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성아미노산

검색결과 796건 처리시간 0.032초

화살나무 물 추출물의 구성성분과 생리활성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y of Aqueous Extract Isolated from Winged Stem of Euonymus alatus)

  • 오봉윤;황수경;정미영;신홍식;박복희;이정호;김수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898-904
    • /
    • 2005
  • 본 연구는 화살나무의 줄기와 날개를 열수 추출하여 분자량 크기별로 네 분획(F I. F II, F III, F IV)으로 분리하여 각 분획물의 성분조성을 분석하였고, 이들 각 분획물의 생리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DPPH를 이용한 유리 라디칼 소거능과 동물 세포에서 활성산소종 제거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열수 추출물의 정성반응 결과, 네 분획물 모두 대부분 탄수화물이었고, 소량의 단백질을 함유하였으며, 일부 분획물에는 소량의 페놀 화합물 및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었다. 주요 구성 성분인 총당과 총단백질 함량은 448mg/g과 21mg/g이었으며, 총 당의 함량은 F III가 가장 높았고, F IV, F II 및 F I의 순서였다. 네 분획물을 가수분해하여 이들의 구성당을 분석한 결과, 중성당은 mannose : fucose : galactose : glucose가 0.01 : 0.02 : 0.14 : 0.83의 비율로, 아미노당은 galactosamine : glucosamine이 0.01 : 0.99의 비율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전체 구성당 함량에서 중성당 : 아미노당의 비율은 0.94 : 0.04로 조성된 다당체였다. 분획물별로 총단백질과 구성 아미노산은 F IV가 가장 높았으며, F III, F II 및 F I의 순서로 함유하였다. 조 추출물에 함유된 아미노산의 종류와 양은 Glu>Asp>Pro>Gly>Leu>Val>Ser>Ala>Thr>Ile>Phe>Cys>His>Arg>Met>Lys>Try>Trp>Cys2의 순서로 19종의 아미노산이 분석되었으며, 특히 산성 아미노산과 중성 아미노산 함량이 높았다. 네 분획물을 각 농도별로 처리하여 DPPH 유리 라디칼 소거능을 조사한 결과는 $50-1,000{\mu}g/mL$ 처리했을 때 농도에 비례하여 네 분획물 모두에서 F IV, F III, F II 및 F I의 순서로 활성을 나타냈다. CHO-k1 동물 세포에서 활성산소종 제거능을 조사한 결과는, 분획물을 $1-100{\mu}g/mL$까지 처리한 농도에 비례하여 활성이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100{\mu}/mL$ 이상의 처리농도에서는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각 분획물별로 F IV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그 다음 F III, F I이었으며, F II은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 화살나무 열수 추출물 중에는 항산화능과 활성산소종 제거능을 나타내는 물질이 여러 가지 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분자량 크기별로 분획한 네 분획물의 정색반응과 성분조성을 조사한 결과, 주요 구성성분은 단백질이 결합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DPPH 유리 라디칼 소거능과 CHO-k1의 세포에서 활성산소종 제거능의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다당체(bioactive carbohydrate)일 것으로 사료된다.

Methylisothiocyanate를 이용한 아미노산 배열결정시 N(O)-butyldimethylsilyl 유도체로서의 methylthiohydantoin 아미노산의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석 (Gas-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methylthiohydantoin amino acid as N(O)-butyldimethylsilyl derivatives in amino acid sequencing with methylisothiocyanate)

  • 우강융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2호
    • /
    • pp.132-138
    • /
    • 1992
  • Methylisothiocyanate에 의한 단백질의 아미노산 배열 결정시 순차적으로 분리되어 나오는 methylthiohydantion 아미노산을 기체 크로마토그라피로 효과적으로 정성 및 정량하기위하여 새로운 silylating reagent인 N-methyl-N-(tert.-butyldimethylsily)trifluoroacetamide를 사용하여 N-tert.-butyldimethylsily MTH 유도체로 silylation 한 후 HP-1 capillary column으로 분석하였다. Cystine을 제외한 21개의 단백질 구성 아미노산을 동정할 수 있었고 지금까지 packed column에서 TMS 유도체로 동정할 수 없었던 arginine도 분리 동정되었다. 2개 이상의 peak를 나타낸 것으로는 hydroxyproline, proline, isoleucine, glycine 및 tyrosine이었고 이중 hydroxyproline은 많은 수의 peak들로 분리되었다. Lysine, histidine 및 arginine은 주입량 $5.0\;nmole{\sim}15.0\;nmole$의 범위에서 나머지는 $2.5\;nmole{\sim}7.5\;nmole$의 범위에서 상관관계를 측정한 결과 고도의 직선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01). TMS 유도체에 의한 분석은 많은 불순 peak들 때문에 정량분석에 이용할 수 없었다.

  • PDF

말쥐치육의 사후경과에 따른 단백질조성의 변화 (Change in Protein Composition of Filefish Muscle during Post-Mortem Lapse)

  • 변재흥;남택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5-23
    • /
    • 1981
  • 말쥐치 등육 골낙근을 $0^{\circ}C$로 유지하면서 사후경과중 선도의 변화에 따라 단백질의 조성과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 및 유리아미노산의 조성 등을 분석 검토하였다. 말쥐치의 육은 약 $20\%$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이 단백질은 근원질단백질 $31\%$, 근원섬유단백질 $55\%$, 세포내잔사단백질 $10\%$, 그리고 기질단백질 $4\%$로 구성되어 있었다. 근원질단백질과 근원섬유단백질은 사후선도의 변화와 더불어 감소하여 갔고, 세포내잔사단백질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관계를 보였다. 근원섬유단백질과 세포내잔사단백질은 전기영동과 densitometry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근원섬유단백질의 약 $70\%$가 액틴과 미요신, 약 $20\%$가 조절단백질, 그리고 $10\%$전후의 미지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었다. 세포내잔사단백질은 그 대부분이 근원섬유단백질을 구성하는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었다. 한편, 사후경과와 더불어 근원섬유단백질을 구성하는 단백질중 트로포닌-T, 트로포닌-C 및 미요신의 light chain 2는 각각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죽인 직후의 말쥐치 육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다른 어육의 그것과 비슷하였으나, 트?토판과 함황아미노산은 보다 부족하였다. 휘발성 염기질소양에비추어 부패초기에 해당하는 사후 18일이 경과했을 때는 프롤린과 시스테인이 두드러지게 줄었으며, 로이신과 이소로이신 및 페닐알라닌은 조금 증가하였다. 말쥐치육의 유리아미노산중에는 타우린이 특히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알라닌과 글리신 및 리신도 비교적 많았다. 사후 18일이 경과했을 때는 타우린, 히스티딘, 발린 및 메치오닌은 증가하였으나 리신,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스레오닌, 세린, 로이신 및 이소로이신은 반대로 감소하였다.

  • PDF

돼지머리, 족발, 꼬리의 영양학적(營養學的) 연구(硏究) (Nutritional Evaluation for Head, Feet and Tails Tissue of Pig)

  • 유병호;김희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9-155
    • /
    • 1984
  • 건강식품(健康食品), 보신식품(補身食品)으로 전래되어 오는 돼지머리, 족발, 꼬리 부위의 영양학적(營養學的) 가치를 규명(究明)하기 위한 일환으로 일반성분(一般成分), 수율(收率) 및 열량과 구성 아미노산조성 그리고 무기중(無機質)중 생리적(生理的)으로 열학이 큰 철, 칼슘 및 인과 vitamin A, thiamine 및 riboflavin의 함량에 대하여 실험검토(實驗檢討)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시료(生試料)에 있어서 수율(收率)은 머리는 69.4%, 족발은 46.1%, 꼬리는 67.6%이었고, 삶은 시료(試料)의 경우 머리는 54.1%, 족발은 34.3% 및 꼬리는 47.6% 이었다. 2. 열량은 생시료(生試料)의 며리는310.5Cal 족발은288.1Cal, 꼬리는282.5Cal 였으며 삶은시료(試料)의 머리는 295.0 Cal, 족발은 267.4 Cal그리고 꼬리는 253.8 Cal 이었다. 3. 생시료(生試料)와 삶은 시료(試料)의 구성아미노산의 조성(組成) 중 필수(必須) 아미노산은 lysine, leucine, threonine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methionine, tryptophan이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비필수(非必修) 아미노산은 proline, glycine, glutamic acid 또는 aspartic acid가 전체아미노산의 반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생시료(生試料)나 삶은 시료(試料)에 있어서 조성(組成) 및 함량에 큰 변화를 찾아 볼 수 없었다. 4. 생시료(生試料)의 무기질(無機質)에 있어서 칼슘, 철은 족발이 높은 함량을 보였고 인의 경우 머리가 가장 높았다. 5. Vitamin A는 생시료(生試料)나 삶은 시료(試料) 모두에 함유되지 않았고 thiamine과 riboflavin은 적은 양이 함유되어 있었다.

  • PDF

신선초(Agngelica Keiskei Koidz)의 일반성분, 유리당, 아미노산, 식이 섬유 및 사포닌 조성 (Proximate, Free Sugar, Amino Acid, Dietary Fiber and Saponin Composition of Agngelica Keiskei Koidz)

  • 강성구;최옥자;김용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1-37
    • /
    • 1999
  • 신선초를 다양한 가공식품으로 개발하여 그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신선초의 부위별 일반성분,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구성아미노산 및 식이 섬유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신선초의 가식부를 평균함량으로 보면 수분이 88.43%, 회분은 1.96%, 조지방은 0.16%, 조지방은 2.95%, 조섬유는 1.26%, 총 비타민C는 67mg%로 나타났으나 수분과 조섬유를 제외하고는 줄기보다 잎에서 더 높은 함량을 보였다. 유리당 함량은 잎이 줄기보다 1.68배정도 높았으며 유리당의 종류와 함량을 보면 포도당이 평균함량으로 688mg, 과당이 703mg로 대부분 이였으며 서당은 미량 검출되었다. 잎에는 총 유리아미노산이 54.39%로 줄기의 28.07%보다 1.9배 이상 많은 함량을 보였다. 잎과 줄기의 총 구성 아미노산은 각각 1737.41mg%, 319.71mg%로 잎 이 줄기의 5.4배 높게 나타났다. 수용성 식이 섬유(SDF) 함량을 살펴보면, 신선물 기준으로 줄기가 1.00%로 잎의 0.99%보다 0.01% 높게 나타났으며, 불용성 식이 섬유(IDF) 함량 역시 잎의 3.07%보다 줄기가 3.52%로 0.45% 더 높게 나타났다. 신선초의 saponin의 함량은 잎이 535.51mg%로 줄기의 463.09mg%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영암산 염건 숭어알의 가공과 조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cessing and Compositions of Salted and Dried Mullet Roe)

  • 조상준;이종욱;김동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42-251
    • /
    • 1989
  • 전통식 품인 영암 어란의 제조 공정을 체계화 하여 숭어알을 염지하고 정형하여 참기름을 바르면서 건조하여 제조한 염건 숭어알과, 전처리를 동일하게 한 진공건조 숭어알을 저장하면서 지질을 분획하고 그 구성지방산을 분석하고 단백질의 구성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숭어알을 채취하여 소금물로 씻고 10% 간장액에 24시간 염지하고 건조판 상에서 두께 1.2cm로 가압하여 정형하고 참기름을 1일 2회씩 바르면서 $20^{\circ}C$, 3m/sec 풍속과 70% R. H.에서 3주간 음건하여 제조하였다. 2. 지질함량이 40.12% 이었고, 유리지질은 62mg/100mg, 결합지질은 36mg/100mg이었으나 저장 중에는 감소하였다. 유리 및 결합지질을 분획하여 얻은 유리 중성지질이 40mg/100mg으로 최대 함량이었으나 9주째는 29mg/100mg까지 감소하였으며 결합중성 및 인지질은 각각 13mg/100mg씩, 당지질은 10mg/100mg이었으며 이들은 저장중에 감소하였다. 3. 지질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C_{18:2}$, $C_{18:1}$, $C_{18:0}$$C_{16:0}$의 순서로 다량 함유되었으며, 홀수지방산은 $C_{13:0}$에서 $C_{21:0}$까지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55% 정도 함유되었으며 저장중 다가불포화지방산의 감소 속도는 신속하였다. 4. 구성아미노산은 18종으로 Glu가 11.17%, Pro이 8.33%, Leu이 7.38%, Lys이 7.26% 및 CySH 이 7.55%로 다량성분 이었으며, 이들의 단백가는 155%, 화학가는 109%이고 필수아미노산비(EAA/TAA)는 $0.4{\sim}0.44$이었다. 또한, 진공건조한 경우의 아미노산 함량은 3주째는 많았으나 저장중의 감소량이 많았다. 유리아미노산은 Pro이 50.6l%로 절반 이상이었고. Trp과 Tyr이 다량 함유되어 총 1,376mg% 이었다.

  • PDF

건조 배합사료로 사육한 양식산 넙치의 어체 품질평가; I. 지방산 및 구성아미노산 조성 비교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ed with Extruded Pellets; I. Comparison of Fatty Acid and Amino Acid Contents)

  • 장미순;강용진;김강웅;김경덕;이해영;허샛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2-49
    • /
    • 2009
  • 본 연구는 건조 배합사료를 공급한 양식 넙치와 생사료를 공급한 양식넙치의 품질특성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즉, 건조 배합사료로서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상품사료(CEP)와 직접 설계 제조한 실험사료(FEP) 2종을 사용하였고 생사료(MP)를 대조구로하여, 약 10달간 각각의 사료를 공급한 넙치(1.15 kg)의 등근육 및 지느러미 살을 대상으로 하여 각 사료 공급에 의한 일반성분, 지방산, 아미노산, 관능평가 및 물성측정을 통한 어육의 품질차이를 비교하였다. 넙치 등근육의 일반성분의 각 함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지느러미 살의 경우는 MP 공급구가 수분함량이 높고 조지방 함량은 낮았다. 넙치 어육의 지방산 조성은, 넙치를 사육하는 동안 공급하는 사료의 종류에 따라 등근육 및 지느러미살의 지방산 조성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주로 축산육의 품질 측정시 지표로 사용되던 18 : 0/18 : 2, 18 : 2/18 : 3 및 n-6/n-3과 같은 지방산의 비율을 활용해서 어류의 풍미와 정미성을 비롯해 어육의 질감 차이까지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MP, CEP 및 FEP를 공급한 넙치 등근육의 구성아미노산 조성 중 EAA, FAA, SAAA, SAA 및 FRAA의 함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지느러미살의 경우는 맛 관련 성분인 glutamic acid와 감미성분인 glycine 및 alanine이 각 사료구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냄새, 외관, 맛, 질감 및 종합적인 기호도면에 대해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모든 사료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경도(hardness)는 MP 공급구가 CEP 및 FEP 공급구보다 높았다. 물성측정 결과도 역시 모든 사료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본 실험 결과로부터 건조 배합사료를 공급한 넙치의 등근육 및 지느러미 살의 품질 특성은 생사료를 공급한 넙치와 큰 차이는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참치자숙액을 이용한 분말엑기스의 제조 및 정미성분 (Processing of the Extract Powder Using Skipjack Cooking Juice and Its Taste Compounds)

  • 안창범;김형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96-701
    • /
    • 1996
  • 참치통조림 업계에서 부산물로 얻어지는 자숙액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효소가수분해하여 분말엑기스를 제조하고 제조된 분말엑기스의 정미성분을 검토하였다. 두부와 내장을 제거한 2kg이하의 참치 2.3톤을 $93-95^{\circ}C$에서 45분간 증자하여 유출되는 약 $6^{\circ}brix$의 자숙액을 효소처리(pH; 6.19, 온도; $50^{\circ}C$, 효소농도; 0.5%, 처리시간; 1시간)하였다 이를 $80-85^{\circ}C$에서 5분간 처리하여 효소를 실활시키고 활성탄을 가하여 감압, 여과한 다음 이 여액 500ml 분무건조하여 백색의 분말엑기스 18 g을 얻었다. 이 분말엑기스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711.5 mg/100g이었고 이중 taurine이 19.4%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glutamic acid (13.8%), phenylalanine (11.7%) 및 alanine (10.5%)의 순으로 많았다. 이들 4종의 아미노산이 전체 유리 아미노산의 55.4%를 차지하였다. 한편 구성 아미노산의 함량은 30,758.1 mg/100g이었으며 이중 glutamic acid가 13.1%로 가장 많았다. 핵산관련물질 중에서는 inosine이 $76.29\;{\mu}mole/g$으로서 양적으로 가장 많았다. 엑기스 질소중 양적으로 가장 많은 것은 핵산관련물질 질소로 전 엑스분 질소의 41.2%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유리 아미노산 질소의 순이었다. TMAO와 TMA는 미량 존재하였으며, betaine은 72.2 mg/100g으로서 전엑스분 질소의 4.9%를 차지하였고, 총 creatinine은 전엑스분 질소의 3.5%을 차지하였다 omission test 결과 분말엑기스의 맛에는 유리 아미노산, 유기산, 핵산관련물질의 순으로 기여도가 높았고, 유리 아미노산은 지미의 주된 물질임과 동시에 자극성의 맛이나 신맛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발아현미분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with sprouted brown rice flour)

  • 최지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23-32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발아현미의 자연식품으로써의 이용효과를 극대화 시켜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빵을 제조하기 위해 발아현미분을 첨가하여 식빵을 제조하고 부피, 무게를 측정하여 제빵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식빵의 성분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일반성분, 환원당, 아미노산, 무기질, 지방산 분석을 행하여 영양성분을 분석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발아된 현미분 첨가량 증가에 따른 제빵특성을 살펴보면, 대조구에 비하여 현미분 10∼30% 첨가 식빵의 경우 완만하게 부피가 감소하였고, 40% 첨가구는 75.48%, 50% 첨가구는 66.29%로 감소하여 빵의 외형이 허물어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현미분양의 증가에 따른 식빵 무게의 큰 변화는 찾아볼 수 없었고, 발아 현미분의 첨가량은 30%정도까지가 적정한 제빵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성분, 구성 아미노산 함량의 변화는 발아현미분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회분, 단백질, 지방, 환원당, 섬유소 및 구성 아미노산의 함량이 계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무기질, 지방산 함량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 발아현미분을 혼합하여 제조한 빵의 관능적인 성질은 발아현미분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대조군에 비하여 색, 외관, texture, 입안에서의 느낌에 대한 기호도는 약간 낮았으나, 씹을수록 느껴지는 고소한 맛과 향이 대조군에 비해 좋은 특성을 나타내어 빵에 대한 전체적인 선호도는 발아현미분 첨가량이 많을수록 더 높았다.

  • PDF

L-α-아미노산의 주기적 도포에 의한 피부개선 효능과 소비자 체감 효능 연구 (A Study of Improvement of Skin Condition and Sensory Efficacy by Periodic Application of L-α-Amino Acid)

  • 권구철;이성우;안병준;강내규;박선규;박상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9-1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천연 보습인자의 구성 성분인 L-${\alpha}$-아미노산을 피부에 주기적으로 반복 도포하여 일반적으로 알려진 보습뿐 만 아니라 L-${\alpha}$-아미노산을 피부 톤과 결의 개선제로 활용하였다. L-${\alpha}$-아미노산의 알킬기(R)의 극성과 비극성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질케어 효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극성 알킬기를 갖는 L-${\alpha}$-아미노산 콤플렉스(L-${\alpha}$-아미노산-콤플렉스-1)가 비극성 알킬기를 갖는 L-${\alpha}$-아미노산 콤플렉스(L-${\alpha}$-아미노산-콤플렉스-2)에 비해 21% 향상된 효능을 나타내었다. 임상 실험을 위해 20 - 40대 11인의 여성에게 실험군으로서 L-${\alpha}$-아미노산 콤플렉스-1을 포함한 에멀전을 오른쪽 뺨에 8주간 매일 도포하고 대조군으로서 L-${\alpha}$-아미노산 콤플렉스-1를 포함하지 않은 에멀전을 왼쪽 뺨에 같은 방법으로 도포하였다. 피부 톤의 개선은 $JANUS^{(R)}$ 장비를 통해 측정하고 이미지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피부 결의 개선은 phaseshift rapid in-vivo measurement of the skin (PRIMOS)장비를 이용하여 기기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피부 톤 11.7%, 피부 결 6.7%의 개선을 확인하였다. 또한 피험자에게 심미적으로 느껴지는 개선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피부개선의 체감도를 바탕으로 기기측정 결과를 통해 나타난 L-${\alpha}$-아미노산 도포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약산성(pH 6.5)조건에서 피부 자극을 유발하지 않음과 동시에 생리학적인 개선을 통한 피부 톤과 결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으며, 화장품 소재로서 심미적 만족감을 줄 수 있는 물질로 L-${\alpha}$-아미노산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