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순열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1초

전략적 접근을 통한 미세형 구순열의 수술에서 실제 사용된 술기의 분석 (Analysis of Procedures for Correction of Microform Cleft Lip through Strategic Approaches)

  • 송경호;배용찬;배성환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23
    • /
    • 2013
  • Background: Even though degrees of deformation of microform cleft lip are not high, it has to be corrected with various procedures upon conditions and areas since it has various expressions.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the classifications and procedures, but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on how much these procedures are performed in the actual fiel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utilization of various procedures upon major correction points. Methods: A total of 52 patients who had been corrected by one surgeon from 1995 to 2011 were enrolled as subjects. Based on the medical records, it was checked whether the incision was made or not along with the correction procedures for alar base and philtral column, Cupid's bow, and vermillion free margin. Results: In case of an incision, full incision (42 times) was conducted most frequently. For alar base and philtral column, muscle re-approximation (25 times) was performed most frequently. However, recently, it was shown that excision on only the affected area and correction with dermis were more likely to be used. For Cupid's bow and vermilion free margin, elliptical excision on the only affected area followed by re-approximation was performed most frequently for 46 times (Cupid's bow) and 44 times (vermilion free margin), respectively. Conclusion: For the correction of microform cleft lip, less invasive procedures are preferred. However, in the actual field, if needed, aggressive procedures consisting of incisions have been conducted to correction. These trends are somewhat changed to utilization of a simple procedure, such as excision on the modified area, followed by a re-approximation rather than complicated procedures using the muscle.

토끼 태자에 형성시킨 구순열상의 치유과정에서 수종 성장인자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SEVERAL GROWTH FACTORS IN THE ARTIFICIALLY CHEATED CLEFT LIP WOUND HEALING OF RABBIT FETUSES)

  • 백승학;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83-696
    • /
    • 1997
  • 성체의 상처 치유과정중 반흔조직 형성에 수종의 성장인자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태자의 피부상처가 반흔형성없이 치유되는 기전에 관한 성장인자의 역할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토끼태자의 상처 치유과정에서 반흔조직의 형성과 관련이 있는 수종 성장인자의 분포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뉴질랜드산 흰 토끼를 임신 3기의 중반인 24일째에 자궁절개술을 시행하고 태자에 인위적으로 구순열상을 만든 후, 봉합한 군(봉합군)과 봉합하지 않은 군(비봉합군), 정상대조군(sham operated control group)으로 나누고 이들을 각각 수술후 1, 2, 3, 5, 7일째에 희생시켜 상처치유에 대한 육안관찰 소견과 H & E 염색 소견 및 $TGF-{\beta}1,\;TGF-{\beta}2$, PDGF, bFGF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소견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봉합군과 비봉합군에서 전기간동안 염증반응과 반흔조직의 형성 그리고 신생 혈관의 형성 증가는 없었다. 2. 비봉합군의 재상피화가 봉합군에 비해 다소 느렸다. 3. bFGF는 정상대조군, 봉합군과 비봉합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4. PDGF는 봉합군과 비봉합군에서 1, 2일군에서 증가하였다가 그후 감소하여 정상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5. $TGF-{\beta}$는 봉합군과 비봉합군에서 1, 2일군에서 약간 증가하였다가 그후 감소하여 정상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TGF-{\beta}1$에 비하여 $TGF-{\beta}2$의 검출양이 많았다.

  • PDF

소아에서 이루를 동반한 중이염의 원인 및 항균제 감수성 (The Causative Organisms of Otitis Media Accompanying Otorrhea in Children and Thei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 정도석;김헌상;박철원;오성희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7권2호
    • /
    • pp.233-239
    • /
    • 2000
  • 목 적 : 중이염은 나이 어린 소아에 많이 발생하며 항생제가 흔히 처방되는 질환이 최근에는 세균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률이 증가되고 있어 중이염 환자에서 항생제 선택이 신중해야 함이 심도 있게 거론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중이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진한 상태이며 이에 저자들은 중이염의 원인 및 항생제 감수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후향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1994년 7월부터 1999년 6월까지 한양대학교병원 소아과 및 이비인후과에서 이루를 동반한 중이염으로 진단 받은 15세 미만의 소아 중 이루 배양 검사 결과 세균이 분리된 65명을 대상으로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총 65명의 환아 중 남자 37명(57%), 여자 28명(43%)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2.9세로 나이가 어릴수록 많아 1세 미만 27명(41.5%), 1~3세 24명(36.9%)이었으며, 3세 이하가 78%를 차지하였다. 분리된 균주의 분포는 Staphylococcus aureus 32명(49.2%), Streptococcus pneumoniae 19명(29.2%), Haemophilus influenzae 9명(13.8%), Streptococcus oralis 3명(4.6%), Moraxella catarrhalis 1명(1.5%) 등이었다. 구순열/구개열을 동반한 9명(14%)의 환아에서 분리된 균주의 분포는 구순열/구개열을 동반하지 않은 환아에서와 유사하였다. 분리된 S. aureus의 항생제 내성률은, erythromycin, imipenem, cephalothin, clindamycin에 90% 이상, oxacillin 86.2%, chloramphenicol 25%, trimethoprim-sulfamethoxazole(TMP-SMX) 12.5%, vancomycin과 teicoplanin에 0%이었다. S. pneumoniae의 내성률은 penicillin에 71.4%, erythromycin, tetracycline 및 trimethoprim-sulfamethoxazole(TMP-SMX) 60% 이상, chloramphenicol 7.1%, vancomycin, teicoplanin, ciprofloxacin에는 0%이었다. H. influenzae의 내성률은 ampicillin, TMP-SMX에 각각 55.5%이었으나 chlroramphenicol, ceftriaxone, aztreonam, imipenem, ciprofloxacin에는 모두 감수성이 있었다. 결 론 : 본 연구조사 결과 이루를 동반한 중이염의 원인은 S. aureus, S. pneumoniae 및 H. influenzae로 판명되었으며, 분리된 균주들의 높은 항생제 내성률은 중이염의 치료를 위한 항생제 선택에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전향적인 고막천자를 이용한 연구조사가 이루어져 급성 중이염을 더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야겠다.

  • PDF

편측성 완전구순열에서 Cronin 삼각피판법과 회전신전법에 의한 수복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CRONIN TRIANGULAR FLAP AND ROTATION-ADVANCEMENT REPAIR IN UNILATERAL COMPLETE CLEFT LIP)

  • 유선열;윤천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3권5호
    • /
    • pp.415-421
    • /
    • 2001
  • 본 연구는 편측성 완전구순열에서 Cronin의 삼각피판법과 Millard의 회전신전법에 의한 수복시 술후 결과를 비교 하고자 시행되었다. 13명의 편측성 완전구순열 환자를 대상으로 삼각피판법과 회전신전법에 의해 구순성형술을 시행하고, 술전${\cdot}$술후 사진을 토대로 구순부에서는 수직 길이, 반흔, 적순, 입술의 볼록함(lip pout), 큐피드궁의 다섯항목에 대하여, 비부에서는 비익, 비주, 비공저, 비첨, 비중격의 다섯 항보겡 대하여 각 항복 당 $0{\sim}10$점씩 총 100점으로 평가하고 술후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총폄점은 Cronin의 삼각피판법을 시행한 경우에 $74.77{\pm}0.86$점으로 Millard의 회전신전법을 시행한 경우의 $66.50{\pm}1.14$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반흔비대는 Millard의 회전신전법을 시행한 경우에 28.6%의 발생율을 나타냈으나 Cronin의 삼각피판법을 시행한 경우에는 발생되지 않았다. 구순 기엥 대한 객관적 평가 결과 평균 길이 비는 Millard의 회전신전법을 시행한 경우에 $0.73{\pm}0.10$으로 Cronin의 삼각피판법을 시행한 경우 $0.80{\pm}0.96$보다 짧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편측성 오나전구순열에서 Cronin의 삼각피판법이 Millard의 회전신전법보다 더 좋은 결과를 나타냄을 시사한다.

  • PDF

구순열과 구개열의 발생요인 및 치료 경향 (RECENT TRENDS IN INCIDENCE AND MANAGEMENT OF CLEFT LIP AND PALATE)

  • 윤천주;유선열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8권4호
    • /
    • pp.295-309
    • /
    • 2006
  •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incidence, etiological factors, and management of cleft lip and palate. Two hundred and twenty patients with cleft lip and/or cleft palate who were treated at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between January 1994 and December 2003 were reviewed. The ratios of cleft lip : cleft lip with cleft palate : and cleft palate were 0.4:1.1:1. Males were more common than females in cleft lip (1.3:1) and cleft lip and palate (2.5:1), while females were more common than males in cleft palate (1:1.3). In the cleft side, left clefts were more prevalent than right clefts (cleft lip 1.3:1, cleft lip and palate 1.6:1). Unilateral clefts were more common than bilateral clefts in cleft lip (79:21). Cleft lip and cleft palate were more common in those with blood type A (34.5%) than those with other types.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birth season and frequency of clefts. The clefts were common in the first-born (48.8%), and in mothers aged between 25 and 29 (51.7%). Medication (24.7%) and stress (16.7%) during the first trimester were noted. Positive familial history was noted in 13 cases (5.9%). Thirty-two cases (15%) were associated with other congenital anomalies, in which tonguetie (40.6%) and congenital heart disease (21.9%) were most common. Among 100 patients with cleft palate, 77 patients had middle ear disease (77%), which occurred predominently in the incomplete cleft palate. Seventy-six among the 77 patients received myringotomy and ventilation tube insertion, and the remaining one received antibiotic medication only. Cleft lips were treated primarily at 3 to 6 months, and cleft palates were at 1 to 2 years. Treatment regimens included modified Millard method mainly in the cleft lip, and Wardill V-Y, Dorrance method, and Furlow method in the cleft palate. The percentage of palatal lengthening as type of cleft palate was greater in the incomplete cleft palate group (11.2%) than in the complete cleft palate group (9.6%). The percentage of palatal lengthening as operating method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Furlow method (10.9%) and the push back method (10.7%). A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hypertrophic scar was most frequent in the cleft lip, and oronasal fistula in the cleft palate. In summary, it was shown that medication and stress during the first trimester of pregnancy we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cleft lip and cleft palate, adequate timing and selection of method of operation are important factors to obtain morphologically and functionally good results. Furthermor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iddle ear disease are important in cleft palate patients because of its high co-occurrence.

구순열 태아에서 3D 산전 초음파를 이용한 치조열 및 구개열의 동반 유무 진단 및 산전상담 (Prenatal Diagnosis of Accompanying Alveolar Cleft and Cleft Palate in Fetuses with Cleft Lip Using Prenatal 3D Sonographic Identification and Antenatal Counseling)

  • 고경석;김훈;최종우;원혜성;김선권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2호
    • /
    • pp.181-185
    • /
    • 2007
  • Purpose: Cleft lip and/or palate is the most common congenital facial anomaly whose incidence is about 1 in 500~1000 live births. As this anomaly may be associated with the serious chromosomal anomalies or the multiple organ abnormalities resulting in the fetal loss or perinatal maternal morbidity and mortality, careful prenatal counseling with early and accurate detection is important. Although conventional prenatal ultrasound(US) examination in midterm pregnancy has been applied for screening of cleft lip, there are definite limitations in the diagnosis of accompanying cleft palate or alveolar cleft. We applied high-resolution 3D US along the serial axial, coronal and sagittal plane so that we could diagnose the cleft palate and/or alveolar cleft in fetuses with cleft lip. Methods: From May 2005 to September 2005, 20 fetuses with cleft lip were examined with prenatal 3D US. Average maternal age was 28.8 years old(24-35 years old), and average gestational age was 24.8 weeks(17.6 to 34.2 weeks). Consecutive axial, coronal and sagittal multislice view were obtained via prenatal 3D US examination and diagnosis of cleft palate and/or alveolar cleft in cleft lip fetuses was followed. Results: With noninvasive and safe prenatal 3D US examination, 17 of 20 cleft lip fetuses were demonstrated to have cleft palate and/or alveolar cleft. Prenatal counseling according to the result was made. Conclusion: Existing prenatal US examination is suitable for screening the cleft lip fetuses but has limitation in identifying the related existence of cleft palate and/ or alveolar cleft. Authors verify the presence of cleft palate and/or alveolar cleft acquiring the successive multislice axial, coronal, and sagittal view with prenatal 3D US examination. Therefore, prenatal 3D US examination could be regarded as a noninvasive and secure screening modality in fetuses with cleft lip for confirming whether cleft palate and/or alveolar cleft is accompanied.

치조열 환자의 골이식에 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Bone Grafting of Alveolar Clefts)

  • 유선열;소광섭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0권3호
    • /
    • pp.256-262
    • /
    • 1998
  • 치조열 환자의 골이식과 관련된 치료계획 수립과 골이식재, 골이식 시기, 교정치료 시기 등 치료방법의 선택에 도움을 주는 자료로 삼고자, 1992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골이식술을 시행한 치조열 환자중 추적검사가 가능한 31명을 대상으로 골이식술과 관련된 여러 가지 항목들과 술후 치조열부의 변연골 높이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 분포는 남성(64.5%)이 여성(35.5%)보다 많았고, 남녀성비는 1.8 : 1이었다. 골이식시 연령은 이차 골이식기에 해당하는 6세에서 16세 사이(58.1%)가 많았고, 연령의 범위는 2세부터 33세까지였으며 평균연령은 11세였다. 치조열의 분류에 따른 분포는 편측성(93.5%)이 대부분이었고 그중 좌측(74.2%)이 많았다. 결손치로는 측절치가 많았고 과잉치는 측절치와 견치 사이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술전 교합상태는 III급 부정교합 및 전치부 교차교합(65.1%)이 가장 많았고, 교정치료는 술전과 술후에 비슷하게 시행되었다. 골이식시 동시 시행한 수술로는 이차 구순수 정술이 가장 많았고, 술후 합병증으로는 골결손이 6례, 구비루가 1례, 열개가 3례 발생되었다. 골이식재로는 PMCB와 DFDB가 사용되었고 술후 변연골의 높이는 PMCB를 이식한 경우에 DFDB를 이식한 경우보다 높았으며, PMCB를 이식한 경우에는 변연골의 높이가 증가되었으나 DFDB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 PDF

구순구개열과 관련되지 않은 Tessier 분류 2 안면열의 교정: 증례보고 (Tessier No. 2 Oblique Facial Cleft Not Associated with Cleft Lip or Palate: a Case Report)

  • 박용태;계준영;김성곤;권광준;박영욱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2권6호
    • /
    • pp.600-603
    • /
    • 2010
  • Oblique facial cleft is extremely rare. The frequency was reported 1/1300 cases of facial cleft. The cleft appears to be bilateral in approximately 20% and more often on the right when unilateral. Oblique facial cleft is nearly always associated with cleft lip and palate. Thus, the case that is unilateral on the left and not associated with cleft lip or palate is very rare. We experienced a case of 2 years 6 months old Philippine girl who had oblique facial cleft that is not associated with cleft lip or palate. The probable cause and treatment is discussed with a review of literatures.

Treacher Collins 증후군 환아에서 급성 기도 폐색 (ACUTE AIRWAY OBSTRUCTION IN AN INFANT WITH TREACHER COLLINS SYNDROME: REPORT OF A CASE)

  • 유선열;서일영;황웅;김선국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0권5호
    • /
    • pp.422-427
    • /
    • 2004
  • 안검열의 외하방 편위, 관골 형성부전, 하악골 형성부전, 하악 후퇴증, 소이증, 설하수, 구개열 등의 소견으로 간헐적인 청색증, 흉곽 함몰, 급성 기도 폐색에 의한 호흡곤란과 연하곤란 등의 임상 소견을 나타낸 Treacher Collins 증후군을 가진 환아에서 출생직후에 구강저골막하박리술과 설구순접합술을 이용한 외과적 치료를 시행한 결과 급성 기도 폐색에 의한 호흡곤란과 수유장애의 해소 뿐만 아니라 혀의 전방 재위치 등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향후 성장이 완료될 때까지 주기적 경과 관찰을 시행할 예정이며, 성장과정 중에 발생할 두개안면기형에 대해서는 정신사회학적 측면을 고려하여 가능한 한 조기에 교정해주고, 어느 일부분에 국한된 수술보다는 안면윤곽을 고려하여 복합적인 수술을 시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국산 수입 미꾸리에서 검출한 Gnahostoma nipponicum 유충의 형태 (Larval Gncthostoma nipponicum found in the imported Chinese loaches)

  • 손운목;고원규;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4호
    • /
    • pp.347-352
    • /
    • 1993
  • 1992년 3월에 부산시 중구 남포동 소재 자갈치시장에서 구입한 중국산 미꾸리 376마리에서 6마리의 악구충 유충을 검출하였다. 유충들은 크기가 평균 $674{\;}{\times}{\;}114{\;}\mu\textrm{m}$이었고 특징적인 head bulb와 2쌍의 cervicalsac(평균 $188{\;}\mu\textrm{m}$)을 가지고 있었으며 전체표면에는 미세한 가시가 질서정연하게(평균 229열) 배열되어 있었다. 충체의 전단에는 구순이 돌출되어 있었고 그 뒤로 식도(평균 $306{\;}\mu\textrm{m}$)와 장이 이어졌으며 충체 후단 근처의 복측에 항문이 개구하였다. Head bulb에는 소구 (hooklet)가 평균 34.5개. 36.7개 및 39.7개씩 3열로 배열되어 있었다. 충체의 계측치 및 형태학 적 특징을 근거로 Gnakhostoma nipponicum의 제3기 유충으로 동정하였으며 중국산 미꾸리가 이 선충의 제2중간숙주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수입 식용동물들이 국내에는 없는 새로운 기생충 질환의 감염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