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동 모듈

검색결과 448건 처리시간 0.039초

임베디드시스템 적용 고부하 레이다 플랫폼 구동 제어 (Driving Control Scheme for High-Load Radar Platform using the Embedded System)

  • 장유신;한별;이성용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505-506
    • /
    • 2023
  • 본 논문은 임베디드시스템을 적용한 대용량 고부하 레이다 플랫폼의 구동 제어 방안을 제안한다. 군사적 방어 목적용 지대공 유도 미사일 시스템의 구성품인 다기능 레이다 시스템은 고중량의 안테나를 구동해야하는 대용량 고부하 레이다 구동 플랫폼이 필수이다. 이 다기능 레이다 시스템은 360도 방위각 전방향을 일정한 속도로 방위각 회전하며 감시정찰 및 방어 임무를 수행한다. 여기서 대부하 레이다 구동 플랫폼은 방위각회전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일정한 속도로 360도 방위각 방향으로 안정적인 회전을 가능하도록 구동 제어한다. 본 구동 제어를 실시간으로 구현하기 위해 임베디드시스템인 DSP(Digital Signal Processor)가 포함된 제어모듈은 구동모듈에 회전구동 명령을 인가하여 일정한 회전각속도로 구동하도록 회전구동 모터를 실시간 제어한다. 고부하 레이다 플랫폼은 직구동모터타입의 회전구동모터, 회전체에 신호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회전슬립링, 회전체의 회전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회전센서로 구성된 방위각회전구동장치와 전체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 목적에 맞게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모듈, 구동모터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모듈, 회전구동 명령에 따라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로 구성된 제어장치로 구분된다. 본 논문에서는 대부하 레이다 구동 플랫폼을 시뮬레이션 모델링으로 구현하고 제안하는 구동 제어 방안은 구동제어시뮬레이션으로 검증한다.

  • PDF

플라이백 컨버터를 이용한 조명용 LED Driver의 모듈화 연구 (A Study on the Modularization of LED Driver for Illumination Using a Fly-Back Converter)

  • 최진봉;김관우;정영국;임영철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504-51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조명용 LED 구동 장치를 위한 새로운 방식의 LED 구동 모듈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LED 구동 회로는 플라이백 컨버터를 이용하여 교류 입력 전원의 핫 접지와 LED 구동부의 콜드 접지를 절연한다. LED 전류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위해 플라이백 컨버터를 동특성이 뛰어난 불연속 모드로 동작시키고, KIA2431을 이용하여 귀환 루프 제어를 한 후, 그에 대한 특성을 파악한다. 제안된 LED 구동 모듈은 폭넓은 교류 전원 입력 범위와 PWM 제어 IC를 직접 제어하여 버스트 디밍을 구현하고 넓은 범위의 LED 밝기 조절이 가능하게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LED 구동 모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설명하고 LED 구동 모듈을 실제로 구현 및 적용하여 제안된 구동 모듈의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소형화와 모듈화 된 LED 구동 모듈을 병렬로 연결한 다 채널 LED 구동 장치를 제안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폰 카메라와 A/F 기술 동향

  • 김영준
    • 광학세계
    • /
    • 통권109호
    • /
    • pp.24-27
    • /
    • 2007
  • A/F 카메라모듈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A/F구동 렌즈의 크기가 휴대폰의 경량화.슬림화에 대응되어야 한다. 초기에는 구동장치보다 카메라모듈 자체에만 신경을 썼었다. 그러나 지금은 그 구동원이 점점 작아져 거의 고정초첨 카메라 모듈 크기와 비슷하게 되었다. 따라서 필자는 2008년에는 A/F가 기본 사양이 될 것으로 강하게 믿고 있다.

  • PDF

DSP를 이용한 차량용 레이다 수평안정화장치 구동 전략 (A Control Strategy of Auto-Leveling System for Vehicle Platform based on DSP)

  • 한별;장유신;이성용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507-509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DSP (Digital Signal Processing)를 이용한 차량용 레이다 수평안정화장치 구동 전략을 제안한다. 지대공 유도 미사일용 차량용 레이다는 전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회전하며 감시정찰 임무를 수행한다. 수평안정화장치는 4세트의 수평구동모듈을 이용하여 차량 플랫폼의 수평을 유지하여 레이다의 안정적인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실시간으로 구현하기 위해 임베디드시스템인 DSP를 적용하여 경사도를 측정하고, 구동모듈에 구동 명령을 인가하여 수평을 유지한다. 수평구동모터는 감속기를 통하여 모터 토크를 증가시켜 수평 안정 동작을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수평구동모듈 1세트를 모델링하여 수평안정화장치를 축소 구현한다. 제안하는 구동 전략의 유효성은 시뮬레이션으로 입증한다.

  • PDF

다중 채널 LED 구동을 위한 모듈형 전류 평형 회로 (Modular Current-Balancing circuit for Multi-channel LED driving)

  • 김효훈;구현수;한상규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5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3-394
    • /
    • 2015
  • 본 논문은 다중 채널 LED(Light Emitting Diode) 구동을 위한 모듈형 전류 평형 회로를 제안한다. 기존 방식은 DC/DC 컨버터단과 다중 채널 LED 전류제어를 위해 각 채널마다 일정한 전류 제어를 하는 LED 드라이버단의 직렬 연결로 구성된다. 하지만 제안회로는 캐패시터의 전하평형원리에 의해 단일 채널 전류 제어로 모든 채널의 LED 전류를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어 DC/DC 컨버터와 LED 드라이버단을 하나로 통합한 단일 전력단 LED 구동회로 구성이 가능하며, 이는 회로구성의 단일화로 소자수 및 사이즈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수동소자만으로 이루어진 모듈형 회로로써 모듈의 추가에 따라 요구되는 LED 채널 수 만큼 다채널 모듈로 확장할 수 있다. 제안회로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1kW급 LED 구동회로에 적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제시한다.

  • PDF

전류 평형 듀얼 모듈 스위치 모드 AC 라인 트랜스포머 (Current Balanced Dual Modules Switch Mode AC Line Transformer)

  • 김진홍;양정우;장두희;강정일;한상규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9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162-164
    • /
    • 2019
  • 본 논문은 전류 평형을 이용한 듀얼 모듈 스위치 모드 AC 라인 트랜스포머를 제안한다. 종래의 PFC DC/DC 컨버터로 구성된 어댑터의 경우 용량이 증가할수록 사이즈가 커지는 한계가 존재했다. 스위치 모드 라인 트랜스포코(Switch Mode Line Transformer, SMLT)는 어댑터의 소형화는 가능하지만, 대용량 어댑터에 적용할 경우 큰 공진전류로 인해 소자의 부피 저감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전류 평형 듀얼 모듈 스위치 모드 AC 라인 트랜스포코는 각 모듈의 트랜스포머 구조를 통해 중소용량의 SMLT 모듈의 병렬구동 시 별도의 전류제어 없이 전압제어만으로 각 모듈의 전류 평형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단순한 제어기 구조를 가진다. 또한 각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IC를 하나의 IC로 통합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SMLT의 병렬구동으로 어댑터 사이즈 저감이 가능하다. 제안방식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850W급 시작품에 대한 실험결과를 제시한다.

  • PDF

LED 대형 등명기용 LED 드라이버 모듈 개발

  • 유용수;김종욱;한주섭;최수봉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57-159
    • /
    • 2014
  • 현재 국내 등명기는 대부분 국내 관련업체의 연구개발에 의하여 국산화 하고 있으나 LED 광원을 적용하는 기술 수분에는 해양선진국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특히 대형등명기에 LED 광원을 적용하는 경우 고출력 LED를 적용한 고용량 LED 광원을 사용하여 광량을 확보하여야 하며 이를 구동하기 위한 LED 드라이버모듈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고용량 LED광원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하여 고용량 LED 모듈의 모니터링 및 제어기술이 동반되어 개발되어야 한다. 이에 고출력 LED 모듈을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LED 드라이버를 설계하고 LED 드라이버를 모듈화하여 안정적인 전원공급과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한 LED 대형등명기용 LED 드라이버 모듈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다중출력 LED 구동회로에 관한 연구 (Research For Multi-Path LED Driver Circuit)

  • 권민준;김태훈;이우철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5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3-274
    • /
    • 2015
  • 본 논문은 다중출력 LED 구동회로에 대하여 다룬다. 다중 출력 LED 구동회로는 다수의 LED 모듈을 이용한 회로로써 기존의 회로에서는 특정 LED 모듈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나머지 LED 모듈의 정상적인 동작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Coupled Inductor를 적용한 다중 출력 LED 조명용 LLC 공진 컨버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LC Resonant Converter for Multi-Output LED Driver with Coupled Inductor)

  • 박상범;이우철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20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64-66
    • /
    • 2020
  • 친환경적이고 수명이 길며 높은 효율을 가지고 있는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은 각광 받고 있다. LED는 응용 분야별로 필요한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정하지 않고 용량을 한가지로 표준화하여 직, 병렬로 연결하여 모듈 형태로 사용하고 큰 용량이 필요한 경우, 여러 개의 모듈로 이용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LED 구동하기 위한 컨버터는 LED 모듈을 최소 하나에서 여러 대를 구동할 수 있는 PFC 및 DC/DC 컨버터를 요구한다. 기존 단일 출력 컨버터로 LED 모듈을 구성하면 LED 시스템의 높은 효율, 높은 전력 밀도, 대용량화 및 활용도가 떨어지며 효과적으로 유지 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중 출력 LED 컨버터는 각 출력이 정전류 특성을 유지하고 LED 보호 기능을 가지려면 독립적인 컨버터가 채널마다 필요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은 다중 출력으로 복수의 LED 모듈을 문제없이 구동할 수 있는 LLC 공진 컨버터에 관한 연구이며 이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하였다.

  • PDF

평판 디스플레이용 고속 인터페이스 기술 동향 및 전망

  • 임병찬;권오경
    •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 /
    • 제3권3호
    • /
    • pp.3-12
    • /
    • 2002
  • FPD(Flat Panel Display; 평판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의 고속 인터페이스 기술은 적용 범주에 따라 호스트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간의 인터페이스와 타이밍 제어기와 구동 LSI 간의 인터페이스로 구분된다 현재까지 발표된 FPD용 인터페이스 기술에는 호스트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간의 인터페이스 기술로서 LVDS와 TMDS가 있으며, 타이밍 제어기와 구동 LSI 간의 인터페이스로서 RSDS, Mini-LVDS, CMADS, Whisper Bus 가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기술들의 특징 및 장단점에 대해 논하고, 고속 인터페이스 기술의 향후 전망 및 과제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