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조 학습

Search Result 3,003, Processing Time 0.071 seconds

Analysis of learning Effects according to the Structure Component of Transactional Distance in Online Course (온라인 과정에서 교류적 거리의 구조 지각수준과 학습효과의 관계)

  • Kim, Jeong-Kyoum;Lee, Sung-Il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a
    • /
    • pp.108-113
    • /
    • 2007
  • 온라인 학습 환경을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것은 학습자의 학습 성공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학습과정의 이해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일이다. 만일 학습자와 교수자가 효율적으로 교류하면 학습자가 느끼는 심리적 거리감은 상당히 최소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학습자들의 온라인 학습에서 교류적 거리의 구조 지각은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가를 알아보고 온라인 환경에서의 수업만족도, 지속성, 학업성취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구조의 하위영역이 무엇인지를 밝혀 학습자들의 학습효과를 체계적으로 높일 수 있는 온라인 환경의 요소를 탐색하는데 있다.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연구 목적에 따라 다양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인 성별에 따른 교류적 거리의 구조 지각수준은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p>.05). 교류적 거리의 구조 지각수준과 학습자가 지각하는 수업만족도간에 의의있는 상관이 있었으며, 학습자의 학습 지속성과도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업성취도와 교류적 거리의 구조 지각수준 간에는 유의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p>.05). 교류적 거리의 구조 하위영역 중 수업만족도에 대한 영향력이 큰 하위영역은 과정 상호 작용이며, 학습 지속성에 대한 영향력이 큰 하위영역은 내용 구성요인으로 나타났다.

  • PDF

FCM-based RBF Network Using Fuzzy Control Method (퍼지 제어 기법을 이용한 FCM 기반 RBF 네트워크)

  • Kim, Tae-Hyung;Park, Choong-Shik;Kim, Kw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8.06a
    • /
    • pp.149-154
    • /
    • 2008
  • FCM 기반 RBF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학습 구조가 결합된 혼합형 모델로서, 입력층과 중간층의 학습 구조는 FCM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중간층과 출력층 사이의 학습 구조는 Max_Min 신경망을 적용한다. 입력층과 중간층의 학습시 입력벡터와 중간층의 노드중에서 중심과 입력벡터간의 가장 가까운 노드를 승자 노드로 선택하여 출력층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중간층과 출력층 사이의 학습 구조는 Max_Min 신경망을 적용하여 중간층의 승자 뉴런이 출력층의 입력벡터로 적용한다. 하지만 많은 패턴이 입력벡터로 제시될 경우 학습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간층과 출력층의 학습 구조인 Max_Min 알고리즘의 학습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퍼지 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학습률을 동적으로 조정하는 퍼지 제어 기법을 이용한 FCM 기반 RBF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의 학습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영상에서 추출한 숫자, 영문 식별자를 학습 데이터로 적용한 결과, 기존의 ART2 기반 RBF 네트워크보다 학습 시간이 적게 소요되고, 학습의 수렴성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Hypermedia Structure and Cognitive Style on Learning Performance in Elementary Schools (하이퍼미디어 학습 프로그램 구조와 학습자 인식양식이 초등학생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Kim, Sung-Wan;Hwang, Kyung-Hyu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7 no.3
    • /
    • pp.57-6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hypermedia structure(hierarchical and network), learner's cognitive style(field-independent and field-dependent), and learning performance in the elementary school. 128 students(4th graders) having field-independent and field-dependent cognitive style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hierarchical and network structures of hypermedia learning program. There was not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hypermedia structure and cognitive style in learning performance. The students in the hierarchical hypermedia structure showed higher learning performance than ones in the network hypermedia structure. Field-independent students significantly got higher results than field-dependent ones. It is concluded that instructional designers should consider hypermedia structure, learner's cognitive style, and learning outcomes when they plan and design hypermedia learning program.

  • PDF

Effects of the Cooperative Learning Utilizing Structures in a Science Class of an Elementary School (초등 과학 수업에서 구조 활용 협동학습 효과 분석)

  • Shin, Eun Sun;Lee, Myung 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171-174
    • /
    • 2012
  • 이 연구는 협동학습의 수행과정에서 학습자들이 느끼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협동학습 활동을 돕기 위해 협동학습 구조의 활용방안을 제안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구조 활용 협동학습을 설계하고, 초등학교 4학년 1학기 과학과에서 실험단원을 선정하여 구조 활용 협동학습의 각 단계에 따라 수업을 하고,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관련된 태도의 관점에서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ㅎ'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 중 사전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관련된 태도 검사에서 동질집단으로 확인된 2개 학급 56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구조 활용 협동학습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과학 탐구 능력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과학에 관련된 태도 변화에 있어서도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습자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 eb-based Cooperative Learning System on Structural Approach (웹기반 구조중심 협동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Jung, Gou-Ok;Yang, Hyung-Jung;Choi, SooK-You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7 no.3
    • /
    • pp.111-121
    • /
    • 2004
  • One of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s, the cooperative learning of structural approach which is very simple and easily applicable accomplishes teaching-learning through combining learning contents and organic connections of various structures. This work proposes a cooperative teaching-learning model for the structural approach, designs and implements a web-based cooperative system supporting it. The model provides a concrete frame which can apply to a subject learning thus could effectively support cooperative learning. Furthermore, it classifies learning into three types such as knowledge learning, investigation, and function mastering and presents a structure application model for each so as to apply different structures according to learning materials and types. We implemented a system that performs cooperative learning on the basis of these models, applied to a class, and analyzed the effect of it.

  • PDF

The Relations of Learning Effectiveness and the Level of Learner's Structure Perception of Transactional Distance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온라인 학습에서 교류거리의 구조지각수준과 학습효과의 관계)

  • Kim, Jungkyum;Lee, Sungil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1 no.6
    • /
    • pp.85-94
    • /
    • 2008
  • This study is to find strategies to promote distance learning effectiveness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level of learner's perception of the structure of transactional distan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ex (p>.05).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learner's perception of the structure and academic satisfaction(p<.01). And, the level of learner's perception of the structure and learning durability appear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p>.05)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mong the three subordinate factors, the course interaction organization had the most influence on the learner's academic satisfaction and the learner's learning durability was influenced the most by the content organization.

  • PDF

학습 구조차트 구성을 통한 수학수업이 고등학생들의 학업에 미치는 영향

  • Baek, Eun-J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161-166
    • /
    • 2003
  • 본 연구는 학습 구조차트 구성을 통하여 고등학교 수학의 학습내용을 구조적 ${\cdot}$ 체계적으로 조직화시켜 학생들로 하여금 학습 내용의 효과적인 이해와 상호 관련성을 촉진시키고 학습 내용의 조직화 및 구조화 활동이 고등학생들의 학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따르면 수학 학업성취도가 상인 학생은 문제풀이시 머릿속에서 차트를 그리게 되고 여러 가지 개념을 나열하여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이 생겼으며 문제 유형에 맞춘 학습 보다는 어떤 개념들이 문제풀이에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개념들이 어떻게 나열되는지에 대한 학습으로 관심이 전환되었다. 수학학업 성취도가 하인 학생들은 학습 구조차트의 구성에만 만족하는 편이며 선행지식의 부족으로 복합적인 개념의 문제풀이에 있어서는 여전히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성적이 낮은 학생일수록 개념에 대한 구조화와 조직화에 대한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보여 이들 학생들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

Application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to Damage Evaluations of a RC Mock-up Structure (구조물 손상평가를 위한 인공신경망의 RC Mock-up 적용 평가)

  • Kim, Ji-Young;Kim, Ju-Yeon;Yu, Eun-Jong;Kim, Dae-You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687-691
    • /
    • 2010
  • 구조물의 건전도를 평가하기 위해 상시 구조물 계측을 이용한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 시스템을 적용하게 된다. SHM 시스템의 궁극적 목적은 계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손상위치 및 손상정도를 분석하여 거주자에게 유지관리정보와 대처요령 신속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의 손상탐지를 위해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을 도입한 알고리즘을 수립하고, 이를 3층 실대 RC Mock-up 구조물에 적용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먼저 인공신경망의 학습을 위해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손상에 따른 동적특성 변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학습된 인공망에 실제 구조물에서 추출한 동특성의 변화를 입력하여 손상탐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인공신경망의 학습방법, 학습데이터의 정규화 방법 등을 규명하고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손상탐지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Hypermedia Contents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ix Grades′ ′national overseas expansion′Unit for Self Directed Learning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초등학교 6 학년 ′우리민족의 해외 진출′단원 하이퍼미디어 컨텐츠개발)

  • 이근무;김태표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1.12a
    • /
    • pp.201-20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초기하적 구조라 할 수 있는 하이퍼미디어 구조로 가진 계열성을 넘어선 상호작용적 수업구조의 틀로서 하이퍼미디어를 이용하였다. 이를 컴퓨터 보조 수업이 교수이론의 최근 동향 중에 하나인 개별 학습별 수업의 요구에 부응하여 학습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즉각적인 피드백을 통해 학습자에게 적절한 자극을 줌으로써 학습의욕의 고취를 강화할 수 있고 학습자의 능력에 따라 학습의 속도를 조절이 가능하여서 개별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살려보았다. 특히 문자, 그래픽, 영상, 음향, 음성 그리고 비디오 등과 같은 여러 미디어를 병합시켜 표현하는 멀티미디어를 교육에 적용시킨 하이퍼미디어 학습 코스웨어는 학습자의 주의력과 상상력을 키워 줄수 있으며 학습자가 학습에 흥미를 갖고 학습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며 적극적으로 원하는 정보를 선정하고 학습 순서 를 조정하는 등 학습 동기가 높은 상호 작용적 학습 환경을 창조하고 자신에게 적합하게 여러 주제로 이동하고 정보를 연결해 보다 융통성 있는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lf-Directed Remote Education System to Study Data Structure (자료구조 학습을 위한 자기 주도적 원격 교육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Heo, Sun-Young;Kim, Eun-G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353-35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C언어를 이용한 자료구조를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원격 교육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각 단원별로 이론 강의 및 실습 강의, 형성평가로 이루어져 있으며, 실습 강의에서는 코딩 영역에 직접 코딩한 소스를 온라인 상에서 컴파일 및 실행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특히 한 화면에서 따라가기 형태로 화면의 이동을 하지 않고 실습하는 것이 가능하고 코드의 실행 결과 보기를 할 수 있으므로, 자료구조 학습 내용을 학습자 스스로 충분히 숙지하고 실습할 수 있는 웹 기반 실습 환경을 제공한다. 이론과 실습을 겸함으로써 학습자는 이해하기 어려운 자료구조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고,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실습에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학습의 흥미를 높일 수 있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