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점막질환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2초

전기미각측정기를 이용한 구강점막질환 환자의 미각평가 (Evaluation of Taste in The Patients with Oral Mucosal Disease by Electrogustomter)

  • 이용한;태일호;고명연;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2호
    • /
    • pp.133-145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전기 미각 측정기를 사용하여 구강점막질환(구강편평태선, 재발성 아프타성 궤양)을 지닌 환자의 미각 감수성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173명의 환자가 100명의 대조군과 73명의 실험군으로 구성되었으며 73명의 환자는 부산대학 병원 구강내과에 2005년 4월부터 2007년 1월까지 내원하였다. 대조군은 2006년 2월부터 8월까지 청주 및 인천 소재 치과의원에 내원한 치과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기미각측정기(electrogustometer)를 사용하여, 오른쪽 혀끝, 측방 중앙부위, 유곽유두 근처부위, 연구개부위에 미각측정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군에서의 전기 미각 역치는 대조군에서 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001). 2. 실험군에서 만성도와 병소의 개수에 따른 전기 미각 역치의 주목할 만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3. Dexan을 단독 사용했을 때와 Dexan과 Prednisolone을 함께 투여한 환자들에서, 전기 미각 역치의 주목할 만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4. 치료 경과(반응없음 vs 1/2 개선 vs 완전개선)에 따른 전기 미각 역치의 주목할만한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NAS에 의해 측정된 증상의 개인적 지표는 미반응 군에서는 주목할 정도로 증가하였으며 완전 개선 군에서는 눈에 띄게 감소하였다(p<0.001)

Ehlers-Danlos syndrome 환아의 맹출장애 : 증례보고 (DENTAL MANAGEMENT ASSOCIATED WITH ERUPTION DISORDERS IN A PATIENT WITH EHLERS-DANLOS SYNDROME : A CASE REPORT)

  • 진달래;김종철;이상훈;김정욱;김영재;현홍근;신터전;장기택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7-133
    • /
    • 2012
  • EDS는 관절의 과운동성, 피부의 과신장, 조직 약화 등을 임상적 특징으로 하는 유전 질환이다. 피부, 골격, 근육, 인대, 점막, 혈관 등을 구성하는 교원질의 합성 과정과 관련된 유전자의 결함으로 결합조직이 비정상적으로 변하므로 신체 전반에 걸쳐 그 증상이 나타난다. 구강 영역에서도 교원 질과 관련된 조직에 영향을 받게 된다. 구강 점막, 치주 조직, 측두하악관절 및 치아 경조직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총체적이고 정기적인 구강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번 증례와 같이 EDS에 의해 치아의 맹출 장애가 발생하고, 치은비대, 유착, 매복, 선천적 결손치, 부정교합 등이 관찰되는 경우에도 구강 위생 관리와 함께 장기적인 계획 하에 맹출 관리 및 치료가 요구된다. EDS 환아의 치과 치료시에는 질환의 원인과 전신적 특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비정상적 교원질 대사에 의해 약화된 점막과 치주조직, 지혈 관리, 반흔 형성 및 측두하악관절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와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일부 전신질환자에서 구강건조증의 관련요인 분석 (The Associated Factors with Xerostomia in Patients with Systemic Diseases)

  • 김선주;최준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86-392
    • /
    • 2013
  • 본 연구는 전신질환자를 대상으로 구강건조감 인식도의 관련요인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경기도에서 소재하는 의원 중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선정된 3곳에 2013년 1월 16일부터 2013년 4월 15일까지 방문한 전신질환에 이환된 환자 1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 및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반적인 구강건조감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평상시 구강건조 증상이 있다고 응답한 자는 62명(56.9%)이었고, 없다는 47명(43.1%)이었으며, 구강건조가 심한 계절은 겨울이 29명(46.8%)으로 가장 높았다. 2. 전신건강상태 인식도, 건강행동과 구강건조감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건강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이환된 전신질환과 매일 복용 약물 수가 2개 이상인 집단에서 구강건조감이 더 높았다. 또한 절망감 인식 경험이 있고 구강 외 신체건조감이 높으며 코골이가 심할수록 구강건조감을 더 많이 인식하였다(p<0.05). 3. 구강건강상태 인식도와 구강건조감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구강이 건강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구내 점막 통증과 구취가 있는 집단에서 구강건조감을 더 많이 인식하였다(p<0.05). 4. 삶의 질과 구강건조감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일상생활 장애도와 스트레스 수준이 높으며, 구취로 인해 남의 시선을 의식하고 신경을 쓰는 집단에서 구강건조감을 더 많이 인식하였다(p<0.05). 5. 구강건조감과 관련된 요인들의 연관성의 강도를 분석한 결과 구강건조감은 구취로 인한 타인의 시선의식(${\beta}=0.311$)과 가장 연관성이 높았고, 다음은 이환된 전신질환 수 (${\beta}=0.304$), 스트레스 수준(${\beta}=0.285$)의 순이었다(p<0.01).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구강건조감은 원만한 사회생활과 건강을 유지하는 데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또한 구강건조감은 이환된 전신질환 수와 강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치과의료인력은 구강영역 뿐 아니라 전신질환과 치료제 등 전신에 대한 이해도를 더욱 높여야 한다. 또한 전신질환에 이환된 환자들의 구강진료시 구강건조 상태를 매회 평가하고 원인을 파악하는 등 구강건조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구강건조의 예방과 이로 인한 인한 구강 내외 합병증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건강증진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구강과 위내 Helicobacter pylori의 상호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the Oral Cavity and the Stomach of Helicobacter pylori)

  • 강승우;유지원;윤창륙;안종모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5권2호
    • /
    • pp.101-110
    • /
    • 2010
  • 전 세계 인구의 약 절반정도가 H. pylori에 감염되었다고 보고되고 있고, 구강은 H. pylori 감염 및 전염경로에 있어서 두 번째 서식지로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 pylori의 구강내 발현양상이 위의 H. pylori 감염율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를 조사하여 H. pylori 감염에 있어서 구강의 역할을 밝히고자, 위장질환을 포함한 전신질환이 없는 100명의 하악좌측 중절치 및 제1대구치 치은 열구액, 협점막, 혀의 배면, 구개부위 및 타액에서 표본을 채취하여 Nested PCR을 시행한 후 요소호기검사 결과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 내에서 샘플을 채취한 6개 부위 중 Nested PCR에서 한 개 이상 양성을 보이는 사람은 36명(36%)이었으며, UBT에서 양성을 나타내는 사람은 33명(33%)이었다(p>0.05). 2. 구강 내 6개 부위에서 샘플을 채취하여 Nested PCR을 시행한 결과, 하악 좌측중절치와 제1대구치 협측 치은열구액에서 각각 11명(11%)과 8명(8%)이 양성을 나타내었고, 오른쪽 협점막, 혀의 배면, 구개부위의 구강점막세포 그리고 혀 밑 타액샘플에서 각각 9명(9%), 3명(3%), 9명(9%), 7명(7%)이 양성을 나타내었다. 구강의 샘플 채취 부위에 따른 발현율의 비교에 있어서 하악 좌측 중절치 협측 치은열구액과 혀의 배면에서 채취한 샘플사이에서만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p<0.05). 3. 분석방법에 따라 구강과 위장 내 H. pylori 감영양상을 비교한 결과, 구강과 위장에서 양성은 10명(10%), 구강에서 음성과 위장에서 양성은 23명(23%), 구강에서 양성과 위장에서 음성은 26명(26%) 그리고 구강과 위장에서 음성을 나타내는 경우는 41명(41%)이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 H. pylori는 위의 감염과 무관하게 구강내 정상세균총으로 존재할 수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사람 치주염 병소의 치은연하치면세균막에서 분리된 Eikenella corrodens KCOM 3110의 유전체 염기서열 완전 해독 (Complete genome sequence of Eikenella corrodens KCOM 3110 isolated from human subgingival dental plaque of periodontitis lesion)

  • 임윤경;박순낭;신자영;노한성;지숙;국중기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54-156
    • /
    • 2019
  • Eikenella corrodens는 그람 음성, 통성 혐기성이며 막대 모양의 세균이다. 이 세균 종은 사람의 심내막염, 간농양 및 두개 내 세균감염 등과 같은 전신질환과 연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점막의 정상 세균총에 속한다. E. corrodens KCOM 3110 (= JS217) 균주가 사람 치주질환 병소의 치은연하치면세균막에서 분리되었다. 여기에서 E. corrodens KCOM 3110 균주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완전 해독하여 보고한다.

저온 상압플라즈마에 의한 Hairless Mouse-2 마우스 조직의 Candida albicans 사멸 효과 (The Killing Effect of Candida albicans on Hairless Mouse-2 Mouse Tissues by Non-Thermal Atmospheric Pressure Plasma)

  • 박상례;김규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
    • /
    • 2014
  • 본 연구는 저온 상압 플라즈마 장치를 이용하여 구강점막질환을 일으키는 C. albicans 균을 효과적으로 사멸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조직에 적합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저온 상압 플라즈마 장치를 고안하고, 먼저 agar plate에 C. albicans 균을 처리하여 플라즈마를 조사한 결과 agar plate표면에 C. albicans 균을 처리 후 저온 상압 플라즈마 장치를 적용한 결과 60초 처리시 1.2 cm, 180초 처리시 1.4 cm, 300초 처리시 1.7 cm의 박테리아 생장 억제 구간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직에서의 구강병원균 사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HRM-2 마우스 조직에 C. albicans 균을 처리하여 저온 상압 플라즈마를 조사 시 마우스 조직 표면에 C. albicans 균을 오염시켜 저온 상압 플라즈마 처리 후 CFU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300초간 1회 처리시 2 log CFU/ml, 300초간 2회 처리시 3 log CFU/ml, 300초간 3 회 처리시 6 log CFU/ml의 균 수 감소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p<0.05). 따라서, 저온의 저온 상압 플라즈마 장치는 효과적으로 구강 병원균을 사멸시킬 수 있으며, 구강점막질환 치료 장비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구강내 다형홍반의 증례보고 (Oral Erythema Multiforme: Case Report)

  • 노병윤;안종모;윤창륙;유지원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1호
    • /
    • pp.1-5
    • /
    • 2013
  • 다형 홍반은 피부 혹은 점막에 영향을 미치는 수포성, 궤양성의 염증성 질환이다. 이는 단순포진 바이러스와 같은 감염이나, 항생제나 진통제와 같은 약물에 의해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상으로는 피부에 과녁모양의 전형적인 병소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구강 내에 증상이 발현 될 경우, 입술, 볼, 혀에 미란성의 병소가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는 다른 구강내 병소와의 감별을 필요로 한다. 본 증례에서 트리코모나스 감염 또는 메트로니다졸 투여로 인해 유발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구강에 발생한 다형홍반의 사례를 소개하고, 다형홍반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구강 내 불량한 보철물 수복이 편평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치주, 보철적 접근 (The effect of improperly contoured and poor fitting restorations to patient with oral lichen planus: periodontal and prosthetic treatment)

  • 신진범;조진현;이청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4호
    • /
    • pp.371-377
    • /
    • 2015
  • 편평태선은 피부, 점막에 양측성 또는 다발성의 병소가 만성으로 나타나는 흔한 질환이다. 편평태선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는 구강 내 수복물, 전신질환, 약물, 스트레스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 중 편평태선에 대한 구강 내 수복물과 위생관리의 영향은 치과 영역에서 큰 관심이 되어왔다. 본 증례는 형태가 불량하고 경계가 잘 맞지 않는 보철물이 수복되어 있는 편평태선 환자에 관한 것이다. 환자는 오랜 시간 동안 편평태선으로 치료받고 있었고 양측 구치부에 금속도재관을 수복한 이후 증상이 더욱 악화되어 있었다. 불량한 적합도와 외형을 보이는 금속도재관을 제거하고 치주치료를 동반하여 보철물의 형태와 변연 적합도를 개선시킴으로써 편평태선이 효과적으로 줄어들었기에 다음을 보고자 한다.

구강점막 질환의 약물치료에 대한 문헌적 고찰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Pharmacologic Treatment of Oral Mucous Membrane Diseases)

  • Woo-Cheon Kee;Jae-Kap Choi;Sung Chang Chu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1권1호
    • /
    • pp.5-17
    • /
    • 1986
  • Whereas there has been developed relatively definitive treatment for the oral mucous membrane diseases with well known etiology, but not developed definitive treatment for those with unknown etiology. And we have thought it should be recommended to further investigate etiology of oral mucous membrane diseases for development of more definitive pharmacologic treatment.

  • PDF

이산화탄소(CO2) 레이저로 치료하면 좋은 구강점막질환 (Carbon dioxide LASER-aided management of oral mucosal diseases)

  • 변진석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6권7호
    • /
    • pp.391-397
    • /
    • 2018
  • Mess removal, electrocoagulation, cryosurgery are conventional methods in the treatment of various oral mucosal diseases.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or complication during or after surgery using conventional tools. Recently, LASER gradually become useful tool in the surgery of oral mucosal diseases. Of the LASER, carbon dioxide-mediated LASER is widely used one. Carbon dioxide LASER has many advantages such as good bleeding control, decreased damage to adjacent tissue, decreased pain and swelling, reduced scar formation, even bacteriocidal effects. In this reports, the author describe pros and cons of LASER, especially focused on carbon dioxide, and shed light on the field of LASER application in treatment of various oral mucosal disea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