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조 설계 및 해석

Search Result 3,41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구조해석 및 설계용 프로그램의 현황조사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3 no.2
    • /
    • pp.13-29
    • /
    • 1990
  • 구조해석 및 설계분야에서의 컴퓨터 이용은 이미 일반화 되어 수많은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70년대 초에 SAP, NASTRAN 같은 범용 해석프로그램이 개발되어 보급되면서, 구조해석 및 설계업무에서의 컴퓨터의 이용은 확산되었다. 이제는 국내의 소규모의 용역회사나 설계사무소에서도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조해석 및 설계를 하는 것이 상당히 보편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구조해석 및 설계에 사용되는 컴퓨터프로그램은 SAP, STRUDUL 같은 대형 범용 프로그램에서부터 특수한 구조물을 해석 또는 설계하기 위하여 개발된 전용 프로그램까지 매우 다양하다. 또한 수많은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었기 때문에, 자기에게 당면해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프로그램 중 어떤 것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인가, 또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해양 하는 것인가를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관점에서 국내에서 현재 사용 또는 판매되고 있는 구조해석 및 설계용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 PDF

A Case Study on Application Method of Korea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through the Analysis of Wind Load Criteria based on Korean Building Code (KBC) (KBC 풍하중 기준 분석을 통한 풍하중의 한국형 BIM 적용방안에 관한 사례연구)

  • Cho, Young-Sang;Shin, Tae-Song;Hong, Seong-Uk;Bae, Jun-Seo;Kim, Yu-Ri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509-51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KBC(Korean Building Code)와 IBC(International Building Code)의 풍하중 기준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BIM 프로세스 기반의 구조해석 및 설계 프로그램에서 풍하중 산정 시 국내 건축구조설계기준(KBC)을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BIM 기반 구조해석 및 설계 프로그램 중에는 한국구조설계기준(KBC)에 부합하는 풍하중 산정이 가능한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다. 구조설계 기준에서 특히 풍하중 산정 방법은 기준 및 지역에 따른 산정 방법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구조설계의 안전성을 높이고 한국 실정에 맞는 건축물의 설계를 위해서 KBC 기준의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IBC와 KBC 내의 풍하중 산정 방법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고, 실제 사례연구를 통하여 풍하중 산정의 차이를 확인한다. KBC 기준 풍하중 산정 결과를 구조해석 및 설계 프로그램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외부 프로그램을 활용하며 외부 프로그램에서 산정한 풍하중을 다시 구조해석 및 설계 프로그램 상에 입력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함으로써 KBC 기준 풍하중의 적용을 통한 한국형 BIM 구조해석 및 설계의 방안을 제시한다.

  • PDF

Structural Design and Analysis of Coiling Arm Unloading Machine for Submarine Cable (해저케이블 하역용 코일링 암 구조설계 및 해석)

  • Kim, Myung-Hwan;Kim, Dong-Hyun;Ryu, Gyeong-Joong;Sim, Jae-Park;Choo, Heon-Ho;Lee, Seung-Min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574-57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해저케이블 부두 하역용 장비인 코일링 암(coiling arm)에 대한 구조설계 및 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설계를 위해 3차원 CAD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델링하였고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한요소법에 기초한 전산해석 기법으로 해석을 수행하였다. 코일링 암의 목적에 맞추어 케이블을 케이블 탱크에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베어링 및 롤러를 설계하여 메인 암이 회전하고 케이블 가이드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고, 기존의 외국 모델에서 사용하던 와이어 및 모터 시스템을 이용한 케이블 가이드 작동방식을 유압 시스템을 이용한 작동방식으로 변경하여 설계 및 제작이 쉽고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자중 및 케이블 하중에 대한 응력 해석을 수행하였고, 유압시스템에 의한 파손 가능성을 고려하였다. 케이블 가이드에 이동 및 지면 경사도에 따른 전복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설치 장소를 고려한 풍하중 효과도 추가로 고려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코일링 암의 작동방식을 개선하였으며 설계 및 해석 방법을 확립과 더불어 국내 최초로 실제 코일링 암을 제작 및 설치하였다.

  • PDF

Study on Structural Design of Glass/epoxy Composite Blade and Tower of Vertical Axis Wind Turbine System (수직축 풍력 발전 시스템의 유리/에폭시 복합재 블레이드 및 타워 구조 설계 연구)

  • Park, Hyunbum
    • Composites Research
    • /
    • v.31 no.3
    • /
    • pp.104-110
    • /
    • 2018
  •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structural design and analysis procedure about composite blade and tower of vertical axis wind turbine technology. In this study, structural design of tower for vertical axis wind turbine was performed after vertical blade design and manufacturing. The structural design requirement and specification of blade and tower was investigated. After tower of structural design,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tower was conducted by the finite element method. It was performed that the stress, deformation and natural frequency analysis at the applied loading. The design modification of tower configuration was proposed by structur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final designed tower structure is safety through the structural analysis.

Study on Structural Design and Analysis of Fuel System for Aircraft Auxiliary Fuel Tank (항공기 보조연료탱크 연료시스템 구조 설계 및 해석)

  • Choi, Won;Park, Hyunbum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3 no.4
    • /
    • pp.60-65
    • /
    • 2019
  • This study did a structural design of a fuel system of auxiliary fuel tank applied to aircraft then analyzed it. The safety of the structural design result was investigated. Aluminum alloy metal structure was applied to the fuel system structure. The structur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ommercial finite element software. The design requirement was maximum accelerate condition of the structure. Therefore, structural design was done considering the maximum accelerate condition.

Structural Design and Analysis of Sandwich Composite Structure for Floor Board Structure (샌드위치 복합재 바닥 구조물의 구조 설계 및 해석)

  • Park, Hyunbum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1 no.6
    • /
    • pp.64-67
    • /
    • 2017
  • This work dealt with structural safety analysis about sandwich composite structure of automotive floor board. In this work, structural design and analysis of sandwich composite structure for automobile floor board were performed. Firstly, structural design requirement of automobile floor board was investigated. After structural design,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automobile floor board were performed by the finite element analysis method. It was performed that the stress and displacement analysis at the applied load condition. After structural test of target structure, structural test results were compared with analysis results. Through the structur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signed floor board structure is safety.

용접 구조 설계

  • 윤중근;박동환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10 no.4
    • /
    • pp.44-57
    • /
    • 1992
  • 본 보에서는 용접 구조물의 파괴 방지를 위한 제반 용접 구조 설계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기술 하였다. 현대 용접 구조물의 각 선급이나 spec.에서 규정한 식들에 의해 산정된 정적하중으로 구조 설계되는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유한 요소 구조 해석에 의한 강도 평가, 외부하중의 직접 계산에 의한 보다 정확한 설계 하중의 설정 및 통계적 처리를 통한 합리적인 구조해석(피로강도 포함)등으로 설계되고 있다. 더우기 구조설계시 구조물의 취성파괴를 고려한 파괴강도 및 인성 개념을 도입하였을 뿐 아니라 균열의 존재와 성장을 파괴 역학적으로 해석하여 구조물의 조업 중에서의 파괴관리 및 제어도 실시할 수 있는 총합적인 설계에 의하여 용접 구조물은 제작되고 있다. 비록 구조물의 총합적인 구조 설계로 제작되었을지라도, 구조물의 사용 성능은 용접부의 특성에 의하여 크게 변하게 되므로 용접 설계의 역할을 매우 중요하다. 용접 설계란 용접시공법, 구조부재 및 용접재료의 선정, 용접 이음부의 구조적 형상과 세부 형상 및 그외 용접에 관련된 제 인자들을 상호 유기적으로 조합함으로써 보다 경제적이고 신뢰성 있는 용접부를 얻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 PDF

Study on Design, Manufacturing and Test Evaluation using Composite Materials of Vertical Axis Wind Turbine Blade (수직축 풍력 블레이드의 복합재 적용 설계, 제작 및 시험 평가 연구)

  • Park, Hyunbum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2 no.3
    • /
    • pp.58-63
    • /
    • 2018
  • This work dealt with the design and manufacturing of composite blades of a vertical axis wind turbine system. In this work, aerodynamic and structural designs of sandwich composite blades for a vertical axis wind turbine system were performed. First, the aerodynamic and structural design requirements of the composite blades were investigated. After the structural design was complete,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wind turbine blades was performed using the finite element analysis method. It was performed with the stress and displacement analysis at the applied load condition. A design modification for the structurally weak part was proposed as a result of the structural analysis. Through another structur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final designed blade structure is safe.

구조물 전용 구조해석 및 설계 S/W PACKAGE(MIDAS) 개발

  • 이형우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5 no.3
    • /
    • pp.56-62
    • /
    • 1992
  • 여기서 소개하게 될 MIDAS(the Most Intelletive Design and Analysis System) Package는 기존 구조해석 S/W Package들의 사용상 불편하였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 단시간내에 단위구조해석 및 설계작업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으며, 특히 최신의 Computer Graphics 기능을 도입하여 모든 Data의 입력과정과 해석결과 Data 처리과정을 Graphic 화면상에서 직접 처리할 수 있도록 전처리 및 후처리 기능에 중점을 두고 개발함으로써 해석 실무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MIDAS는 '90 중반 개발에 착수하여 '91.9 Version 1.0을 완료하였으며, '91.10 과학기술처에 공식등록하고 현재 Structural Optimum Design 및 설계도면 자동생산 기능 등을 포함한 Version 2.0을 개발 중에 있다.

  • PDF

막구조 건축물의 구조설계

  • 박즐림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4 no.1
    • /
    • pp.32-35
    • /
    • 1991
  • 본 고에서는 막구조 해석.설계시의 주요 내용을 각 해석단계별로 간략히 소개하였다. 막구조는 막이론 자신이 가진 근사성, 요소의 탄성 특성의 근사, 막면 요소로 곡면을 나타내는 기하학적 근사 등으로 구조물의 형태, 막재료의 동특성에 따라 해석시 오차가 발생하게 되며, 또한 구조설계 단계에서 막 판넬 제작 및 시공에 대한 고려가 되지 않으면 그 오차는 더욱 크게 된다. 따라서 향후, 보다 정확한 막구조의 설계를 위해서는 섬유직포에 코팅한 막재의 역학적 특성을 보다 잘 표현할 수 있는 막재모델의 정식화, 막재단도 해석시 무장력 상태의 설계곡면을 구하는 방법, 막판넬을 접합하고, 장력을 도입하는 시공과정을 고려한 실초기 평형상태 및 시공과정 해석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한다. 또한 초기형상 해석에서 시공과정 해석까지 전 설계과정을 공통 Data Base에서 일관 작업이 가능하도록 막구조통합 설계 System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