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란

검색결과 40,590건 처리시간 0.057초

사료 내 미강과 볶은 대두 첨가가 거세한우의 도체특성과 CLA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ry Rice Bran and Roasted Soybean in the Diets o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Composition of CLA in Hanwoo Steers)

  • 김성일;이광호;최창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5호
    • /
    • pp.435-442
    • /
    • 2013
  • 본 연구는 비육후기 사료 내 미강과 볶은 대두의 첨가가 거세한 우의 도체특성과 CLA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평균 20.92 개월령 (평균체중 599.89 kg)의 거세한우 36두를 대조구, 미강 첨가구 및 볶은대두 첨가구로 나누고 각각의 처리구는 12두씩 체중과 월령을 고려하여 배치하였다. 미강과 볶은 대두의 첨가 수준은 시험사료 내 조지방 함량을 5%로 설정하고, 조지방 부족분을 각각의 첨가원료 (미강과 볶은 대두)로부터 보충 되도록 설계하여 314일 동안 비육시험을 실시하였다. 종료 시 체중은 대조구, 미강 첨가구 및 볶은대두 첨가구가 각각 754.58, 783.33 및 755.67 kg으로 나타났다. 일당증체량은 미강 첨가구 (0.57 kg), 볶은대두 첨가구 (0.50 kg) 및 대조구 (0.50 kg) 순으로 나타났으나, 처리구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료요구율의 경우 미강 첨가구가 대조구와 볶은대두 첨가구에 비하여 각각 14.5%와 12.8% 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도체의 육량형질과 육질형질은 처리구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육질등급 $1^{{+}{+}}$ 등급 출현율은 볶은대두 첨가구 (50.0%)가 대조구 (33.33%)와 미강 첨가구 (25.0%)에 비하여 높은 출현율을 보였으며, $1^+$ 이상 등급 출현율에서도 볶은대두 첨가구 (75.0%)가 미강 첨가구 (66.67%)와 대조구 (41.66%)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체지방 부위별 c9, t11 CLA는 신장지방에서 볶은대두 첨가구 (0.21%)가 미강 첨가구 (0.15%)와 대조구 (0.16%)에 비하여 유의적 (p<0.05)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등심지방의 경우에도 볶은대두 첨가구 (0.21%)가 대조구 (0.16%)에 비하여 유의적 (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지방 부위별 t10, c12 CLA 함량은 등심지방에서 볶은대두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 (p<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TVA 함량은 신장지방에서 볶은대두 첨가구 (2.56%)가 대조구 (2.27%)에 비하여 유의적 (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피하 및 등심지방의 TVA 함량은 볶은대두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각각 15.09와 6.92% 증가되었지만, 처리구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거세한우의 비육후기에 미강의 첨가는 사료요구율이 개선되었고, 볶은대두의 첨가는 도체등심 내 CLA 함량이 증가되었다.

유기산 처리가 돈육의 VBN, TBARS, 색깔,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ganic Acid on Value of VBN, TBARS, Color and Sensory Property of Pork Meat)

  • 강석남;장애라;이상옥;민중석;이무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443-452
    • /
    • 2002
  • 유기산 처리가 돈육의 VBN, TBARS, 육색,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지방산패도 변화 비교(TBARS)의 경우, 젖산을 처리하지 않은 구와 0.5%, 1% 처리구에서 저장기간별로 지방산패도가 증가하였으나 1.5%와 2% 처리구에서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저장 14일째에는 1.5%와 2% 처리구에서 0.3mgMA/kg이하 수준의 낮은 값을 보였다. 구연산을 처리한 구에서도 저장 1일을 제외한 3, 7, 14일째에 처리구간별로 유기산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지방산패도를 나타내었다(p< .05). 저장 14일째에 대조구와 0.5%의 구연산 처리구에서의 지방산패도는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1.5%와 2% 처리한 구에서는 0.249${\sim}$0.229 gMA/kg으로 아주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모든 처리구내의 저장기간별 유의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단백질 변패도 변화 비교(VBN)의 경우 저장기간에 따라 대조구 및 0.5% 젖산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 그리고 1% 초산 (1% 젖산, 1% 구연산은 제외) 처리구에서 단백질 변패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모든 유기산 1.5%, 2% 처리구에서는 초기의 값과 14일의 값이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유기산을 살포한지 30분 경과 후의 육색의 경우(0일차)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L*값이 나타나 표백현상이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젖산 및 구연산의 경우 저장초기의 표백현상이 저장 14일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젖산의 경우 대조구에서 저장기간에 따라 L*값이 감소하였으나,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에 따라 L*값의 감소는 나타나지 않았다. 초산의 경우 모든 처리구 및 대조구에서 저장기간에 따라 육색의 변화에 대한 유의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젖산을 관능검사한 구의 육색의 선호도에 있어서는 1, 1.5, 2% 처리한 구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대조구 및 0.5% 처리구에서는 유의적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이는 유기산에 의한 탈색 현상 때문으로 생각된다. 구연산의 경우는 육색의 선호도가 대조구보다 처리구가 낮았으나 선호도에서는 처리구가 오히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젖산처럼 산취, 비린내, 피냄새, 불쾌취에 대해 대조구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반면, 초산 처리의 경우 처리구 모두에서 심한 산취를 느꼈으며 전체적인 선호도도 낮았다. 그러나 비린내는 대조구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처리된 유기산의 농도가 높을수록 지방산패도와 단백질 변패도가 낮고 관능적인 특성에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쑥사료 급여가 비육한우의 비육능력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Dietary Mugwort Powder on the Fattening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the Fattening Hanwoo)

  • 김병기;정창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77-283
    • /
    • 2007
  • 본 연구는 비육한우 32두(거세우 16두, 암소 16두)를 대상으로 (C-1구 거세우의 일반사료 : C-2구 암소의 일반사료 : T-1구 거세우에게 야생쑥 2%첨가 : T-2구 암소에게 쑥 2%첨가) 4개 처리구를 두고 14개월간(생후14개월-27개월) 비육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7개월 시험종료 체중에서 대조구인 C-1구, C-2구는 각각 648.6, 623.1kg이었고, 처리구인 T-1구, T-2구는 각각 663.3 kg 및 620.7 kg으로서 T-1구가 가장 높았고, 총 증체량과 일당증체량에서도 T-1구가 각각 342.4 kg과 0.88 kg으로 가장 높았다. 1일 두당 총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인 C-1구 및 C-2구와 처리구인 T-1구 및 T-2구가 각각 9.35, 9.09, 10.08 및 9.69 kg으로 T-1구가 가장 높았고, 사료요구율에서는 C-1구(11.28) > T-1구(11.48) > C-2구(11.52) > T-2(12.57)순으로 낮았다. 혈중 총콜레스테롤, GOT, GPT, 글리코스 및 BUN은 대체로 시험개시전보다 시험개시후가 더 높은 경향이었고, 특히 시험개시후의 총 콜레스테롤, GOT 및 glucose 함량은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낮았다 (p<0.05). 도체중은 처리구(344.11-378.08 kg)가 대조구(342.71-369.70 kg)보다 높은 경향이었고, 등지방두께는 처리구(12.75-14.75 mm)가 대조구(15.76-16.00 mm) 보다 얇아진 반면에 배최장근 단면적은 처리구$(84.25-87.88cm^2)$가 대조구$(84.00-85.25cm^2)$보다 넓어졌다. 그 중에서 T-1구가 각각 14.75 mm와 $87.88cm^2$로 가장 좋았으며, 육량 및 육질등급은 처리구(각각, 2.02-2.50점, 2.85-3.05점)가 대조구(각각, 1.80점, 2.80-2.55점)보다 높았다.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거세한우에게 쑥첨가는 일당증체량 증가, 도체중, 배최장근 단면적 및 육질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BPA의 투여가 생쥐의 번식특성과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sphenol A Administration on Reproductive Characteristic and Blood Metabolite in Mice)

  • 박동헌;장현용;박춘근;정희태;김정익;양부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6호
    • /
    • pp.957-966
    • /
    • 2004
  • 본 연구는 내분비 장애물질 중 관찰물질로 지정된 BPA의 투여가 생쥐의 번식특성과 생리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웅성 생쥐에 BPA를 체중 kg당 무처리구, 대조구, 0.05, 0.5 및 5.0mg BPA을 투여한 구에서 실험개시시와 실험종료시의 체중, 정소상체, 정낭선 및 응고선의 무게는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으며, 정소의 무게는 5.0mg 투여구가 다소 낮은 무게를 나타냈지만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BPA의 투여가 웅성 생쥐의 정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생존율과 유효정자수는 각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으나 정자농도는 5.0mg 투여구가 여타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정자농도를 나타냈다(P<0.05). 기형율은 5.0mg 투여구가 무처리구, 대조구 및 0.05mg 투여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기형율을 나타냈다(P<0.05). 웅성의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RBC, HB, HT, MCV, MCH, MCHC, albumin, BUN 및 total protein은 각 투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WBC는 BPA 투여구가 무처리구 및 대조구보다 다소 낮은 수치를 나타냈지만 통계적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PLT는 BPA 투여구가 무처리구 및 대조구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지만 통계적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BPA의 투여가 자성 생쥐의 번식기관 무게에 미치는 영향은 실험개시시 체중, 실험종료시 체중 및 자궁의 무게는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지만, 오른쪽 난소의 무게는 0.5mg 투여구와 5.0mg 투여구가 대조구 및 0.05mg 투여구보다 낮은 무게를 나타냈으며(P<0.05), 왼쪽 난소의 무게는 0.5mg 투여구가 대조구 및 0.05mg 투여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무게를 나타냈다(P<0.05). 자성 생쥐의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은 RBC, HB, HT, MCV, MCH, MCHC, albumin 및 total protein은 각 투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WBC는 BPA 투여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높은 수치를 나타냈지만 통계적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PLT는 0.5mg 투여구와 5.0mg 투여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지만 통계적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혈중 BUN의 함량은 BPA 투여구가 대조구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P<0.05). 정소, 난소 및 자궁의 조직검사에서는 모든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rBST, Vitamin E 및 Selenium 투여가 한우 종모우의 정액성상, 혈액성분 및 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효과 III. rBST, Vitamin E 및 Selenium 투여가 한우 종모우의 혈액성분 및 호르몬 농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rBST, Vitamin E and Selenium Administration on Semen Characteristics, Blood Chemical Values and Hormone in Hanwoo Sires III. Effects of rBST, Vitamin E and Selenium Administration on Blood Chemical Values and Hormone Concentration of Blood in Hanwoo Sires)

  • 박동헌;양부근;김종복;정희태;박춘근;김정익;이성수;박노형;원유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3-170
    • /
    • 2000
  • 본 연구는 rBST, vitamin E 및 selenium (Se)의 투여가 한우 종모우의 혈액성분 및 호르몬의 농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1. rBST 투여구, Vit. E 투여구 및 Se 투여가 한우 종모우의 혈액성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혈중 albumin의 함량은 Se 투여구가 대조구, rBST 투여구 및 Vit. E 투여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함량을 나타났으며 (P<0.05), 혼합투여구는 여타구 (대조구, rBST 투여구 및 vitamin E 투여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5). 혈중 BUN (Blood Urea Nitrogen)과 creatinine의 함량은 rBST 투여구가 여타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5). 혈중 total protein 함량은 rBST 투여구, Se 투여구 및 혼합투여구가 대조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P<0.05). 혈중 calcium, cholesterol, glucose, inorganic phosphoros 의 함량은 투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P>0.05). 2. rBST, Vit. E 및 Se 투여가 한우 종모우의 혈중내 호르몬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혈중 estradiol의 농도는 Se 투여구와 혼합투여구가 여타구 (대조구, rBST 투여구 및 Vit. E 투여구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P>0.05), 혈중 testeserone의 농도는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는 없었다 (P>0.05).

  • PDF

창란젓갈의 포장에 관한 연구 -1. 병포장 젓갈의 품질유지기한- (A Study in Packing of Changran-Jeotgal -1. Shelf-life of a Jar Packing in Changran-Jeotgai-)

  • 윤지혜;이원동;장동석;강지희;이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14
    • /
    • 2002
  • 신제조기법과 재래식방법으로 제조된 창란젓갈을 각각 병포장하여 10, 20, $30^{\circ}C$에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이들을 시험구와 대조구라 하였다. 각 온도별 압력을 측정한 결과, 시험구와 대조구 모두 저장 중 압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저장 중의 압력증가 속도가 완만하였다. 저장 초기에는 온도에 관계없이 head space의 $CO_2$ 발생 속도는 크게 증가하고 상대적으로 0,는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총 $CO_2$의 변화는 온도가 높을수록 초기 발생속도가 컸으며 대조구에 비하여 시험구는 증가속도가 낮게 나타났다. 다만, $10^{\circ}C$에서는 20일 이후 총 CO, 농도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창란젓갈 저장 중 온도가 높을수록 pH의 저하 속도가 빨랐으며, 시험구는 대조구보다 pH 변화가 적었다. 휘발성염기질소 (VBN)의 경우 각 온도에서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VBN이 낮았으며, 그 증가율도 낮았다. 생균수변화에 있어서도 시험구는 대조구보다 생균수 증가 속도가 완만하였다. 창란젓갈의 저장 중 색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L값이 증가하였으며, 수분활성도가 낮은 시험구$(A_w 0.82)$가 대조구 $(A_w 0.90)$보다 동일조건에서 L값이 낮았다. 창란젓갈을 병포장하여 온도별로 저장하면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품질유지기한이 대조구와 시험구는 $10^{\circ}C$에서 각각 40일과 70일, $20^{\circ}C$에서 8일과 16일, $30^{\circ}C$에서는 2일과 4일로 결정되었다. 따라서 병포장에서 $A_w$가 낮은 시험구는 $A_w$가 높은 대조구보다 품질유지기한이 10, 20, $30^{\circ}C$에서 각각 30일, 8일, 2일이 연장되었다. 창란젓갈 저장시 품질측정변수에 대한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병포장에서는 용기내 압력, pH, L값, VBN, 관능검사 등이 상관관계가 높아 젓갈 포장에서 품질지표항목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가 생산 유기볏짚을 이용한 거세한우 생산성 연구 (Study on the Productivity of Hanwoo Steers with Self-product Organic Rice Straw)

  • 조원모;전병수;김형철;양승학;김상범;이현준;기광석;여준모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93-403
    • /
    • 2009
  • 자가 생산 유기볏짚을 이용하여 한우사육농가(홍성)에서 공시축 16두(일반축 8두, 유기시험축 8두)을 공시하여 생후 8개월령부터 28개월령까지 20개월간 사양시험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육에 있어 전기간 증체량은 대조구 492.6kg, 유기구 478kg이며, 일당증체량은 대조구 0.81kg, 유기구 0.79kg으로 대조구가 유기구에 비하여 증체량 및 일당증체량은 약간 높았다. 배합사료의 건물섭취량은 대조구(6.39kg)가 유기구(6.13kg)보다 높았으며, CP 및 TDN 섭취량도 대조구가 유기구에 비하여 약간 높았으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kg증체당 배합사료요구율은 유기구(7.86kg)가 대조구(7.77kg)보다 개선된 경향을 보였으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비육중기 단계에서 유기구(T2)가 일당증체량이 0.84kg으로 대조구(T1) 0.99kg 보다 낮은 것은(p<0.05) 유기 배합사료의 에너지 함량이 낮고 기호성에 따른 원인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비육후기(23-28개월령) 사료섭취량의 증가로 발육(일당증체량 : 대조구 0.59, 유기구 0.64) 및 도체등급(육량 및 육질)에 영향을 미친것으로 사료된다. 대조구가 유기구에 비하여 육량지수에 미치는 등지방두께가 감소하고 등심단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육질등급의 경우 근내지방도가 유기구(3.75)가 대조구(3.13)에 비하여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 PDF

남은 음식물과 녹차 부산물의 산란계의 생산성 및 난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Leftover Food and Green Tea By-product on Productivity and Composition of Eggs in Laying Hens)

  • 양철주;;박일철;조미란
    • 유기물자원화
    • /
    • 제11권1호
    • /
    • pp.91-91
    • /
    • 2003
  • 시험은 대조구 0%와 남은 음식물에 Protein의 요구량 수준을 각각 높인 10%, 20%, 30%, 40%, 대조구에 녹차 부산물(GTB) 첨가구 1.0%, 남은 음식물 30% + 녹차 부산물 (GTB) 1.0%로 총 7처리 4반복으로 하였으며, 반복당 6수씩 개체별로 사양 실험을 실시하고, 산란율, 난중, 난각두께, 난황색, Thiobarbituric acid (TBA) 및 관능검사 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란율은 남은 음식물 10%, 20% 및 40% 첨가구에서 각각 82.65%, 81.54% 및 82.27%로 높게 나타났으나 남은 음식물 30%첨가구는 75.34%로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P<0.05). 대조구가 72.87%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P<0.05), 주령별로는 주령이 증가할수록 산란율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난중은 전 처리구중 가장 높은 경향을 보인 것은 남은 음식물 30% + GTB 1%처리구가 63.78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가장 낮은 난중은 남은 음식물 10%처리구가 60.02로 나타났다 (P<0.05). 3. 산란량은 전 처리구에서 남은 음식물 30% + GTB 1%가 52.53g으로 높게 나타났고, 가장 낮은 산란량을 보인 것은 대조구가 45.32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P<0.05). 4. 사료 요구율은 남은 음식물 20%첨가구가 2.86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낮은 요구율은 남은 음식물 10%첨가구가 2.47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P<0.05). 전 처리구간에서 사료 요구율은 주령이 증가할수록 요구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5. 콜레스테롤은 대조구 + GTB 1.0%첨가구가 13.923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장 낮은 콜레스테롤은 남은 음식물 40%처리구가 12.003으로 낮게 나타났다. 남은 음식물을 첨가한 처리구가 난황 내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남은 음식물 30%첨가구가 12.835로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P>0.05). 6. TBA가 가장 높은 처리구간은 1주에는 남은 음식물 40%첨가구가 3.205로 높게 나타났으며 2주에는 남은 음식물30%첨가구가 3.275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 주에는 3.947로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볼 때 남은 음식물을 첨가한 처리구가 대체적으로 산패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P>0.05).

  • PDF

국산 적송수피 추출물의 브로일러에 대한 항생제 대체효과 (Effect of Dietary Antibiotic Replacement with Korean Red Pine Bark Extracts in Broiler Diets)

  • 박병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1047-1053
    • /
    • 2010
  • 본 연구는 브로일러의 성장능력, 도체특성, 혈액지질, 면역능력 및 맹장미생물 변화에 관한 국산 적송수피추출물의 항생제 대체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처리구는 대조구, 항생제 첨가구, 적송수피추출물 65ppm 및 80 ppm 첨가구 등 4개로 구분하여 완전임의배치였다. 브로일러의 성장능력, 도체특성, 도체중, 도체율, 가슴살과 다리살 무게는 적송수피추출물 80 ppm의 첨가구가 대조구, 항생제 첨가구와 비교할 때 유의하게 높았다. 복강지방은 브로일러 사료 내 2개의 서로 다른 수준의 적송수피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 및 항생제 첨가구에 비해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흉선, 비장 및 F낭 등 면역기관 무게는 적송수피추출물 80 ppm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브로일러의 혈액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은 브로일러 사료 내 2개의 서로 다른 수준의 적송수피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 및 항생제 첨가구와 비교할 때 유의하게 낮았다. 혈액 IgG는 브로일러 사료 내 적송수피추출물 80 ppm 첨가구가 대조구 및 항생제 첨가구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브로일러 맹장 내 Bifidobacterium, Lactobacillus 균수는 적송수피추출물 80 ppm 첨가구가 대조구 및 항생제 첨가구에 비해서 높았으나 Escherichia coli, Salmonella 균수는 감소하였으며 처리구 간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브로일러 사료 내 항생제 대체제로서 국산 적송수피추출물 80 ppm을 첨가, 급여해주면 브로일러의 성장능력, 도체특성, 면역능력 향상 및 유익한 맹장미생물의 활성을 높여줄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인분해효소를 이용한 환경친화성 육성돈사료개발 (Development of Growing Pig Diets for Friendly Environment by Using Phytase)

  • 홍종욱;김인호;권오석;이상환;이승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5-258
    • /
    • 2000
  • 본 연구는 육성돈에 있어 인분해효소인 phytase의 첨가가 환경친화성사료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영양소 이용률을 측정하였다. 대조구는 옥수수-대두박의 육성돈 사료이고, 처리구는 대조구 사료에 Phytase의 첨가 수준을 500 unit 및 1,000 unit을 첨가한 구로 3×3 Latin Square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건물과 질소에 대한 소화율에서는 각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회분, 칼슘 및 인의 소화율의 경우 phytase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P<0.05). 돼지가 섭취한 인의 양은 phytase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또한 인의 흡수량에서 phytase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P<0.05) 분과 뇨의 총 인 배설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칼슘의 섭취량은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칼슘의 분 배설량은 각 처리구간에 별 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05), 뇨의 배설량은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적은 양이 배설되었다. 소화된 아미노산 중 cystine, iso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은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소화율이 현저히 증가된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Asparagine, threonine, serine, methionine, leucine의 경우 phytase를 500 unit 첨가한 구가 높은 소화율을 나타내었다(P<0.05). 한편 lysine, histidine, arginine 등의 다른 아미노산은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약간의 소화율 증가를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결론적으로 인분해효소 phytase를 사료내 첨가하므로서 분중 영양소를 줄일 수 있는 환경친화성 사료를 개발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체결홈이 형성된 체결부를 갖는 안경집과 이것에 결합되는 체결구가 마련되어 개폐되는 커버가 형성된 케이스로 구성된다.로 금형설계 및 제작기간을 단축하고자 한다.ere demonstrated in rats after i.c.v., intraperitoneally and orally administration, respectively. The antiepileptical effects by the combination of compounds from ginseng; were compared with the iuluence of Rg1, Rb1, Rc and with the well known antiepileptical drugs such as carbamazepine, valproic acid. The base for the research is obtained by using the WAG/Rij strain (Luijtelaar, Coenen, Kuznetcova), an excellent genetic model for human generalized absence epilepsy. The improving action of gensinosides was effectively demonstrated on the model of electrical kindling of amygdala of WAG/Rij rats with genetically determined absences, and the influences of ginsenosides on the slow wave discharges have also been being investigated.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a kindling process exerted in the sex-d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