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액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8초

교정용 브라켓상의 인공치태 형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formation of artificial plaque on orthodontic brackets)

  • 양규호;오종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8-95
    • /
    • 1999
  • 구강내의 교정 장치는 미생물 전파에 있어서 다양한 장소를 제공한다. 치태는 치아 우식증 발생에 있어 매우 큰 역할을 하며 미생물, 비세포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체외에서 교정용에서의 인공 치태 생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평가하는 것이다. Streptococcus mutans type c는 $CO_2$ incubator내의 $37^{\circ}C$에서 brain heart infusion broth에서 배양 되었다. 중절치에 사용하는 9개의 $.018"{\times}.025"$ standard edgewise brackets을 3개씩 비이커의 배양액에 매달았다. 3개 비이커의 배양액 pH는 각 각 pH 5.5, 7.0 그리고 8.5로 조절되었다. 5시간 후에 비이커에서 각각의 bracket을 꺼내서, bracket의 평균 무게를 측정하였다. 배지의 stirring effect를 측정하기 위하여 3개씩 $.018"{\times}.025"$ standard edgewise brackets을 2개의 비이커에 위치시켰다. 12개의 brackets을 $CaCl_2$(0.25, 1.0, 4.0 그리고 16.0mM). KCl(2.5, 10, 40 그리고 160mM) 그리고 $MgCl_2$(0.1, 0.4, 1.6, 그리고 6.4mM) 용액에 각각 매달았다. 6개의 $.018"{\times}.025"$ standard edgewise brackets, 6개의 $.022"{\times}.028"$ Roth brackets과 6개의 $.022"{\times}.028"$ Broussard brackets을 각각의 비이커 내에 매달았다. 배양액 내에서 5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각의 brackets을 근사값의 milligram 단위로 측정하였다. 그룹 사이의 차이는 Mann-Whitney와 Kruskal-Wallis tests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p value<0.05의 조건에서 이들의 차이는 통계학적 유의성을 갖는다. 5시간 동안 pH 5.5에서 배양된 Streptococcus mutans에 의해 형성된 인공 치태는 pH 7.0 이나 pH 8.5에서 배양된 것보다 작았다(p<0.05). 인공 치태는 배양하는 동안 저어졌을 때 더 많이 형성되었다(p<0.05). 결론적으로 bracket에 형성된 인공 치태는 좀 더 높은 알칼리성 배지에서 배양됨으로써, 그리고 배양 동안 배지를 저어줌으로써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배지의 $CaCl_2,\;KCl,\;MgCl_2$의 농도와 상업적으로 다른 종류의 이용 가능한 교정용 bracket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Porphyromonas gingivalis에 대한 노각나무 잎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생물막 형성 억제 효과 (Antibacterial and Antibiofilm Activities of Leaf Extracts of Stewartia koreana against Porphyromonas gingivalis)

  • 김혜수;박민정;김수정;김부경;박준호;김대현;조수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30-33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유래 구강건강 개선소재로써 노각나무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노각나무 잎과 줄기를 에탄올에 추출한 다음 구강미생물에 대한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노각나무 잎과 줄기 추출물(1 mg/disc)은 구강미생물 중 P. gingivalis KCTC5352에 대해서만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줄기보다는 잎 추출물의 항균활성이 우수하였다. 시판되고 있는 구강케어제품에 사용되고 있는 항균제와 노각나무 잎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비교한 결과, P. gingivalis에 대한 노각나무 잎 추출물과 양성대조구로 사용한 triclosan의 항균활성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P. gingivalis에 대한 노각나무 잎 추출물의 MIC는 0.4 mg/ml이고 정균작용을 하였다. 노각나무 잎추출물이 0.2-2.0 mg/ml 농도로 처리된 배양액에서 P. gingivalis KCTC5352의 생물막 형성과 세균 생육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노각나무 잎 추출물(1 mg/ml) 처리가 P. gingivalis의 생물막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에 의하면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는 추출물 처리구에 비해 P. gingivalis가 군집을 이루며 모여 있었고 세포 주변에서 생물막이 관찰되었지만 추출물을 처리한 처리구의 세포 주변에서는 생물막을 관찰할 수 없었다. qRT-PCR을 이용하여 생물막 형성 초기 과정에서 치면 부착에 필수적인 섬모(fimbriae)관련 mRNA 발현 양상을 0조사한 결과, 노각나무 잎 추출물이 0.2-2.0 mg/ml의 농도로 처리된 배양액에서 fimA와 mfa1 유전자 발현은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노각나무 잎 추출물은 치주질환 원인균인 P. gingivalis에 대한 항균 활성과 생물막 형성 억제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천연물유래 구강건강 개선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체발효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세척제 개발 (Development of Mouthwash Products with Solid Fermented Oriental Medicinal Herb)

  • 조병제;홍준영;김미정;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1380-138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발효 한약재를 사용하여 한방구강세척제를 개발하고자 후박, 감초, 천궁, 박하 및 정향을 상황버섯균사체로 고체발효 하였다. 후박, 감초 천궁은 수분을 30% 첨가한 조건에서 고체발효에 성공하였으며, 박하는 30% 수분과 현미가루 10%를 영양성분으로 제공하였을 때 고체발효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정향은 진균류에 대한 항균활성이 강하여 상황버섯균사체를 이용한 고체발효에 성공하지 못하였다. 고체발효 한약재 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 및 DPPH 소거능은 발효 후 유의적으로 상승하였으며 항균효과 역시 상승하였다. 구강질환 균인 Staphylococcus epidermis, Streptococcus pyogenes, Candida albicans 또는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해 후박, 감초 및 천궁이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항균활성은 고체발효에 의해 약 100배 정도 증가하였다. 한방구강세척제 조성비를 확립하기 위하여 발효한 후박, 감초 및 천궁의 에탄올 추출물을 5:3:2로 혼합하였을 때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발효 한약재 에탄올 추출물 혼합액 0.075%를 유효성분으로 하고 박하와 정향 열수 추출물(100:15, v/v) 83.64%를 베이스로 하는 한방구강세척제 조성을 관능검사에 의거 결정하고 시제품을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발효 한방구강세척제와 시판하고 있는 한방구강세척제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조사(n=30)를 실시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제품이 종합적인 평가 점수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구강세척제 사용 후 지속 효과를 구취 측정계로 측정하여 시간을 산출하였을 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발효 한방구강세척제의 지속 효과가 다소 길었다.

Kumazasa로 염색한 면직물의 항균성 (Antibiosis of cotton fabrics dyed with Kumazasa)

  • 정미지;박순지;이은정;구강;박윤아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08년도 제38차 학술발표대회
    • /
    • pp.144-146
    • /
    • 2008
  • 첨단과학기술의 발달로 환경오염이나 자연파괴 등을 유발시킴으로써 이에 부응하여 다양한 기능이 부여된 소재들이 개발 되고 있어 천연성분을 이용한 패션상품들이 고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Kumazasa를 충분히 건조시켜 키토산을 젖산 수용액에 용해시켜 면을 처리 하고 욕비 1:10으로 Kumazasa를 24시간 80$^{\circ}C$에 가열하여 얻은 추출액으로 염색하여 수세 및 건조하였다. 항균성은 황색포도당구균과 폐렴구균에 대한 항균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99.9%로 매우 우수한 항균성이 나타났다.

  • PDF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글라스아이오노머시멘트의 항균효과 및 기계적 특성 (Investigation of the antibacteri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glassionomer cement containing multiwall carbon nanotube(MWCNT))

  • 정미애;김동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85-486
    • /
    • 2017
  • 치과용 글라스아이오노머(GIC)는 치과에서 폭넓게 응용되고 있는 재료 중 하나이다. 그러나 GIC의 낮은 기계적 특성으로 인해 구강내 사용범위가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능성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 wall carbon nanotube; MWCNT-COOH)를 각 농도별(0.25-1.0 wt%)로 기존의 분말에 첨가하여 복합체를 제조한 후 제조사의 지시에 따란 분말(2):액(1)의 비율로 시편을 제작하여 다중벽탄소나노튜브가 GIC의 기계적 특성과 항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PDF

약관절장애 환자의 악관절내압에 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n the Inter Articular Pressure of Temporomandibular Joint in the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Dong-Hun Lee;Ki-Suk Kim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8권1호
    • /
    • pp.63-71
    • /
    • 1993
  • 악관절내의 활막액의 압력을 측정하여 그 변화를 조사 비교함은 악관절의 독특한 생리와 병태생리적 기전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뿐만 아니라 악관절 장애를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있어 새로운 해결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악관절 장애환자 중 악관절 조영술로 악관절의 하관절강 압력계의 검침이 자입된 것을 확인후 개폐구시 관절내압을 측정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전체 관절에서 이악물기시의 관절내압이 개구시 보다 증가하였다. 2. 관절내 상태에 따라 비교하면,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 환자군의 관절내압이 유착환자군보다 이악물기 및 개구시 모두 높았다.

  • PDF

구취치료 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견인자 (Factors Related to Patients' Satisfaction Level of Treatment Outcome of Oral Malodor)

  • 이정윤;고홍섭;김영구;정성창;이승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6권1호
    • /
    • pp.27-3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환자들에 의해 구취와 관련이 있다고 일반적으로 믿어지고 있는 여러 요인들이 치료 후의 환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환자의 만족도의 예후를 판단할 수 있는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구강진단과에 구취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 19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구취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항목들을 조사하였다. 조사 항목으로는 1) 본인확인가능여부, 2) 타인확인가능 여부, 3) 구취의 기간, 4) 구취의 빈도, 5) 축농증, 6) 비염, 7) 코수술 병력, 8) 콧물이 목뒤로 넘어감, 9) 코막힘, 10) 비호흡 곤란, 11) 구강건조감, 12) 편도선부종, 13) 가래, 14) 신물의 역류, 15) 소화불량, 16) 흡연여부가 포함되었다. 구취의 평가는 portable sulfide monitor인 $Halimeter^{(R)}$(Interscan Co., Chatsworth, CA, USA)를 이용하여 치료 전, 후에 각각 측정하였고, 혀배면의 세정, 치면 세균막 조절, 0.25% $ZnCl_2$ 양치액의 사용을 내용으로 하는 구취의 치료를 시행한 뒤 자신의 구취개선정도에 대해 %로 질문하여 치료 후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각 조사 항목과 치료 후 만족도 사이의 상관관계 및 실제 $Halimeter^{(R)}$ 수치의 개선정도와 만족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Symptom Checklist - 90 Revised(SCL-90R)의 분석결과에 따라 환자를 두 그룹으로 분류하고 두 그룹 사이의 치료 후 만족도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본인 및 타인 확인가능여부, 구취가 항상 나는지 여부, 구취의 기간, 축농증, 비염, 코수술 병력, 코막힘, 비호흡 곤란, 콧물이 목뒤로 넘어감, 흡연여부에 따른 치료 후 만족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신물의 역류(p=0.003), 소화불량(p=0.007), 구강건조감(p=0.016), 편도선 부종(p=0.018), 가래(p=0.033)에 따른 치료 후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보였다. 3. $Halimeter^{(R)}$ 수치의 개선정도와 만족도 사이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r=0.092, p=0.201).

  • PDF

RAW 264.7 세포에서 투석시킨 커피 추출액의 선천면역활성화와 항염증의 동시발생 (Concurrent Innate Immunity Activation and Anti-inflammation effects of Dialyzed Coffee Extract in RAW 264.7 Cells, Murine Macrophage Lineage)

  • 윤철수;이석근
    •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21-129
    • /
    • 2017
  • Coffee (Coffea spp.)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gricultural commodities, being widely consumed in the world. Various beneficial health effects of coffee have been extensively investigated, but data on habitual coffee consumption and its bio-physiological effect have not been clearly explained as well as it is not proved the cause and effect between drinking coffee and its bio-physiological reactions. We made the dialyzed coffee extract (DCE), which is absorbable through gastrointestinal tract, in order to elucidate the cellular effect of whole small coffee molecules. RAW 264.7 cells, a murine macrophage lineage, were directly treated with DCE, i.e., DCE-2.5 (equivalent to 2.5 cups of coffee a day), DCE-5, and DCE-10, for 12 hours, and their protein extracts were examined by immunoprecipitation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IP-HPLC). RAW 264.7 cells differently expressed the inflammation-related proteins depending on the doses of DCE. RAW 264.7 cells treated with DCE showed marked increase of cathepsin C, cathepsin G, CD20, CD28, CD31, CD68, indicating the activation of innate immunity. Particularly, the macrophage biomarkers, cathepsin G, cathepsin C, CD31, and CD68 were markedly increased after DCE-5 and DCE-10 treatments, and the lymphocyte biomarkers, CD20 and CD28 were consistently increased and became marked after DCE-10 treatment. On the other hand, RAW 264.7 cells treated with DCE showed consistent increase of IL-10, an anti-inflammatory factor, but gradual decreases of different pro-inflammatory proteins including $TNF{\alpha}$, COX-2, lysozyme, MMP-2, and MMP-3. In particular, the cellular signaling of inflammation was gradually mitigated by the reduction of $TNF{\alpha}$, COX-2, IL-12, and M-CSF, and also the matrix inflammatory reaction was reduced by marked deceases of MMP-2, MMP-3, and lysozyme. These anti-inflammatory expressions were consistently found until DCE-10 treatment.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DCE may have dynamic effects of innate immunity activation and pro-inflammation suppression on RAW264.7 cells simultaneously. These effects were consistently found in the highest dose of coffee, DCE-10 (equivalent to 10 cups of coffee a day in man), that might imply the small coffee molecules were accumulated in RAW 264.7 cells after DCE-10 treatment and produce synergistic cytokine effects for innate immunity activation and anti-inflammatory reaction concurrently.

Witch hazel(Hamamelis virginiana)의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 효과 (The Anti-Bacterial Effect of Witch Hazel(Hamamelis virginiana) on Oral Pathogens)

  • 류성용;안형준;권정승;박주현;김재영;최종훈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2호
    • /
    • pp.159-166
    • /
    • 2008
  • 이상적인 구강항균제로는 구강환경 내에서 정상 세균총보다는 치아우식증의 원인균주 및 치주염이나 구취 유발세균에 대한 선택적인 항균력이 우수하면서도 인체 및 환경독성이 낮은 물질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천연항균제 개발을 위해 천연물질인 Hamamelis virginiana의 추출물을 이용한 연구를 하였다. 최근 식물 추출물이나 정유(essential oil)의 항균 효과를 관찰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치아우식증이나 구취 및 치주질환을 예방하거나 진행을 억제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천연 항균제 후보 물질들이 속속 보고 되고 있으며, Hamamelis virginiana가 여기에 속한다. Hamamelis virginiana는 치주질환을 야기하는 세균을 포함하는 여러 세균 종, 즉 Porphyromonas gingivalis, Fusobacterium nucleatum, Capnocytophaga gingivalis, Veilonella parvula, Eikenella corrodens, Peprostreptococcus micros, Actinomyces odontolyticus 등에 대해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고, 이 실험에서는 구강감염질환에 중요한 Streptoccoccus mutans, Haemophylus actinomycetemcomitans, Klebsiella pneumoniae에 대한 항균 효과를 연구함으로써 이러한 Hamamelis virginiana의 항균 효과를 이용하여 구강위생용품 등 치과영역 임상에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Hamamelis virginiana의 항균 효과를 보기 위해서 Hamamelis virginiana 알콜 추출액을 처리하여 종이 원판 항생제 감수성 검사, 최소발육저지농도 그리고 최소살균농도를 결정하는 연구를 한 결과, 모든 실험 병원균주에 대해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볼 때, Hamamelis virginiana의 항균력은 구강 감염질환에 중요한 Streptoccoccus mutans, Haemophylus actinomycetemcomitans, Klebsiella pneumoniae 모두에게 유효하게 작용하며, Hamamelis virginiana의 직접적인 살균작용까지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천연물질인 Hamamelis virginiana를 이용하여 구강질환을 일으키는 병원균에 대한 직접적인 항균작용을 기대할 수 있는 항균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Streptococcus salivarius 119의 인공치태 억제효과에 대한 연구 (THE INHIBITORY EFFECT OF STREPTOCOCCUS SALIVARIUS 119 ON THE FORMATION OF ARTIFICIAL PLAQUE)

  • 이민하;양규호;오종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5-23
    • /
    • 2000
  • 경조직 우식으로 발생하는 치아우식증은 다인성 질환으로서 치태내 세균중에서도 Streptococcus mutans가 주 원인균이며, 치면에 부착, 증식 및 산생성 과정을 거쳐 치아우식을 유발한다. Streptococcus salivarius는 사람의 구강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세균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의 구강으로부터 분리된 Streptococcus salivarius 119의 특성과 Streptococcus mutans 및 Streptococcus oralis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treptococcus matans를 일회용 큐벧에서 배양시 550nm에서의 흡광도가 0.327이었으나, Streptococcus mutans와 Streptococcus salivarius 119의 혼합 배양시에는 0.119로 감소되었다. 2. 비커 와이어 검사에서 Streptococcus mutans 배양시 형성된 인공치태 무게는 84.7mg이었으나, Streptococcus mutans와 Streptococcus salivarius 119 혼합 배양시에는 12.3mg으로 감소되었다. 3. BHI broth에서 배양된 Streptococcus salivarius 119 배양 상청액을 가한 비커 와이어 검사에서 형성된 인공치태 무게는 100.5mg인데 반해, 5% 자당이 함유된 BHI broth에서 배양된 Streptococcus salivarius 119 배양 상청액을 가한 비커 와이어 검사에서 20.4 mg이었다. 4. Streptococcus oralis와 Streptococcus salivarius 119 단독 배양시에는 각각 ml당 $4.8\times10^7,\;7.5\times10^8$이었으나, 혼합 배양시에는 Streptococcus oralis는 $4.2\times10^7$, Streptococcus salivarius 119는 $5.8\times10^7$로 감소하였다. 5. Streptococcus salivarius 119 배양 상청액을 thin layer chromatography를 실시한 결과, Streptococcus salivarius 119가 형성한 polymer는 글루캔이었다. 6. Streptococcus salivarius 119가 만드는 글루캔을 처리하여 thin layer chromatography를 실시한 결과, $1\rightarrow6$ 결합이 주된 결합인 수용성 글루캔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구강에서 분리된 Streptococcus salivarius 119에 의한 Streptococcus mutans의 인공치태 형성 억제작용은 수용성 글루캔 형성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