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치부 교합붕괴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16초

구치부 지지 소실 및 무너진 교합관계를 보이는 환자에서 Dental CAD-CAM system을 활용한 완전 구강 회복 증례 (Full-mouth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loss of posterior support and collapsed occlusion utilizing dental CAD-CAM system)

  • 정지원;허성주;김성균;곽재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44-54
    • /
    • 2022
  • 다수 치아의 상실 상태로 장시간 지속시 구치부 지지의 부족 및 치아들의 과정출이 발생되어 교합 부조화, 수직고경 상실 및 기능 장애 등의 심각한 문제가 초래된다. 본 증례는 장기간 다수치아 결손으로 인하여 대합치가 정출하면서 교합평면의 붕괴가 일어난 환자의 완전 구강 회복에 관한 증례이다. 상기 환자는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치과보철과로 내원한 68세 남환으로 오래된 상악 의치를 빼다가 치아가 함께 발거되었으며, 하악 전치부가 상악 전치부와 강하게 닿아서 불편함을 호소하며 내원하였다. 여러가지 평가를 통해 수직고경을 4 mm 거상하였으며, 무치악부는 진단 및 치료계획시 설계한 최종 보철 수복물 제작을 고려하여 정확한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 CAD-CAM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기술을 이용한 Computer guided implant surgery를 시행하고,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으로 진행하였고, 환자는 저작, 기능 및 심미 모두 큰 개선에 만족하였다.

실패한 임플란트 보철수복물을 가진 환자의 교합평면 재설정 (Re-establishment of occlusal plane in a patient with a failed implant prosthesis)

  • 강현구;고경호;허윤혁;조리라;박찬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41-153
    • /
    • 2018
  • 계속적인 치아의 상실과 마모 및 보철물의 실패로 초래된 생리적이지 못한 교합평면은 비심미성, 저작 효율의 감소 및 교합 간섭와 같은 기능적인 문제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무치악 환자나 교합 평면이 붕괴된 환자의 보철 치료 시, 저작 기능과 조화로운 교합평면의 설정이 중요하다. 본 증례의 환자는 완전 무치악 상태인 상악을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하였다. 6년 경과 관찰 시, 기존 임플란트 보철물의 도재 파절, 마모, 나사풀림과 같은 기계적 합병증이 관찰되었고, 대합하는 전치의 마모 및 정출과 일부 구치부 치아의 상실로 인해 교합평면이 붕괴된 상태였다. 진단 과정을 거쳐 무치악 부위의 추가적인 임플란트 식립과 보철물의 재제작 및 모든 잔존 치아의 수복을 통해 전악구강회복을 시행하였다.

과개교합을 갖는 부분무치악환자의 전악수복 (Full-mouth rehabilitation of partial edentulism in a deep bite patient)

  • 김성훈;이예규;고경호;허윤혁;조리라;박찬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87-197
    • /
    • 2017
  • 과도한 수직피개를 가진 과개교합 환자에서 안정적인 유지접촉이 없는 경우 연조직 외상, 치질 파괴, 대합치 정출의 문제가 일어날 수 있고 이는 결과적으로 교합평면의 붕괴와 기능적, 심미적 문제로 이어진다. 치아의 상실과 마모가 발생된 환자에 대한 치료계획 수립 시 올바른 교합수직고경 설정을 통해 환자의 안정적인 악간관계를 회복시켜야 한다. 본 증례는 중심위에서 극심한 면 대 면 접촉이 발생된, 편측 구치부가 상실된 과개교합 환자에게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술을 시행한 증례를 보고하였다. 보철수복 공간 확보를 위해 수직고경증가를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술로 안정적인 교합관계와 조화로운 전방, 측방유도를 얻어 환자의 기능적, 심미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편측 구치 및 전치 상실로 인한 교합 붕괴 환자에서 치료 의치와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를 이용한 수복 증례 (A case of treatment denture and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n a patient with collapsed occlusion caused by partial loss of posterior and anterior teeth)

  • 안혜빈;이근우;이용상;임선영;김성용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110-118
    • /
    • 2022
  • 다수의 치아 상실은 교합의 부조화를 일으키며, 수직고경 상실과 하악 운동의 변위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중심위에서 적절한 수직 고경과 교합을 재형성하는 것이 중요한 치료 목표가 될 수 있다. 한편,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는 국소의치의 유지, 지지 및 안정을 증가시켜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때문에 최근에 자주 사용되는 임상 술식이다. 본 증례는 편측 구치부 및 전치부 지지의 소실로 편측 교합면간 거리가 소실된 환자에서 치료 의치를 제작하고 기존에 식립된 양측의 임플란트를 지대치로 이용한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를 제작하였고 양호한 임상 결과를 확인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심한 교모와 구치부 상실을 보이는 환자의 전악 수복: Jaw motion tracking과 digital workflow를 활용한 증례 보고 (Full-mouth rehabilitation of severely attrited dentition with missing posterior teeth: a case report using digital workflow with jaw motion tracking)

  • 박찬영;이영후;홍성진;백장현;노관태;배아란;김형섭;권긍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293-307
    • /
    • 2023
  • 최근 다양한 증례 보고에서 소개되고 있는 jaw motion tracking은 환자의 안궁 이전 및 개별화된 하악 운동 경로를 기록한 후, 이를 computer-aided-design/computer-aided-manufacturing (CAD-CAM) 소프트웨어의 가상공간상에 재현하는 방법이다. 본 증례의 환자는 오랜 기간 구치부의 상실로 인해 교합평면의 붕괴가 관찰되었기에, 수직 교합 고경의 증가를 동반한 완전 구강 회복술을 계획하였다. 우선 jaw motion tracking을 진행하여 새로운 중심위 상에서 환자의 하악 운동을 기록한 후, 이 정보를 환자의 초진 구내 데이터 및 3차원 안면 스캔 데이터와 조합하여 가상 환자를 생성하였다. 가상 환자 상에서 진행한 디지털 왁스업과 임플란트 식립 계획을 바탕으로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새롭게 설정된 수직 교합 고경 상에서 적절한 견치 유도를 보이는 임시 보철물의 검증을 통해, 최종 보철물로 이행하였다. 이처럼 디지털 치의학 기술의 장점을 활용하여 환자는 저작능과 심미성의 개선에 만족하였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골관절증 환자에서 하악 운동 추적 장치와 이중 스캔 기법을 활용한 완전 구강 회복 증례 (Complete mouth rehabilitation, using jaw motion tracking and double scan technique in a patient with osteoarthrosis: a case report)

  • 정서경;곽재영;허성주;김성균;박지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82-94
    • /
    • 2024
  • 본 증례는 치아의 전반적 마모를 보이며 구치부 지지가 소실된 환자를 대상으로 전악 수복을 진행한 증례이다. 측두 하악 관절의 상태를 분석 후, 붕괴된 교합을 회복하기 위해 다수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었다. 고정체/지대주 수준의 인상 채득에서, 교차 마운팅을 위한 여러 번의 복잡한 교합 기록을 동반하는 전통적 인상 채득 방법 대신 구강 스캐너를 이용한 방식을 채득하였다. 하악의 불안정한 움직임을 반영하기 위해, '하악 운동 추적(jaw motion tracking)'장치와 '디지털 안궁 이전(digital face-bow transfer)'을 이용하였고, 이차 임시 수복물을 기반으로 하여 최종 수복물로 복제하는 '이중 스캔 기법(double scan technique)'으로 최종 수복물을 제작하였다. 위와 같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불안정한 교합을 갖는 환자에게 보다 짧은 체어 타임으로 완전 구강 회복을 진행할 수 있다.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상악 가철성 국소 의치와 하악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한 구강 회복 증례 (Rehabilitation of posterior support and vertical dimension in a class 3 malocclusion patient: A case report)

  • 오지환;표세욱;장재승;김선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75-186
    • /
    • 2022
  • 상, 하악에 잔존 치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합 접촉이 가능한 대합 치아가 없어서 교두 감합위를 상실하게 되는 엇갈린 교합은 결과적으로 수직 고경의 붕괴를 초래한다. 본 증례에서는 엇갈린 교합 및 전치부 반대교합을 동반하는 III급 부정교합 환자를 상악 가철성 국소 의치와 하악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하여 구강 회복을 진행하였다. 3개월 동안 임시의치의 착용 기간을 거쳐 수직 고경 안정화 및 심미성 개선을 위한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였고, 이를 최종 수복물에 반영하기 위하여 전방 유도 테이블의 제작과 수직 고경 및 교합 관계의 유지를 위한 교차 마운팅을 시행하였다. 하악 임플란트 및 상악의 지대치는 금속 도재관을 이용하여 수복하였고, 상악의 편측성 무치악 부위는 국소 의치를 제작하였다. 단계적인 치료 과정을 통해 구치부의 적절한 지지 및 전치부의 반대교합의 해소를 통한 상호보호교합의 교합관계를 형성하였으며, 환자에게 심미적, 기능적인 치과 보철물을 장착함으로써 만족스러운 치료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심한 마모를 가진 환자에서 전자 서베잉을 이용한 금관 및 국소의치 수복 증례 (Rehabilitation of severely worn dentition using Monolithic surveyed restoration and electronic surveying in RPD metal framework fabrication: A case report)

  • 최영하;김형섭;권긍록;배아란;노관태;백장현;홍성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43-249
    • /
    • 2018
  • 과도한 치아 마모를 가진 환자들을 치료를 시작할 때 수직교합고경의 상실과 수복을 위한 공간의 적절성으로 분류하게 된다. 본 증례의 환자는 80세의 여성으로 구치부 교합지지가 상실되어 대합치가 정출하면서 교합평면의 붕괴가 일어나고 잔존 치아의 마모 증가가 동반되어 보철을 위한 약간의 악간 공간의 상실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경우 최소한의 수직교합고경의 증가를 부여하고 안정화기간을 거쳐 안정된 교합접촉을 제공한다면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수직고경의 증가를 동반하여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과 상악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을 하였고 이러한 치료과정을 통하여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심한 마모로 인하여 교합 고경이 감소된 환자의 완전 구강 회복술 (Full-mouth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reduced occlusal vertical dimension due to severe wear: a clinical report)

  • 김민정;김형섭;우이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39-46
    • /
    • 2013
  • 구치부 지지가 붕괴되면 전치부 마모, 교합 고경 감소 등의 문제가 나타나고, 이로 인하여 측두 하악 관절 장애나 저작근의 문제, 비심미적인 안모, 저작 효율의 감소 등의 문제가 초래되기도 한다. 광범위한 수복을 요하는 이러한 환자에서는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의 수립을 통하여, 기능과 심미 회복 및 근신경계와 악관절의 안정과 적응을 이루어 주어야 한다. 본 증례의 환자는 63세의 남자 환자로 전반적인 치아 마모로 인한 저작 곤란과 심미적 불만족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구강 검사, 방사선 검사, 모형 검사 결과를 종합한 수직 고경 평가를 통하여 수직 고경의 증가를 동반한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을 결정하였다. 진단 wax-up을 통해 잠정적으로 4 mm 거상하여 12주간 overlay 형식의 가철성 임시 보철물을 장착하였으며 만족할 만한 적응을 보여 치아 삭제 후 임시 치관 장착 및 새로운 임시 가철성 국소의치를 장착하였다. 16주 후 안정적인 적응을 보여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7개월 간 경과 관찰 결과 안정적인 교합을 이루고 있는 것을 관찰하였고, 이를 통해 환자의 기능적, 심미적인 만족을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전방 임플란트 써베이드 고정성 보철물과 후방연장 국소의치를 이용한 전악 보철 치료의 3년 경과 관찰 증례 (Three-year follow-up of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anterior implant surveyed bridges and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 길기성;이효경;김경아;이정진;서재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18-226
    • /
    • 2018
  • 부분 무치악 환자에게 소수의 임플란트를 전략적인 위치에 식립하여 추가적인 유지와 지지를 얻는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ARPD)를 제작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로 치료한 여러 증례와 임상가이드라인을 보면 후방 무치악 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이 추천된다. 그러나 실제 임상에서는 구치부의 심한 치조골 흡수나 해부학적 이유로 외과적 수술(상악동거상술, 골 이식술 등)이 부가적으로 필요한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해 후방의 무치악 부위는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하되, 소수의 치아가 잔존하는 전방 무치악 부위는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하여 지대주로 활용하는 치료방법이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상악 구치부 치아의 상실과 잔존치열에 중등도 이상의 마모를 보이는 환자에 대한 증례로 상악 전방부에 3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잔존하는 상악 전치부 자연치와 더불어 각각 써베이드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하였으며 상악 후방연장 국소의치를 제작하였다. 그와 함께 손상된 하악 자연치는 고정성 보철물로 전악수복하였다. 이로써 감소된 수직고경 및 붕괴된 교합평면을 회복하여 기능적, 심미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지속적인 경과관찰 중이다. 본 증례를 통해 전방부 임플란트 써베이드 고정성 보철물과 후방연장 국소의치에 의한 보철치료 증례의 3년 경과관찰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