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제역 사후관리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구제역 매몰지에 대한 기술 및 정책적 대응 방안 (Technology and Policy Measures for Landfill Sites of Foot-and-Mouth Disease in Korea)

  • 고창룡;설성수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978-1005
    • /
    • 2013
  • 구제역은 급성 가축전염병으로 대규모 경제적 피해를 유발하므로 발생초기부터 확산방지와 소멸을 위해 범국가적으로 대응한다. 2010-11년 발생 시에는 347만여 두가 살처분되어 4,500여개의 가축매몰지가 조성되었고 가축전염병예방법에 의거 3년간 발굴이 금지되어 있다. 그러나 2013년 12월부터 발굴금지가 해제되는데 현장의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정책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장의 문제를 기술 및 정책으로 대응하는 방향에 대하여 논한다. 이를 위해 현장 요구기술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국내 특허를 분석하였다. 국내 특허는 총 69건이었지만 현장을 위한 활용성은 높지 않거나 거의 없었다. 특허분석은 국내 특허에만 국한하였지만, 한국형 매몰과 살처분은 세계에서 유일한 것이기에 국내 특허분석에만 국한한 것이다. 또한 세계에서 유일한 상황이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의 관련 기술분류, 나아가 필요기술별 기술적인 대안 검토는 세계 최초라 할 수 있다. 결론부분에서는 본 연구를 바탕으로 관련 법률과 사후관리 정책의 보완을 제안한다.

  • PDF

다차원 데이터 큐브 모델을 이용한 구제역의 위기 대응 방안 분석 (Crisis Management Analysis of Foot-and-Mouth Disease Using Multi-dimensional Data Cube)

  • 노병준;이종욱;박대희;정용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565-573
    • /
    • 2017
  • 재난 재해 발생 시, 정부의 위기 대응방식에 대한 사후 평가는 향후 유사한 위기 상황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고 국가의 장기적인 위기관리의 초석이 되는 필수적인 단계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발생한 구제역에 관하여 정부에서 어떠한 대응 전략을 펼쳤는지를 언론에 보도된 기사 내용을 통해 분석한 연구로써, 먼저 온라인 뉴스 기사로부터 구제역에 관한 키워드들을 추출하여 데이터 큐브를 구성한 후, OLAP 연산과 연관규칙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시간 축에 따른 정부의 위기상황 대응행동 및 그에 따른 사회적 파급 효과들을 분석한다. 구제역이 가장 심각했던 2010년 1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구제역에 관한 정부의 위기 상황 대응 방법을 사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현장 조사를 통한 가축전염병 대응 정책개선 방안 연구 (Study on Policy Improvement Measures to Respond to Infectious Diseases of Livestock through Field Investigation)

  • 박현식;함승희;이준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275-288
    • /
    • 202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가축전염병 가축사체처리 및 방역관리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 가축전염병 방역과 사후 관리의 실효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실제로 가축전염병이 발생하여 가축 사체를 처리한 매몰지 및 매몰 관리시설을 현장 방문하여 관리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축전염병 발생 가축의 매몰방식과 그에 따른 장기적인 후속 관리는 많은 인력과 예산을 투입하게 만들어 비효율적인 방역시스템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2차적인 감염병 전파우려가 없고 후속 관리가 필요 없는 정부와 광역 시도 및 시군구 차원의 통합 가축전염병동물 사체처리 시설 설립 방안의 검토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