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위생용품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3초

임산부의 구강보건관리 실태와 구강보건 인지도에 관한 연구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ral Health Behavior Status and Oral Health Awareness of Pregnant Women -Demographic Socialogical Variables-)

  • 이숙정;최규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049-5055
    • /
    • 2011
  • 본 논문은 10개월의 임신기간을 통해 새로운 생명 탄생을 준비하는 임산부의 육체적, 정신적 부분에서의 변화 중 신체에서의 구강은 태아의 건강까지 책임져야하는 영양분 섭취에서의 첫 관문이라는 의미에서 잘 관리되어져야 한다. 이에 임산부의 구강보건관리 실태와 구강보건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 잇몸 출혈 시 칫솔질 여부는 '이행' 54.4%였고, '불이행' 45.6%로 나타나고 있다. 임신 중 치과치료 경험유무는 전체적으로 '아니오'의 응답이 164명(91.1%)로 높게 나타났다. 보조구강위생용품 사용종류에 대한 다중응답으로 조사한 결과로 가장 많이 사용한 보조구강위생용품은 '이쑤시개' 43.2%였고, 다음으로 2순위는 '치실' 26.2%였으며, 3순위는 '구강양치액' 12.6% 순이었다.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경험유무는 전체적으로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경험은 대다수가 '없다(92.8%)'였다. 구강보건교육 필요성은 전체적으로 '필요하다'의 응답이 92.8%로 나타났다. 임산부의 구강건강에서 가장 고민되는 부분에 대해서 자유형 개방형으로 조사한 결과로 가장 많은 고민은 '입덧으로 인한 칫솔질의 어려움'이었고, 다음으로 '잇몸출혈', '치은염과 구취', '충치'의 순이었다.

교정치료 4단계 동안의 구강 내 환경의 변화 (Changes in the oral environment during four stages of orthodontic treatment)

  • Edith, Lara-Carrillo;Montiel-Bastida, Norma Margarita;Leonor, Sanchez-Perez;Jorge, Alanis-Tavira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5-105
    • /
    • 2010
  • 교정치료 중 구강 내 환경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교정치료 시작 후 24개월까지의 임상적 구강위생지수 및 타액, 구강 내 미생물의 변화양상을 평가하였다.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 구강위생지수(DMFS [decayed, missing and filled surfaces], O'Leary's plaque index, plaque pH), 타액의 변화(비자극/자극시의 타액량, 완충능(buffer capacity), pH, 잠혈(occult blood)류량, 구강 내 미생물(Streptococcus mutans, Lactobacillus) 변화를 파악하였다. 추가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구강위생관리 및 식습관을 평가하였다. 분산분석, 회귀분석 및 Spearman의 상관분석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교정치료 도중 DMFS 값은 유의성있게 증가한 반면, plaque index는 감소하였고, plaque pH는 산성을 나타내었다 (p = 0.23). 비자극 시 타액량은 치료 중 유의성있게 변화하였으며 (p = 0.13), 자극 시의 타액량은 여성에서 장치 부착 이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Buffer capacity는 남성에서 치료 도중 감소되었으며, 타액의 pH는 유지되었다. 구강 내 미생물 및 잠혈류량은 고위험 수준까지 증가하였으며 성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 > 0.05). 치료 전 plaque와 구강위생용품의 사용 (r = 0.429; p = 0.018), 최종 DMFS와 비자극 시의 타액량 (r = -0.372; p = 0.043) 간에 뚜렷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교정장치의 부착으로 인해 구강 내 미생물은 증가하고, plaque pH는 산성화되어 치주조직의 손상이 일어나게 되었다. 또한 Buffer capacity는 변하지만, 치료 기간중의 타액의 pH는 유지되었다.

교정환자의 구강건강관리에 관한 지식도와 태도 및 구강위생용품 사용실태 (Research on the usage of oral hygiene devices and the general knowledge, attitude on oral health care in the orthodontic patients)

  • 민희홍;라은주;전지현;박영남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99-407
    • /
    • 2012
  • Objectives :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d the general knowledge on oral health and the usage of oral hygiene products in the orthodontic patients and try to provide an appropriate oral hygiene products for the patients. Methods : Orthodontic patients who visited a dental clinic in Daejeon were selected and data from 352 patients were collected. Questionnaire based on survey was conducted from 1st of March to 30th in 2011 and all the data was analysed by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VER 15.0). Frequency analysis, $x^2$ test, T-test and the amount of diurnal variance analysis (one-way ANOVA) were also used. After that, scheffe's post-test method was conducted. Results :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oral health care knowledge score was $2.87{\pm}0.60$, the attitude score was $2.96{\pm}0.57$. toothbrush replacement cycle were less than 3 months (p=0.007, p=0.000) and frequency of brushing one day more than three times higher in patients with knowledge to help attitude. according to the sex, age, and duration of orthodontic treatment with oral hygiene devices of usage was higher in the calibration toothbrush usage, awareness was higher in the interdental toothbrushes. according to the type of orthodontic devices from the oral hygiene devices usage, removable group was the orthodontic toothbrush and electric toothbrush group were highest in the 'unknown', the fixed group was orthodontic toothbrush(67.3%) and electric toothbrushes(40.8%) was higher in the usage. Patients who used oral hygiene devices such as orthodontic tooth brush, interdental brush, electric toothbrush, water pik and fern solution showed wider knowledge on oral health care and oral hygiene devices compared to patients who answered as does not aware of oral hygiene devices and never used these products before. Conclusions : Orthodontic patient's oral health attitudes, knowledge, and oral hygiene devices usage a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highest in the orthodontic toothbrush usage, awareness was higher in the interdental brush. Water pik and fern solution, rubber and gingival interdental stimulator turned massage does not use or low. Based on results from research, overall orthodontic patients who visited a dental clinic had low awareness and usage of oral hygiene device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educate general publics and the orthodontic patients and also promote the importance of usage of oral hygiene devices.

치과병·의원 내원환자의 구강건강관리 및 진료특성별 구강위생용품 사용실태 비교 (Comparison study of oral health care and dental treatments about the use of oral hygiene devices among the patients)

  • 이형숙;김영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49-160
    • /
    • 2008
  •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for patients who visited dental clinic in Daegu and kyungpook area. The oral health care, dental treatments about the use of oral hygiene devices were obtained through self-administering questionnaires from 1 to 30, August, 2006.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percent of using dental floss was 34.2%, followed by interproximal brush was 33.9%, mouthrinse was 33.5%, electric toothbrush was 19.6%, orthodontic brush was 10.6%, and tongue cleaner was 10.2%. 2. Poor to perceive oral health was 36.4% in the patients who perceived oral hygiene device,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Moderate to perceive oral health was 40.8% in the patients who using oral hygiene device, and ther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3. In the patients who 3 or 4 times toothbrushing a day, the average percent of perceived oral hygiene device was 67.7%, and the average percent of using oral hygiene device was 59.8% (p<0.05). In the patients who had experience of toothbrush education, the average percent of perceived oral hygiene device was 81.8%, and the average percent of using oral hygiene device was 58.1% (p<0.05). 4. The average percent of perceived oral hygiene device was 67.9% in dental implant treated patient, and was 69.0% in patients with cold teeth (p<0.05). The average percent of using oral hygiene device was 64.2% in prosthesis treated patient, and was 83.3% in patients with cold teeth (p<0.05). The average percent of non-using oral hygiene device was 67.6% in orthodontic treated patient (p<0.05). 5. In patient with periodontal disease, the average percent of using interproximal brush was 44.3%, followed by dental floss was 35.4%, mouthrinse was 27.8%, and electric toothbrush was 21.5%. In prosthesis treated patient, the average percent of using interproximal brush was 31.6%, followed by dental floss was 28.9%, and mouthrinse was 23.7%. In orthodontic treated patient, the average percent of using orthodontic brush was 82.4%, followed by interproximal brush was 64.7%, and mouthrinse was 47.1%. In dental implant treated patient, the average percent of using interproximal brush was 50.0%, followed by mouthrinse was 46.4%, and dental floss was 25.0%.

  • PDF

산업체 근로자의 구강보건인식 및 구강보건관리 실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Oral Health Awareness and Oral Health Care Practice of the Industrial Workers)

  • 윤미숙;권현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35-544
    • /
    • 2012
  • 본 연구는 사업장 근로자들의 구강보건에 대한 인식과 실천정도와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근로자들의 구강건강관리 및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하는 산업체 근로자 1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산업체 근로자의 구강건강 인식수준에서 충치나 치주질환 예방 인지도는 높았지만, 잇솔 외 구강위생용품의 필요성에 대한 인지도는 낮은 점수를 보였다. 구강보건관리 실천 수준의 경우, 잇솔질 시 혀 세척의 중요성에 대해 가장 높은 인식을 보였으며, 구강검진의 중요성에 대해 가장 낮은 인식을 보이고 것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 인식에서는 평균 소득이 200~300만원인 근로자가 다른 근로자보다 구강보건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구강보건관리 실천에서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관리 실천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산업체 근로자의 구강보건 행동에 따른 구강보건 인식은 최근 2년 내 구강검진 경험이 있는 자, 하루 평균 잇솔질 횟수가 3회 이상인 자, 지난 1년 간 치과 내원 경험이 있는 자, 구강보건 교육 경험이 있는 자가 구강보건인식이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구강보건관리 실천은 잇솔질을 3회 이상 하는 근로자와 지난 1년 간 치과 내원 경험이 있는 근로자가 다른 근로자보다 구강보건관리 실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산업체 근로자의 구강건강 관심 정도와 구강건강 상태에 따른 구강보건 인식은 구강건강 에 대한 관심이 높은 근로자일수록 구강보건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관리 실천에서는 구강건강 관심 정도와 구강건강 상태에 따라 구강보건관리 실천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산업체 근로자의 구강보건 인식과 구강보건관리 실천과의 관계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구강보건 인식이 높을수록 구강보건관리 실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관리와 공복혈당의 관련성 (Relationship of oral health care with impaired fasting glucose)

  • 주온주;유미선;장선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69-977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care in the control of diabetes mellitus. Methods: The raw data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utilized and 4,445 adults aged 19 and over were surveyed and examined. Complex samples crosstabs and general linear model analysis were carried out. Results: In total, 69.6 percent of the subjects were normal, 21.4 percent had impaired fasting glucose, and 9.0 percent had diabetes. By sex, 25.8 percent of the men had impaired fasting glucose and 10.8 percent had diabetes. Women with impaired fasting glucose accounted for 17.2 percent and 7.2 percent of women had diabetes. Impaired fasting glucose and diabetes were more common among men. Fasting glucose values were higher in the respondents who were male, were younger, whose monthly mean household income was lower, and who were less educated. Fasting glucose values were higher when the frequency of toothbrushing was lower and when dental floss and a dental brush were not in use. Fasting glucose was lower when there was no periodontal disease, when there was less difficulty in mastication, and when there were no implants in the upper and lower jaws. Conclusions: Oral health care workers should develop a variety of programs to motivate patients to take care of their own oral health actively and responsibly.

치과에 내원하는 환자의 구강보건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for Oral Health Education of Dental Patients)

  • 주온주;박정순;이흥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77-82
    • /
    • 2005
  •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구강진료기관에 내원한 18세 이상의 성인환자 350명을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태도 및 행동실태를 파악하여 진료실에서의 구강보건교육의 중요성을 재인식 시키고자 시행하였으며, 2004년 3월 22일부터 4일 10일까지 자기기입식에 의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교육의 경험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학력에서는 대학교 졸업 이상이, 직업별로는 주부에서 구강보건교육 경험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교육 후 실천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실천도가 높았으며, 연령에서는 30대가 가장 높았고, 학력에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직업에서는 공무원이 실천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후 실천할 수 없었던 이유로는 62.9%가 관심이 없어서라고 응답하였다. 3. 구강보건교육 내용으로 가장 많은 응답자 35.2%가 치석 제거를 받아 보았다고 응답하였으며, 잇솔질 외 보조구강 위생용품에서는 치실이 42.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후 행동의 변화에 대해 46.9%가 잇솔질 횟수가 증가 했다고 가장 많은 응답을 하였으며, 식이조절이 10.4%로 사용이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5. 구강보건교육 유무에 따른 구강위생 관리 실태는 잇솔질 방법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치석제거 주기는 1년 이상~2년이 25.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치실 및 치간 칫솔의 사용여부는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있는 환자에서는 30.6%가 사용을 하고 있었으며, 경험이 없는 환자에서는 5.9%가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일부지역 인문계 남자고등학생의 주관적 구강건강관심도와 인지도가 구강건강실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ubjective Oral Health Interest and Recognition in Academic Boys' High School Students upon Oral Health Practice in Some Regions)

  • 이현옥;전주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6
    • /
    • 2011
  • 본 연구는 인문계 고등학생의 주관적 구강건강관심도와 인지도에 따른 구강건강 실천도를 파악하여, 올바른 구강 건강 습관형성을 유도하고 실천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2010년 5월 20일부터 6월 20일까지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일부 인문계 고등학교 남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한 자기기입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관적 구강건강관심도는 관심이 있다가 52.3%, 보통이다는 32.6%, 관심없다는 14.9%였고, 인지도는 건강하다가 42.6%, 보통이다가 44.9%, 건강하지 않다는 12.7%였다. 2. 치과방문경험은 92.6%이었으며, 방문이유는 충치치료가 69.2%로 가장 많았다. 3. 구강건강 관심도에 따른 구강건강실천 요인 중 잇솔질이 3.89점으로 가장 높았고, 교육 및 관심은 3.18점, 식이조절은 2.93점, 정기적인 방문은 2.69점, 구강위생용품의 실천은 2.12점의 순이었다. 4. 주관적 구강건강인지도에 따른 구강건강실천 요인 중 잇솔질이 3.89점으로 가장 높았고, 교육 및 관심은 3.17점, 식이조절은 2.93점, 정기적인 방문은 2.69점, 구강위생용품의 실천은 2.12점의 순이었다. 5. 주관적 구강건강인지도와 구강건강실천 요인과의 상관관계에서 주관적 구강건강인지도를 건강하다고 인지할수록 구강건강 실천도가 높았다(p<0.01). 6. 주관적 구강건강인지도에 구강건강실천 요인이 미치는 영향은 잇솔질을 실천(p<0.01)과 정기적으로 치과를 방문(p<0.05)하는 집단에서 주관적 구강건강인지도가 높았다.

임신부의 건강신념요인이 구강건강관련행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lth Belief Factor on Oral Health Related Behavior in Pregnant Woman)

  • 김미나;임도선;김명희;김아름;김성임;안용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9-137
    • /
    • 2015
  • 본 연구는 개인의 행동 변화를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인 건강신념모형(health belief model)을 적용해 임신부의 구강건강관련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임신부의 구강건강증진과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2014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8개의 산부인과의원과 1개의 산모교실을 방문한 임신부 총 217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임신부의 건강신념 수준은 총 3.61점이었으며 인지된 유익성이 4.37점으로 가장 높았고 자기 효능감 4.04점, 인지된 민감성 3.98점, 인지된 장애성 3.15점 순이었으며 인지된 심각성이 2.91점으로 가장 낮았다. 건강신념요인과 구강건강관련행위의 상관관계로 인지된 심각성은 치아에 좋은 식품섭취 노력, 임신 중 구강검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인지된 유익성은 임신 중 구강검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지된 장애성은 매 간식 후 칫솔질, 회전법 칫솔질, 임신 중 구강검진, 임신 전 구강검진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기 효능감은 매 칫솔질 후 구강위생용품 사용, 임신 중 구강검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강건강관련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신념요인으로 인지된 심각성은 임신 중 구강검진, 임신 중 치과치료에, 인지된 유익성은 임신 중 구강검진에, 인지된 장애성은 매 간 식 후 칫솔질, 회전법 칫솔질, 임신 중 구강검진에, 자기 효능감은 매 칫솔질 후 구강위생용품 사용, 임신 중 구강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건강신념요인의 인지된 심각성, 인지된 유익성, 인지된 장애성, 자기 효능감이 임신부의 구강건강관련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제시하며, 임신부의 인지된 심각성, 인지된 유익성, 자기 효능감을 높이고 인지된 장애성을 낮출 수 있는 임신부를 위한 구체적인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치면세마실습실 방문자의 구강관리용품 인지 및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tial factors for recognition and use of oral care supplies by oral prophylaxis practice lab visitors)

  • 박인숙;정은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3-144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health care of oral prophylaxis practice lab visitors, their recognition of oral care supplies, their use of oral care supplies by type, and influential factors for their recognition and use of oral care supplies. Metho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75 people who visited an oral prophylaxis practice lab at a university located in an urban community. The visitors were respectively interviewed from March to June, 2016, and the data from 260 respondents who properly responded were analyzed, and data from 15 visitors who provided incomplete responsees were exclud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nonparametric tests, mann-whitney test and kruskal-wallis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Results: The mean score of oral care products was 2.25, the average degree of use was 0.09, and dental floss (0.29) was the most used oral care produc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gender (p<0.001), age (p<0.001) and marital status (p<0.001).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oral care products were experience in brushing education and experience in oral care products education. Conclusions: The recognition of the oral prophylaxis practice lab visitors about oral care supplies and their use of the supplies were under the influ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Therefore, sustained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oral health care education programs that can inform people about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care, publicize oral care supplies, and encourage the use of these supp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