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조강도평가

Search Result 2,340,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f Fatigue Strength Assessment for Hopper Knuckle of Bulk Carrier According to Joint Shape Change (산적화물선 호퍼 너클 이음부의 형상 변화에 따른 피로강도평가에 관한 연구)

  • Shim, Chun-Sik;Lee, Hoon-Dong;Hwang, Jeong-Hyun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335-338
    • /
    • 2009
  • 일반적으로 비중이 큰 철광석이나 석탄 등을 운반하는 선박화물선의 호퍼 너클 이음부는 여러 판이 용접되어 복잡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 응력이 집중되어지므로 피로강도평가 시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는 구간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 sloping 방식의 호퍼 너클 이음 부를 갖는 180k 산적화물선 표준 모델과 제안 되어진 round 방식의 호퍼 너클 이음 부를 갖는 산적화물선에 대하여 구조강도평가와 피로강도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때 합리적인 비교를 위하여 제안되어진 모델은 기존의 표준 모델의 화물창과 발라스트창의용적이 일치하도록 제안하였다. 또한 CSR을 기반으로 한 하중들에 대하여 허용응력과 25년 피로수명을 만족하도록 구조부재를 결정하였으며 피로강도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호퍼 너클부의 변화에 따른 선각 중량과 상대 건조 비 개념을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구조를 제시 하였다.

  • PDF

Review of Fatigue Strength Evaluation on Weld Joints of Hull Structure (선체구조 용접이음부의 피로강도 평가에 대한 검토)

  • 성요경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12 no.3
    • /
    • pp.26-35
    • /
    • 1994
  • 본 고에서는 VLCC(Very Large Crude Oil Carrier)의 운항중 선체의 구조적 불연속부에서 발생 하는 균열이 피로강도의 부족에 의해 발생하는 피로균열임을 밝히는 당사의 사례에 대해 설명 하고, 국부 구조해석기술을 이용하는 피로설계의 관점에서 선체구조가 충분한 피로강도를 갖고 안전한 구조가 될 수 있도록 선체 용접이음부의 피로강도를 평가하는 체계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 PDF

Monitoring of Strength Development in Concrete Using Wireless Impedance Measurements (무선 임피던스 계측을 이용한 콘크리트 강도 발현 모니터링 기법)

  • Kim, Dong-Jin;Chang, Ha-Joo;Park, Jun-Hyun;Park, Seung-Hee;Park, Sun-Kyu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339-34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유/무선 임피던스 계측을 통하여 현장 타설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 모니터링 기법을 개발하였다.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경우 강도 발현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건설 중 취성 파괴가 일어날 우려가 있으므로 현장에서의 강도 발현 모니터링이 중요시 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콘크리트 강도 평가 방법은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거나 복잡한 수학식을 통하여 이루어 졌기에 현장에서는 효율적으로 사용되기 힘들었다. 이에 압전 센서 기반 임피던스 측정을 통하여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을 모니터링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구조물의 임피던스는 구조물 손상이나 강도 변화와 같은 구조물의 물성 변화 발생 시 공진주파수가 이동하는 특징이 있다. 이를 기반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진주파수 변화를 관찰하여 대상 구조물의 강도를 모니터링하는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유/무선 임피던스 계측을 동시에 실시하여 무선 임피던스 측정의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고강도 콘크리트에서의 적용을 평가하기 위하여 설계 강도 30MPa, 100MPa의 콘크리트에 대하여 유/무선 임피던스 측정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무선 임피던스 계측을 이용하여 접근하기 어려운 곳이나 케이블 연결이 어려운 곳에서도 실시간으로 구조물의 강도 발현 모니터링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PDF

Strength evaluation for bonded structural adsesive (구조접착이음의 접합부 강도평가)

  • Yi, W.;Jeong, E. 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8 no.3
    • /
    • pp.23-33
    • /
    • 1996
  • 자동차 차체에 구조접착접합을 적용하는 것은 시대적인 흐름으로 볼 때 지극히 당연한 것으로 생각된다. 자동차는 머리말에서 언급한 사회적 요구와 그리고 기술적인 측면이 서로 미묘한 조화를 이루면서 만들어진다. 구조접착접합을 적용하는 기술상의 변혁은 처음에는 조금씩 점진적으로, 주의깊게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검토해야 할 여러가지 문제가 쌓여있고, 앞으로의 기술개발을 큰 과제로 하고 있지만, 자동차 기술을 담당하고 있는 기술인들의 능력으로 볼때 대부분의 문제들은 해결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조접착접합은 용접성이 떨어지는 고강도 박강판이나 이종재료.복합재료의 접합법으로 기대가 크다는 것을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박강판, 알루미늄합금, 엔지니어링 프라스틱, 세라믹스 등의 이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도 접착접합의 응력해석과 강도평가는 필수적이므로 접착접합에 대한 강도평가의 확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접착접합 기술의 활용측면에서 '구조접착'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접착이음의 응력해석과 강도평가법에 대한 관심과 연구개발을 통해 현재의 접착강도평가 문제를 풀어나가야 할 것이다.

  • PDF

Experimental Evaluation Study on the Integrity of Plastic Shell Structure using Acoustic Emission Technique (음향방출기법을 응용한 플라스틱 쉘 구조물의 건전성 평가 연구)

  • Shul, Chang-Won;Lee, Kee-Bhu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3 no.12
    • /
    • pp.39-47
    • /
    • 2005
  • An acoustic emission technique is applied to the tensile tests of the plastic specimen under the different test speeds and the structural integrity evaluation of the plastic shell structure. Several AE characteristics are acquired from the tensile tests and they are proven to be useful parameters in evaluating its structural integrity. The results shows that tensile strength has almost constant value over some higher speed region while revealing some increasing tendency in strength as the test speeds up in lower speed region. The crack initiation loads and locations are accurately evaluated during the static compression testing of the plastic shell structures by using acoustic emission technique.

Method of assessment for allowable size of weld defects (熔接缺陷의 許容限界 評價方法)

  • 강성원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9 no.3
    • /
    • pp.10-17
    • /
    • 1991
  • 용접구조물에서 용접이음부가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작은 경우가 많지만 용접이음부에는 각종 초기결함(이들 결함으로부터 진전하는 피로 균열, 환경에 의한 균열등을 포함) 및 용접 초기의 부정형을 비롯해서 형상적 불연속 등에서 유기되는 국부적인 응력, 변형률의 집중, 잔류응력, 구속응력, 용접금속이 갖는 숙명적인 야금적 특성의 불균일, bond부 및 HAZ부에서의 용접열 싸이클에 의한 재질의 국부적 강도저하등 용접부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인자들이 복합되기 쉽고, 용접구조물 전체의 내파괴 건전성평가에서 용접부가 파괴 강도는 매우 중요하다. 용접구조물의 설계, 시공의 목적은 소요성능의 확보에 있고 구조물이 사용중에 성능손실이나 불안정 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주요요건이 될 것이다. 현재의 제강기술수준에서 볼 때 모재의 강 도보다 오히려 용접부의 강도 특히 피로강도 및 파괴 인성을 적절하고 합리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용접부의 강도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용접부에 발 생하는 용접결함에 대한 평가는 매우 중요하며 이들 결함에 대한 허용결함한계를 평가하여 보수 여부 및 용접구조물의 신뢰성을 평가 할 필요가 있다.

  • PDF

A Study on the Structural Strength Assessment of FRP Composites Boat (FRP 복합재료 선박의 구조강도 평가에 관한 연구)

  • Choi, Han-Kyu;Kwon, Soo-Yeon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28
    • /
    • pp.46-63
    • /
    • 2010
  • 플레저보트의 고강도 및 경량화 추세에 따라 복합재료 등 관련 소재의 경량화가 요구되었고, 이에 부응하여 관련 신소재 개발과 진공성형 신건조공법 등이 출현하였으며, 이러한 신공법을 이용한 선박건조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에 따라 선박의 구조강도 평가가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선박의 안전성 확보와 고객의 편리 도모를 위한 플레저보트 구조강도 확인을 위한 시험방법 등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진공적층 및 수적층 성형방법으로 건조한 플레저보트를 대상으로 선체구조 강도 시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우리 실정에 적합하고 플레저보트의 안정성 평가를 위한 선체구조 강도 시험 기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valuation of Flexural Strength and Ductility of Hybrid Fiber Reinforced UHSC Flexural Members (하이브리드 강섬유 보강 초고강도 콘크리트 휨파괴형 부재의 강도 및 연성 평가에 관한 연구)

  • Yuh, Ok-Kyung;Bae, Baek-I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3 no.6
    • /
    • pp.61-69
    • /
    • 2019
  • In this study, the flexural strength and curvature ductility factor of single and hybrid fiber reinforced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flexural members with conventional steel rebar were evaluated by experimental program with 3-UHSC beams. Test specimens were loaded by 4-pointed flexural loading.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hybrid fiber reinforced UHPC test specimens had higher moment resisting capacity and ductility. For the safe design of hybrid fiber reinforced UHPC, test specime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ectional analysis method with material models suggested by K-UHPC design recommendation. Current K-UHPC design recommendation predict the moment resisting capacity of member conventionally and over-estimated the ductility.

Development of Standard for Transverse Strength of Cross Deck in Catamaran (쌍동선 연결부의 횡강도 구조안전성 평가기준 개발(I))

  • Kwon, Soo-Yeon;Lee, Jang-Hyeon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29
    • /
    • pp.26-4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쌍동선 연결부의 횡강도와 관련하여 국내기준 및 국제표준, 선급 기준의 관련 내용을 조사하고 각 하중에 대한 계산식 및 관련 계수들에 영향을 미치는 외력 등을 비교 분석하며 샘플선박에 대한 구조계산 및 해석을 수행하여 국내에 적합한 쌍동선 연결부의 횡강도 구조안전성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국제표준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 PDF

연결통로 구조물의 안전성 평가 사례 연구

  • 채원규;은충기;김광일;손영현;홍성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46-5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롤러로 지지된 슬래브 구조물인 연결통로 구조물에 대한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고정하중(사하중)과 활하중 작용시 대상구조물에 발생되는 최대 변위 및 최대 단면력을 해석하였으며, 극한강도설계법에 의하여 극한강도 및 설계강도를 비교·검토함으로써 대상 연결통로 구조물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구조해석시 대상구조물을 3차원 뼈대 요소 및 shell 요소로 형상화하여 모델링하였으며,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범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인 SAP 2000 Nonlinear에 의해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