프로그램 개발과 심리기술훈련에 긍정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국가대표 유도선수의 신체부위별 스포츠상해에 대한 후향적 연구 (Sport Iinjuries by Body Parts in National Judo Athletes: A Retrospective Study)

  • 김혜영;정은정;이병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661-670
    • /
    • 2020
  • 본 연구는 국가대표 유도 선수들의 스포츠 상해 발생 부위 및 발생 패턴 경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08년부터 2016년까지 9년간 국가대표 유도 선수들이 훈련 및 경기 중 경험한 모든 부상에 대한 기록을 바탕으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국가대표 유도 선수로 활동한 259명 중 여자는 123명, 남자는 13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물리치료가 필요한 스포츠 상해는 총 20,345건이었으며, 하지 9,688건(47.62%), 상지 5,807건(28.54%), 체간 4,850건(23.84%)이었으며, 무릎 관련 부상(27.82%)이 다른 부상에 비해 특히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깨, 발, 등은 남자 선수에서 더 자주 발생하였고, 발목, 목, 손 부상은 여자선수에서 스포츠 상해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항 추세선을 사용하여 각 부위 별 스포츠 상해 증가 및 감소에 대한 흐름을 알아본 결과 전반적으로 스포츠 상해가 감소하는 추이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손과 엉덩이와 같은 기존에 드물게 발생한 부상 부위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유도 선수의 스포츠 상해 관련 훈련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