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세균

검색결과 292건 처리시간 0.021초

바이오필름을 생성하는 병원성 구강 세균을 제어하는 새로운 접근법 (New Approaches to the Control of Pathogenic Oral Bacteria)

  • 조수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0-108
    • /
    • 2021
  • 구강에는 700여 종의 미생물이 부유성 세균(planktonic cells)으로 있거나 치아 표면에 부착하여 바이오필름(biofilms)을 형성하고 있으며 구강 바이오필름(oral biofilms)과 관련된 대표적인 구강질환에는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이 있다. 구강 세균은 타액의 흐름, 숙주의 항균 단백질, 영양소의 가용성 및 pH 변화, 항생제, 방부제 등의 영향을 받고 있지만 바이오필름이 형성되면 바이오필름은 물리적으로 두꺼운 층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구강 세균은 이와 같은 구강 내부의 환경적 스트레스에 저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물질의 침투가 어렵고 바이오필름 내 세포간 상호작용을 통해 유전자 변이가 일어나기 때문에 부유성 세균보다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이 1,000배 정도 높다. 따라서 구강 세균의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하거나 제거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세균 감염에 의한 구강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구강 바이오필름은 여러 세균이 모여서 바이오필름을 형성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세포간 신호전달체계인 정족수 감지(quorum sensing)는 구강 바이오필름을 제어할 수 있는 목표점이 될 수 있다. 이외에도 구강세균의 알칼리 생성 기질인 아르기닌을 이용하여 구강 미생물의 분포를 건강한 치아와 유사한 환경으로 전환하거나 S. mutans의 glucosyltransferase 분비를 억제하여 비수용성의 글루칸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하는 방법도 구강 바이오필름을 제어할 수 있는 목표점이 될 수 있다. 이처럼 구강 내 병원성 세균의 사멸을 유도하기 보다는 구강 세균의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하거나 제거하는 방법은 치아우식증을 비롯한 구강질환을 선택적으로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이 될 것이다.

저분자 키토산이 치과용시멘트의 표면특성과 구강세균 부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w Molecular Chitosan on the Surface Properties and Oral Bacteria Adhesion of Dental Cement)

  • 정미애;김동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77-283
    • /
    • 2019
  • 본 연구는 치과용시멘트의 표면특성과 구강세균 부착을 위해 치과용시멘트액에 저분자키토산(Low molecular chitosan: LC)을 무게비로 0, 0.5, 1.0, 2.0 wt%를 첨가하였다. 시멘트의 경화시간과 표면특성으로 표면에너지와 표면거칠기를 평가하였다. 구강세균 부착정도는 구강세균 S. mutans, E.coli 2개의 균주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경화시간은 LC0.5실험군에서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표면거칠기는 LC2.0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구강 세균 부착실험 결과 저분자키토산을 첨가한 실험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부착양상을 보였다(p<0.05). 본 연구로 저분자키토산의 표면특성과 구강세균 부착억제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향후 저분자키토산 첨가양에 따른 효율성과 폭 넓은 물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차 카테킨 EGCG (Epigallocatechin Gallate)의 구강세균에 대한 살균효과 (Effect of Tea Catechin, EGCG (Epigallocatechin Gallate) on Killing of Oral Bacteria)

  • 유미옥;천재우;오계헌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64-366
    • /
    • 2004
  • 본 연구는 차 카테킨인 EGCG (epigallocatechin gallate)에 의한 구강세균의 살균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초기 세포밀도 $10^{7}$ cell/ml의 대상 세균에 대한 항세균 활성은 EGCG 1ml당 5mg에서 조사하였다. 선택 또는 복합배지상에서 집락생성단위(colony-forming unit, CFU)에 근거하여 EGCG의 항세균 활성은 농도에 비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Streptococcus mutans와 Streptococcus sobrinus는 5mg/ml의 EGCG에서 8시간 이내에 완전히 살균되었다. Lactobacillus acidophilus와 Lactobacillus plantarum도 동일한 조건에서 각각 2시간과 4시간 이내에 살균되었다. 2.5 mg/ml의 EGCG로 처리한 사람의 타액에서 유래하는 총 구강세균의 생존율을 BHI 고체배지상에서 조사하였으며, 총 구강세균은 10시간 이내에 완전히 살균되었다. MS 고체배지상에서 S. mitis and S. salivarius의 집락은 감소되었으며 배양 12시간 이내에서는 집락은 관찰되지 않았다. 그 결과, EGCG는 입냄새와 치석의 원인이 되는 구강세균을 살균시키고 충치를 예방하는 자연적이며 효과적인 물질임이 입증되었다.

Streptococcus sanguis와 여타 구강세균이 생산하는 PZ-peptidase 활성 (PZ-peptidase activities in Streptococcus sanguis and other oral bacteria)

  • 최선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43-148
    • /
    • 1983
  • Streptococcus sanguis와 여타 구강세균의 PZ-peptidase의 생산을 연구하였다. 세척한 온전한 세균세포를 효소윈으로, 그리고 PZ-pentapeptide를 효소의 기질로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책택한 균의 배양조건에서, S. sanguis에서는 넓은 범위의 효소활성도가, 실험실 균주와 신선한 분리균주에서 검출되었는데, 그 값은 O.5~7.9Unit/mg protein 이었다. Streptococcus mµtans와 Lactobacilli는 낮은 효소활성을 보였고 S. mutans의 경우 그 값은 0~0.5Unit/mg protein이었다. Streptococcus mitis와 Streptococcus salivarius는 다른 세균과 비교할 때 중등도의 효소활성을 갖고 있었고, Actiηomyces의 균주들은 S. sanguis처럼 넓은 범위의 활성도 (0~9.8 unit/mg protein)를 지니고 있었다. 본 논운에서 취급한 구강세균이 생성하는 PZ-peptidase가 사람의 타액단백질의 분해에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더불어 고찰하였다.

  • PDF

피톤치드 처리 후의 잔존 구강 세균이 Pr. intermedia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intained Microorganisms against to The Phytoncide on Pr. intermedia)

  • 박재봉;어규식;전양현;홍정표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2호
    • /
    • pp.153-167
    • /
    • 2009
  • 본 연구는 편백 피톤치드에 의해 사멸되지 않는 구강상주균을 분리하고, 이 분리된 세균이 구강 병인균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관찰함으로써 편백 피톤치드에 구강 내 세균에 대한 지속적인 이차적 효과를 구명한 실험적 연구이다. 이에 정상인 타액 내의 구강상주균에 1%의 편백 피톤치드를 첨가하여 사멸되지 않고 생존한 200개의 잔존 세균을 뷴리하고 이들이 치주질환과 구취의 중요한 원인균인 Pr. intermedia에 대한 억제효과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선택된 200개의 잔존 세균 중, 148개(74.0%)가 Pr. intermedia를 억제하였다. 2. 선택한 200개의 잔존 세균은 Streptococcus salivarius가 109개(54.5%)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Streptococcus sanguinis가 25개(12.5%), Streptococcus mitis가 15개(7.5%)로 나타났다. 3. Pr. intermedia를 억제하는 148개의 잔존 세균 중, Streptococcus salivarius가 85.3%(93/109), Streptococcus sanguinis가 64.0%.(16/25), Streptococcus mitis가 54.3%(8/15), Streptococcus parasanguinis가 66.7%(6/9), Streptococcus alactolyticus가 100%(8/8)로 나타났다. 따라서 타액 내에서 편백 피톤치드에 저항하는 구강 상주균은 Streptococcus salivarius, Streptococcus sanguinis, Streptococcus mitis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치주질환을 일으키고 구취를 발생시키는 대표적 균주인 Pr. intermedia 에 대하여 세균 억제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피톤치드는 구강 내 유해균을 억제할 수 있고, 잔존하는 구강 상주균과 함께 구강 내 유해균을 억제함으로써 지속적이고 이차적인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치주질환과 구취발생을 예방할 수 있어, 구강 환경 개선을 위한 임상적 근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신질환 노인의 구강근기능과 구강 세균에 관한 융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Oral Myofunction and Oral Bacteria in the Elderly with Systemic Disease)

  • 김설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315-322
    • /
    • 2021
  • 본 연구는 전신질환 노인을 대상으로 구강근기능과 구강환경을 조사하고 노인 구강건강 증진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2019년 4-6월 동안 65세 이상 전신질환 노인 64명을 대상으로 구강근력,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구강세균에 대해 조사하고, PASW Statistics ver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신질환 유병은 1개 43.8%, 2개 40.6%, 기능치아수는 18.6개였다. 나이는 기능치아수(r=-.384, p<.01), 혀근력(r=-.104, p<.001)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혀근력과 구순근력은(r=.279, p<.05)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연령과 총세균수는(r=-.336, p<.01) 부적 상관관계, 기능치아수와 총세균수는(r=.551, p<.001) 정적 상관관계 그리고 전신질환 수와 총세균수는(r=.327, p<.01)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노인 전신질환자의 구강근기능과 구강환경의 문제점을 토대로 노인 구강건강 증진안을 제언하는데 의미가 있었고 초고령 시대를 앞두고 있는 지금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실제적인 정책안이 요구되었다.

성인의 타액 내 구강세균 검출과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Detection of Oral Bacteria in the Saliva and Risk Factors of Adults)

  • 홍민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675-5682
    • /
    • 2014
  • 구강질환은 단독 진행만이 아닌 혼합감염증으로 발생하므로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에 관여하는 원인 균주들의 명확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의 원인균으로 잘 알려져 있는 세균을 검출하기 위해 타액을 채취하였다. 성인의 연령, 흡연 및 음주, 질병유무에 따른 구강세균분포 차이를 보고 구강세균의 위험요소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 대상은 20대 이상 65세 미만 성인 120명을 대상으로 2014년 3월 15일 - 5월 10일까지 조사하였다. 타액 내 gDNA를 추출 후 PCR 방법을 이용하여 구강질환의 균 분포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S. mutans는 72명, P. intermedia 88명, S. mutans와 P. intermedia 균이 모두 검출된 성인은 54명, 구강세균이 검출되지 않은 성인은 14명으로 나타났다. 구강세균의 위험 요소 결과,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S. mutans 2.8배, P. intermedia 3.5배 더 높게 나타났다. 음주자는 비음주자에 비해 S. mutans 검출 위험도가 3.3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신질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P. intermedia 검출된 위험도가 4.1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 음주, 전신질환은 구강 내 세균 검출위험도가 높은 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령이 증가할수록 치주질환 세균이 더 많이 검출되었으며, 20대는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이 공존하는 연령대인 만큼 구강세균의 분포가 더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구강세균이 검출된 성인은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에 이환될 위험도가 그만큼 높다고 볼 수 있으므로, 구강환경을 청결히하고 정기적인 치과방문을 통해 구강질환을 예방해야 할 것이다.

근로자의 구강환경요인에 따른 구강세균 발생의 위험요인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oral bacteria in workers according to oral environment)

  • 홍민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37-545
    • /
    • 2016
  • 본 연구는 구강환경요인을 살펴보고, 구강환경이 구강세균 검출에 미치는 위험요인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15년 2월 15일~ 2월 28일까지 성인 근로자 6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변수로는 안정시, 자극시 타액분비율, 타액완충능, 타액 pH, 설배와 설하 구강건조도, 구취 설태량을 측정하였다. 구강세균의 검출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안정시 타액분비율의 gDNA를 추출하여 균을 검출하였다. 그 결과, S.mutans균은 흡연자 15배, 자극시, 안정시 타액분비율 1.3~1.6배 위험도가 더 높았으며, P.intermedia는 흡연자 13배, 설하 구강건조도 4.3배, 설태량 4배 TM7은 설하 구강건조도 5.5배 더 높은 위험도를 나타냈다. 구강 내 세균을 줄이기 위해서는 타액분비율을 촉진시키는 습관을 형성하고, 금연교육을 시행함이 중요하다고 본다. 또한 구강위생이 깨끗하고 관리가 잘되는 성인에서는 구강세균이 많이 줄어들고, 구강질환을 좀 더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기존 구강청결제를 대체할 수 있는 치아우식 예방을 위한 전기분해수 (Neutral Electrolyzed Water for Prevention of Dental Caries)

  • 이기암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06-312
    • /
    • 2016
  • 치아우식은 Streptococcus mutans와 S. sobrinus가 주요 원인균이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구강 청결제를 사용한다. 그러나 구강청결제의 부작용 및 해로움으로 인하여 소아에게 권장하기에 주위를 요한다. 전기 분해수는 물을 전극을 통해서 전류를 흘려주어 생성되는 용액으로 항균력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 분해수를 구강 청결제 대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치아 우식원성 세균 및 바이오 필름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하였다. 염화나트륨이 포함된 증류수를 백금전극을 이용하여 전기 분해수를 생성하였다. 전기분해 수소수의 물리화학적 성분을 분석하고 S. mutans 및 S. sobrinus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세균을 얻고 전기 분해수, 알코올 및 불소가 포함된 구강 청결제를 처리하고 살아있는 세균 수를 배양을 통해서 조사하였다. 또한 치아우식균의 바이오 필름을 형성시킨 후, 전기 분해수 및 구강 청결제를 처리하여 바이오 필름 제거능을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바이오 필름 내 살아있는 세균수의 양은 배양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전기분해수는 높은 농도의 자유염소 (free chlorine)을 포함하고 중성 페하를 보였다. 전기 분해수는 유의하게 S. mutans 및 S. sobrinus에 대해서 항균력을 보였으며, 이 세균들의 바이오 필름 제거능 및 바이오 필름 내 세균에 대해서도 항균력을 보였다. 전기 분해수는 부유세균에 대해서 알코올이 포함된 구강청결제보다 약한 항균력을 보였지만, 바이오 필름 세균에 대해서는 더 강한 항균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성 전기 분해수는 치아우식 예방을 위한 기존 구강 청결제의 대체 용액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시판되는 구강 양치액과 알칼리 이온수가 구강 내 세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ommercially Available Mouth Rinsing Solution and Alkaline Ionized Water on the Oral Bacteria)

  • 박선녀;정순정;정문진;안용순;최유석;임도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13-221
    • /
    • 2013
  • 구취감소와 구강청결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구강 양치액과 음용수로 사용되고 있는 알칼리 이온수를 대상자 49명에게 적용하여, 사용 전 후 구강 내 상주하는 세균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평가를 위해 세균배양 및 광학현미경 관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배양 후 확인된 구강 양치액 사용 전 후 세균 수는 Hexamedin 71.29%로 가장 큰 감소율을 보였고, 이어 Listerine 62.25%, Caregargle 42.26%, Garglin 33.52%, saline 21.62%, alkaline ionized water 16.08%, distilled water 7.67%의 순으로 나타났다. 2. Wilcoxon's signed rank 검정 결과, Hexamedin에서 사용 후 세균 수의 감소가 유의하게 나타났고(p<0.05), 그 외 구강 양치액에서는 통계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3. 그람염색 후 광학현미경 관찰 결과, 구강 양치액 및 알칼리 이온수 사용 전에는 다수의 구균과 일부 실사균이 관찰되었으나, 사용 후에는 대부분 구균이 관찰되었고, 실사균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4. 구강 양치액 및 알칼리 이온수의 pH 차이는 구강 내 세균 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결과를 종합하면, Hexamedine과 Listerine의 구강 내 세균 감소율이 각각 71.29%, 62.25%로 나타나 치과치료 전 적용 시 효과가 높음이 입증되었다. 그 외 구강 양치액과 알칼리 이온수는 구강 내 세균 감소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세균 감소는 pH 보다는 구강 양치액에 포함된 항균 물질의 성분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