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조물 건전도 모니터링

Search Result 16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Recent Research Summary on Smart Sensors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센서 관련 최근 연구동향)

  • Kim, Eun-Jin;Cho, Soo-Jin;Sim, Sung-H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9 no.3
    • /
    • pp.10-21
    • /
    • 2015
  •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 is a technique to diagnose an accurate and reliable condition of civil infrastructure by collecting and analyzing responses from distributed sensors. In recent years, aging civil structures have been increasing and they require further developed SHM technology for development of sustainable society. Wireless smart sensor and network technology, which is one of the recently emerging SHM techniques, enables more effective and economic SHM system in comparison to the existing wired systems. Researchers continue on development of the capability and extension of wireless smart sensors, and implement performance validation in various in-laboratory and outdoor full-scale experiments. This paper presents a summary of recent (mostly after 2010) researches on smart sensors, focused on the newly developed hardware, software, and validation examples of the developed smart sensors.

An Energy-Dissipation-Ratio Based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에너지소산률을 이용한 구조물의 건전도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 Heo, Gwang-Hee;Shin, Heung-Chul;Shin, Jae-Chu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8 no.1
    • /
    • pp.165-174
    • /
    • 2004
  • This research develops a technique which uses energy dissipation ratio in order to monitor the structural health on real time basis. For real-time monitoring, we employ the NExT and the ERA which enable us to obtain real-time data. Energy dissipation ratio is calculated from those data only with the damping and natural frequency of the structure, and from the calculated values we develop an algorithm (Energy dissipation method) which decides the damage degree of structure. The Energy dissipation method developed in this research is proved to be valid by comparison with other methods like the eigenparameter method and the MAC. Especially this method enables us to save measuring time and data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in real-time monitoring, and its use of the ambient vibration also makes it easy to monitor the whole structure and its damage points.

Wireless Impedance-based Steel Bridge Health Monitoring Incorporating Neural Networks (인공신경망기법을 이용한 무선 임피던스 기반 강교량 건전성 모니터링)

  • Min, Ji-Young;Park, Seung-Hee;Yun, Chung-Bang;Shim, Hyo-Jin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658-66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교량의 볼트 체결부, 응력집중부 등 손상의 발생이 유력한 위치에 부착된 압전센서-무선 임피던스 센서노드를 통해 구조물의 건전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을 소개하였다. 임피던스 기반 건전성 모니터링에 있어서 구조물에 발생하는 손상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파수 성분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러한 주파수 영역을 자동으로 결정함과 동시에 손상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인공신경망 기법을 적용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구조물에 발생한 손상의 종류 및 손상의 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선 임피던스 센서노드-인공신경망 기반 손상탐색 통합 시스템은 실제 강교량에서 발생한 볼트풀림, 균열 등 국부적인 손상의 진단을 위하여 적용되었으며, 그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 PDF

Temperature Compensation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Impedance-based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임피던스 기반 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의 온도보상기법)

  • Shim, Hyo-Jin;Min, Ji-Young;Yun, Chung-Ba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32-35
    • /
    • 2011
  • 전기역학적 임피던스(electromechanical impedance)를 이용한 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 기술은 구조물의 주요 부재에 압전센서를 부착하여 이로부터 획득한 임피던스 신호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구조물의 국부적 상태를 실시간으로 진단하는 것이다. 임피던스는 손상뿐만 아니라 외부 온도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구조물 진단 결과에 상당한 오차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상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온도변화가 임피던스 기반 진단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PZT 센서를 사용하여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리액턴스(reactance)의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을 통해 도출된 첫번째 주성분과 저항(resistance)으로부터 계산된 손상지수 사이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온도변화에 의해 구별되지 않았던 손상을 보다 확연하게 구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election of sensing locations for a high-rise building using displacement participation factor and strain energy density (변위기여도 및 변형에너지밀도를 활용한 고층 건물의 센싱 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 Lee, Hong-Min;Park, Sung-Woo;Park, Hyo-Seon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217-220
    • /
    • 2009
  • 고층 건물에 대한 구조 안전성 모니터링은 건물 특성상 계측 대상 부재가 많고 하중과 구조반응의 관계가 복잡하기 때문에 센싱 위치 선정의 어려움으로 그 적용에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층 건물의 구조 건전도 모니터링을 위한 구조반응 계측위치를 선정하기 위해서 에너지 이론에 근거한 부재의 변위기여도 및 변형에너지밀도 개념을 도입하였다. 보, 기둥, 코어 전단벽, 그리고 아웃리거로 구성된 고층 건물을 대상으로 풍하중에 대한 부재 종류별 부재의 변위기여도 및 변형에너지밀도를 확인하고 전체 구조물의 거동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고층 건물의 구조 건전도 모니터링을 위한 센싱 위치를 예상해보았다.

  • PDF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Harbor Structures using Imote2-Platformed Smart Wirless Sensor Node (Imote2 플랫폼 기반 스마트 무선센서노드를 이용한 항만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

  • Park, Jae-Hyung;Lee, So-Young;Kim, Jeong-Tae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307-31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항만 구조물의 구조건전성 모니터링을 위한 Imote2 센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무선센서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고민감도 MEMS 가속도계를 탑재한 Imote2 센서 플랫폼 기반스마트 무선센서를 설계하였다. 둘째, 스마트 무선센서노드의 독자적인 구조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내장소프트웨어를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 모형 케이슨 구조물의 진동실험을 통해 개발된 스마트 무선센서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Multi-Scale Wireless Sensor Node for Global and Local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전역적-국부적 구조건전성 모니터링을 위한 다기능 무선센서노드)

  • Lee, So-Young;Ho, Duc-Duy;Park, Jae-Hyung;Kim, Jeong-Tae;Na, Won-Bae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662-66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전역적-국부적 구조건전성 모니터링을 위한 무선센서노드로서 가속도 및 임피던스 응답신호의 계측이 가능한 다기능 무선센서노드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가속도 및 임피던스 응답의 계측이 가능한 다기능 무선센서노드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둘째, 다기능 무선센서노드의 성능검증을 위하여 트러스교 모형을 대상으로 진동실험을 수행하였다. 셋째, 다기능 무선센서노드로부터 취득된 가속도 및 임피던스 응답을 이용하여 트러스 구조물의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을 통해 다기능 무선센서노드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

해양플랜트 해체작업 통합관리용 시스템 개발 방향

  • Park, Yeong-Mo;Park, Wan-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551-553
    • /
    • 2013
  • 노후 해양 플랜트 해체사장의 확대와 더불어 HLVs에 의존하고 있는 기존 해체 공법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통합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IT 기술, ROV 운용기술, 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기술, 고성능 재료 개발 기술 등 국내에 확보되어 있는 기술들을 융합하여 노후 해양플랜트 해체작업을 종합적으로 관리, 진행할 수 있는 통합관리 시스템의 개발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Real-time Health Monitoring of Pipeline Structures (배관 구조물의 상시 건전성 모니터링)

  • Kim, Ju-Won;Kim, Tae-Heon;Lee, Chang-Gil;Park, Seung-Hee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666-669
    • /
    • 2010
  • 여러 가지 지하시설물 중 국가 주요 자원의 수송망을 책임지는 주요구조물인 수도관, 가스관등의 배관구조물은 접근이 쉽지 않은 지하공간에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어 그 중요성에 비해 유지, 관리, 보수가 쉽지 않았다. 이러한 배관구조물을 균열, 조인트 풀림 등의 손상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상시적 배관구조물 손상진단기법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배관 구조물 시험체에 볼트풀림, notch 등과 같은 손상에 대하여 대표적인 압전센서인 PZT와 MFC를 부착하고 임피던스기법 및 유도 초음파기법을 적용하여 볼트풀림개수, notch 손상개수 증가에 따른 출력신호를 반복 계측하였다.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계측된 신호를 신호처리기법인 웨이블렛 변환을 수행하고, RMSD 및 1-CC의 손상지수를 사용하여 구조물손상을 정량화 시켰으며 이를 토대로 구조물의 건전성의 기준이 되는 임계값을 설정함으로서 임피던스와 유도초음파 두 검색기법을 이용한 상시적 배관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