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조음향제어

Search Result 10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Measurements of the floor impact sound level for floating screeds in apartment house (共同住宅 뜬바닥構造의 바닥 衝擊音레벨 測定)

  • Park, Byeong-Jeon;Shin, Young-Moo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1 no.2
    • /
    • pp.38-49
    • /
    • 1992
  • The structure borne soun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building acoustics. Nevertheless, there is not yet sufficient knowledge to predict its behavior in preparing the acoustical design of a building. We are concerned with the concrete floating floor construction, which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ways to control floor impact sound. This study is to develop floating screeds isolated from the conventional concrete floor structures, to improve the concrete floor systems for the purpose of the good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which protects the propagation of the structure borne sound. Floor impact sound in many apartment house buildings and developed floating floors was measured, and we can save many floor impact sound data.

  • PDF

Performance Analysis on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in Underwater Acoustic Sensor Network (수중 음향 센서 망에서의 코드 분할 다중 접속 기법에 대한 성능 해석)

  • Seo, Bo-Min;Cho, Ho-Shi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5 no.9A
    • /
    • pp.874-881
    • /
    • 2010
  • Acoustic signal, which is a main carrier of underwater communication, attenuates along the traveled path heavily depending on the frequency as well as inter-node distance. In addition, since it has a long propagation delay, the conventional medium access control (MAC) schemes requiring complex signaling procedures and accordingly heavy overhead messages would not be appropriate in underwater communica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scheme as a solution for MAC of underwater communication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A hierarchical data-gathering tree topology is considered and a staggered wake-up pattern is employed for the purpose of energy saving. As a performance measure, the data rate at each level of hierarchical topology is derived.

해류제어 막구조 설치해역의 유동구조 특성(1)

  • 김현주;최학선;박용주;박병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218-219
    • /
    • 2000
  • 바다목장화는 자연급이형 재배어업시스템이며, 해류제어 막구조물(Fig. 1)은 (1)어패류의 서식환경 조성 및 제공, (2)기초생산의 증대를 통한 고차 소비자의 위집과 생산 증대 및 (3)어류의 사료가 되는 저서생물의 증식 효과라는 직접적인 효과와 (4) 와류, 상승류에 수반된 유동변화, 음향발생 등에 의한 부차적인 집어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5) 저층 영양염의 분산 소모를 통한 계절적 영양염의 집중부상에 의한 계절적 부영양화의 감소효과를 가지는 기능시설로서 중요한 증식시설이다(김과 류, 1997). (중략)

  • PDF

Multiple Vibration Control of a Trim Panel to Reduce Structure-borne Noise (구조 소음저감을 위한 격자 패널의 다중 진동제어)

  • Kim, In-Soo;Kim, Yeung-Sh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6 no.2 s.95
    • /
    • pp.153-163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격자패널을 통한 소음전달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외부 구조적 가진으로부터 유발된 경량 패널의 진동을 능동 제어하는 기법을 기술한다. 최적 되먹임제어기와 적응 앞먹임제어기가 결합된 혼합형 제어기가 진동제어기로 사용된다. 되먹임제어기는 주파수 영역의 모델규명법에 의해 추출된 다중 입/출력 패널진동계 모델에 대하여 LQG 최적기법을 이용하여 감쇠능을 향상시키도록 설계된다. 앞먹임제어기는 되먹임 궤환의 결합효과를 자동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제안된 학습법칙에 기초하여 패널의 잔류진동이 최소가 되도록 적응된다. 45.7${\times}$45.7${\times}$2.54 ${cm^3}$ 벌집형상의 고강도 패널, 4개의 관성형 구동기 및 이산신호처리장치에 의해 구현된 패널 진동계에 대한 능동제어 실험을 수행해 본 결과 600Hz 주파수대역에 대한 12dB 진동저감이 이루어 질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Recognition of Korean Continuous Speech using Discrete Duration CHMM. (이산 시간 제어 CHMM을 이용한 한국어 연속 음성 인식에 관한 연구)

  • 김상범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06c
    • /
    • pp.368-372
    • /
    • 1994
  • 확률적 모델을 이용한 HMM 으로 한국어 연속 음성 인식시스템을 구성하였다. 학습 모델로서는 양자화 DCK가 없는 연속출력 확률밀도를 사용한 연속출력 확률분포 HMM과 과도 구간 및 정상 구간의 시간구조를 충분히 BYGUS할 수 없는 것을 계속시간 확률 파라메터를 추가하여 보완한 이산 지속시간 제어 연속출력 확률분포 HMM을 이용하였다. 인식 알고리즘은 시계열 패턴의 시간축상에서의 비선형 신축을 고려한 에 매칭으로서, 음절의 경계를 자동으로 검출하는 O에을 이용하였다. 실험에서 사용된 연속음성데이타는 4연 숫자음과 연속음성 10문장으로 하였다. 인식 실험 결과 4연 숫자음에서 CHMM은 80.7%, DDCHMM은 92.9%의 인식률을 얻었고, 신문 사설에서 발췌한 연속 음성문장의 경우 CHMM 54.2%, DDCHMM에서는 68.9%을 얻어, 시간장 제어를 고려한 DDCHMM이 CHMM보다 SHB은 인식률을 얻었다.

  • PDF

Helmholtz 공명원리를 이용한 해수교환형 방파제의 성능해석

  • 조일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8.09a
    • /
    • pp.84-87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음향학에서 음파를 제어하는데 주로 이용되는 헤름홀츠 공명장치의 원리를 방파제에 응용하였다. 외해에서 발생된 입사파는 Fig.1에 보여진 입구를 가진 공명 구조물(Resonant Structure)을 만나면 에너지 일부는 입구를 통하여 방사(Radiate)되며 또 일부 에너지는 입구를 통하여 공명 구조물 안으로 방사된다. 공명 구조물 안으로 들어온 파의 주파수와 공명 구조물의 고유 주파수(Natural Frequency)들 중 첫 번째 공진 모드(Resonance Mode)의 주파수가 일치되면 구조물 내부에서의 파는 크게 증폭된다. (중략)

  • PDF

An Improved Seheme in IMT-2000 CDMA Forward Link Using Combined Speech and Channel Coding (음성 및 채널부호화의 연계성능 분석을 이용한 IMT-2000 CDMA 순방향링크 성능개선)

  • 김선영;강법주;윤병식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3
    • /
    • pp.65-71
    • /
    • 1998
  • 비균등 에러 보호에 의한 IMT-2000용 CDMA 순방향 링크의 성능개선 방법을 나타 내었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은 다경로 페이딩채널 및 BPSK변조에 대한 CS-ACELP 음성부 호화기 및 RCPC 채널부호화기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CS-ACELP 부호화기의 비트 에러 감도 정보에 근거한 연계성능분석 결과제안된 방법은 SEGSNR이 0.4∼1dB 개선되었다. 또 한 총전송율 및 전력제어비트를 펑처링하지 않고도 기존 구조를 유연성있게 변경 가능하다.

  • PDF

Design for the Reflection Free Zone with the Adequate Initial Time Delay Gap at the Control Room (음향조정실에서 적절한 초기지연시간을 갖는 무반사지역의 설계연구)

  • Rhee, Esther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6 no.1
    • /
    • pp.32-41
    • /
    • 2007
  • The control room has been usually designed by the consideration of only one listening position for the sound engineer. By this study. many listening positions with the very similar acoustical condition were located in the specific region, so-called 'the reflection free zone', where the several engineer could evaluate the quality of sound at the same time. For constructing the reflection free zone, the control room has been designed by the concept of the $LEDE^{TM}$, and the initial time delay gap has been controled by the structure of control room and the properties of sound-absorbing materials. diffuser, Helmholtz resonator and image source of sound. The occurrence of any harmful phenomena like the standing wave, acoustic focusing. coloring. Hass effect and flutter echo, has greatly reduced in the reflection free zone.

Secondary Path Estimation Algorithm Based on Residual Music Canceller for Noise Cancelling Headphone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에 적합한 잔여 음악 제거기 기반의 2차 경로 추정 알고리즘)

  • Ji, Youna;Lee, Keunsang;Park, Youngcheol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4 no.5
    • /
    • pp.377-384
    • /
    • 2015
  • An active noise control (ANC) algorithm for noise canceling headphone is proposed. In this study, the feedback ANC operated with the filtered-x least mean square algorithm (FxLMS) algorithm is used to attenuate the undesired noise. Also an adaptive residual music canceller (RMC) is proposed for enhancing the accuracy of the reference signal of the feedback ANC.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a high quality of music sound can be consistently achieved in a time-varying secondary path situation.

Active Structural Acoustical Control of a Smart Structure using Uniform Force Actuator and Array of Accelerometers (균일힘 액추에이터와 가속도계 배열을 이용한 지능구조물의 능동구조 음향제어)

  • ;Stephen J Elliott;Paolo Gardoni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3.05a
    • /
    • pp.368-373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f low frequencies volume velocity vibration control of a smart panel in order to reduce sound transmission. A distributed piezoelectric quadratically shaped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olymer film is used as a uniform force actuator and an array of 4$\times$4 accelerometer is used as a volume velocity sensor for the implementation of a single-input single-output con rot system. The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tudy of sensor-actuator frequency response function sho vs that this sensor-actuator arrangement provides a required strictly positive real frequency response function below about 900Hz. Direct velocity feedback could therefore be implemented with a limited gain which gives reductions of about 15㏈ in vibration level and about 8 ㏈ in acoustic power level at the (1, 1) mode of the smart Panel. It has been also shown that the shaping error of PVDF actuator could limit he stability and performance of the control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