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조음향제어

Search Result 10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an Image Classifier using Multi-Neural Networks (다중 신경망을 이용한 영상 분류기에 관한 연구)

  • Park, Soo-Bong;Park, Jong-A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1
    • /
    • pp.13-21
    • /
    • 1995
  • In this paper, we improve an image classifier algorithm based on neural network learning. It consists of two steps. The first is input pattern generation and the second, the global neural network implementation using an improved back-propagation algorithm. The feature vector for pattern recognition consists of the codebook data obtained from self-organization feature map learning. It decreases the input neuron number as well as the computational cost. The global neural network algorithm which is used in classifier inserts a control part and an address memory part to the back-propagation algorithm to control weights and unit-offset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it does not fall into the local minima and can implement easily the large-scale neural network. And it decreases largely the learning time.

  • PDF

Development of an Ultrasonic Motor and Evaluation Device (압전초음파모터 제작 및 평가장치 개발)

  • Sin, Seong-Su;Ryu, Yeong-Su;Kim, Yu-Ma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1
    • /
    • pp.10-16
    • /
    • 1996
  • Ultrasonic motor is a motor driven by the stator via frictional contact forces generated from ultrasonic vibration of piezoelectric elements. In order to control the ultrasonic motor, it is essential to measure accurately the motor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driving parameters such as frequency, voltage, phase difference and duty ratio of the driving signals. In this paper, a PC-interfaced evaluation device is developed, and the characteristic curves of the fabricated ultrasonic motor are measured with those parameters. All driving parameters are processed digitally. The developed evaluation device can facilitate charateristics measurements effectively, and provide a base for digital control of the ultrasonic motor.

  • PDF

A Study on the optimum characteristic parameter of Modified CFDN's (Modified CFDN's 특성 파라미터의 최적화에 대한 고찰)

  • Ko Byeong-Seob;Kim Hack-Yo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223-226
    • /
    • 1999
  • 인공 잔향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잔향 시스템의 안정도 및 시간-주파수 응답을 용이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일반 FDN's(Feedback Delay Networks)에서의 귀환 행렬인 unitary 행렬를 circulant 행렬로 사용한 CFDN's가 최근에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구조는 주파수 응답의 평탄도가 낮고, 영점들의 위치를 조절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FDN's의 시간응답 특성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주파수 응답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반 귀환 필터의 귀환부에 직접경로가 없는 CFDN's를 적용한 MCFDN's(Modified CFDN's) 에 관하여 고찰하고, 이 시스템의 특성을 결정하는 특성 파라미터의 최적화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 PDF

Text-dependent Speaker Verification System in SVAPI 1.0 Environment (SVAPI 1.0 환경에서의 어구 종속 화자 확인 시스템)

  • 김유진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8a
    • /
    • pp.401-405
    • /
    • 1998
  • SVAPI 1.0 환경에서의 어구 종속 화자 확인 시스템에 대해 기술한다. 구현된 시스템은 궁극적으로 공중 전화망 응용이 가능한 실용 시스템을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이를 위해 SVAPI 위원회에 의해 제안된 SVAPI 1.0을 개발 환경으로 사용하였다. SVAPI는 객체 지향 구조, 클라이언트-서버 및 telephony 환경의 지원등이 특징이며 어플리케이션과 엔진을 독립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구현된 데모 시스템은 펜티엄 프로세서와 Windows95/NT 4.0 운영체제 그리고 Win16/Win32 API를 통해 제어 가능하며 음성 입력이 가능한 디바이스를 장착한 IBM 호환 PC이다. 화자의 성문 등록은 화자가 동일한 어구를 3회 발성하여 이뤄지며 등록과 확인의 응답속도는 모두 1초 이내이다. 소프트웨어의 구성은 크게 어플리케이션과 어구 종속 화자 확인 엔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엔진은 끝점 검출 알고리즘, 음성 특징 추출 알고리즘 그리고 연속 HMM 기반의 화자 성문 모델 등록 및 유사도 계산 등을 포함한 확인 알고리즘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자의 성문은이름과 같은 약 3음절 이상의 단어로 등록되고 테스트되었다. 엔진의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전화선을 통해 남자 6명, 여자 3명의 화자로부터 자신의 이름을 각각 40회 발성하여 구축된 음성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였으며 실험 결과 남자는 2.85%, 여자는 2.44%의 EER을 각각 얻었다.

  • PDF

Implementation of the Multi-Channel Speech Recognition System for the Telephone Speech (전화음성인식을 위한 멀티채널 음성인식 시스템 구현)

  • Yi Siong-Hun;Suh Youngjoo;Kang Dong-Gyu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179-182
    • /
    • 2000
  • 본 논문은 전화음성 서비스 시스템의 핵심 기술인 멀티채널 음성인식 시스템의 구현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구현한 시스템은 전화망 인터페이스 모듈, 음성입력 모듈, 음성인식 모듈, 및 서비스 제어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전화망 인터페이스 모듈은 전화망을 이용한 교환기와의 호 처리 및 이벤트 처리를 담당하며, 전화망 접속카드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음성입력 및 인식 모들은 호 접속이 이루어진 채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아 단어인식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멀티 채널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음성인식 모델은 문맥 종속형 CHMM 모델이며, 각각의 HMM 모델은 3-state, skip path 로 구성되어 있다. 음성인식 모듈내의 함수들은 모두 re-entrant 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멀티 채별이 가능하며, 각각의 채널은 모두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에서 동작하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은 멀티채널 전화음성인식 시스템은 Dialogic보드를 이용하여 Windows NT에서 동작하도록 구현하였다. 실험결과, 구현된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상용서비스가 가능한 인식율을 보였으며 원활한 멀티채널 지원이 가능하였다.

  • PDF

Volume Velocity Control of Active Panel to Reduce Interior Noise (실내소음 저감을 위한 능동패널의 체속도 제어)

  • 김인수
    • Journal of KSNVE
    • /
    • v.9 no.1
    • /
    • pp.33-41
    • /
    • 1999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of actively controlling the interior noise by a trim panel with hybrid feedforward-feedback control loop. The control technique is designed to minimize the vibration of panel whose motion is limited to that of a piston (out-of-plane motion). The hybrid controller consists of an adaptive feedforward controller in conjunction with a linear quadratic Gaussian (LQG) feedback controller. In order to maintain control performance of both persistent and transient disturbances, the feedback loop speeds up the adaptation rate of feedforward controller by improving damping capacity of secondary plant related with the adaptation rule. Numerical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 indicate that the hybrid controller is a more effective method for reducing the vibration of the panel (and therefore the interior noise) compared to using feedforward controller.

  • PDF

Collocation of Sensor and Actuator for Active Control of Sound and Vibration (능동음향진동제어를 위한 센서와 액추에이터의 동위치화 연구)

  • 이영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3.11a
    • /
    • pp.778-783
    • /
    • 2003
  • The problem considered in this paper is about the collocation of sensor and actuator for the active control of sound and vibration. It is well-known that a point collocated sensor-actuator pair offers an unconditional stability with very high performance when it is used with a direct velocity feedback (DVFB) control, because the pair has strictly positive real (SPR) property. In order to utilize this SPR characteristics, a matched piezoelectric sensor and actuator pair is considered, but this pair suffers from the in-plane motion coupling problem with the out-of$.$plane motion due to the piezo sensor and actuator interaction. This coupling phnomenon limits the stability and performance of the matched pair with DVFB control. As a new alternative, a point sensor and piezoelectric actuator pair is also considered, which provides SPR property in all frequency range except at the first resonance in very low frequency. This non-SPR resonance could be minimized by applying a phase lag compensator.

  • PDF

직육면체 공동 내부의 소음 저감을 위한 능동 구조-음향 연성제어

  • 이상원;황철호;이장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7.04a
    • /
    • pp.218-223
    • /
    • 1997
  • The technique used is the active structural acoutrol (ASAC)approach which involves controlling the acoustic response of a panel-cavity covpled system by applying oscillating force inputs in the form of prezoelectric actuators directly to the flexible panel. The linear quadratic Gaussian control scheme is used for attenuating nosie inside the rectangular enclosure causing by flexible wall vibration. Results indicated the application of control inputs to the radiating wall resukted in considerable noise reductions inside the cavity. Auso,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to the more complicated fluid-structure coupled system is verified.

Sound Radiation Analysis for Structure Vibration Noise Control of Vehicle Tire under The Action of Random Moving Line Forces (불규칙 이동분포하중을 받는 차량 타이어의 구조 진동소음 제어를 위한 음향방사 해석)

  • Kim Byoung-sam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221-224
    • /
    • 2004
  • A theoretical model has been studied to describe the sound radiation analysis for structure vibration noise of vehicle tires under the action of random moving line forces. When a tire is analyzed, it had been modeled as curved beams with distributed springs and dash pots that represent the radial , tangential stiffness and damping of tire, respectively. The reaction due to fluid loading on the vibratory response of the curved beam is taken into account. The curved beam is assumed to occupy the plane y=0 and to be axially infinite. The curved beam material and elastic foundation are assumed to be lossless Bernoulli-Euler beam theory including a tension force, damping coefficient and stiffness of foundation will be employed. The expression for sound power is integrated numerically and the results examined as a function of Mach number, wave-number ratio and stiffness factor.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 for structure vibration noise of vehicle tire under the action of random moving line forces has been made. Based on the Spatial Transformation of Sound Field techniques, the sound power and sound radiation are measured.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operation condition in the tire material properties and design factors of the tire govern the sound power and sound radiation characteristics.

  • PDF

Optimization of Multi-time Scale Loss Function Suitable for DNN-based Audio Coder (심층신경망 기반 오디오 부호화기를 위한 Multi-time Scale 손실함수의 최적화)

  • Shin, Seung-Min;Byun, Joon;Park, Young-Cheol;Beack, Seung-kwon;Sung, Jong-m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1315-1317
    • /
    • 2022
  • 최근, 심층신경망 기반 오디오 부호화기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심층신경망 기반 오디오 부호화기는 기존의 전통적인 오디오 부호화기보다 구조적으로 간단하지만, 네트워크의 복잡도를 증가시키지 않고 인지적 성능향상을 기대하는 것은 어렵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간의 청각적 특성을 활용한 심리음향모델 기반 손실함수를 사용한 기법들이 소개되었다. 심리음향 모델 기반 손실함수를 사용한 오디오 부호화기는 양자화 잡음을 잘 제어하였지만, 여전히 지각적인 향상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심층신경망 기반 오디오 부호화기를 위한 Multi-time Scale 손실함수의 지역 손실함수 윈도우 크기의 최적화 제안한다. Multi-time Scale 손실함수의 지역 손실함수 계산을 위한 윈도우 크기를 조절하며, 이를 통하여 오디오 부호화에 적합한 윈도우 사이즈를 결정한다. 실험을 통해 얻은 최적의 Multi-time Scale 손실함수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훈련하였고, 주관적 평가를 통해 기존의 심리음향모델 기반 손실함수보다 좋은 음성 품질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