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4초

주관적으로 인지한 구강건강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PRECEDE 모형 적용 (Impact of Subjectively Reported Oral Health Status on the Quality of Life among Adults: Applying the PRECEDE Model)

  • 이미라;한경순;한수진;최준선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3-35
    • /
    • 2011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mpact of subjectively reported oral health status on the quality of life by applying the PRECEDE model.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450 people who had dental visit experience among persons above 35 and under 65 year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using the OHIP-14.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ly reported oral health status and the quality of life was evaluated by the chi-square test,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HIP-14 scor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lf-reported oral health problem. Especially the stronges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functional limitation,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disability on the OHIP-14 7 sub-factor and self-reported periodontitis and dry mouth symptoms. Conclusion: Subjectively reported oral health status is associated with oral hea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order to improve people's the quality of life, taking care of their oral heath is indispensable factor. Therefore, it is required to revitalize regular oral health check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by the government to prevent periodontitis and dry mouth as well.

노인의 구강보건행위와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Oral Health Activities and Oral Health Conditions of the Elderly)

  • 권미영;양진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71-276
    • /
    • 2006
  • 본 연구는 수도권 치과병 의원에 내원한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구강보건행위와 구강건강상태를 파악한 후 보다 나은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 노인의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대상은 남자 40.8%, 여자 59.2%로 여자가 남자보다 많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연령별로는 65세에서 69세가 58.5%로 가장 많았다. 2. 우식경험미처치치아와 우식경험처치치아는 3개 이하가 각각 82.4%, 50.7%로 가장 많았으며, 현존치아는 3개 이하가 28.2%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3. 여자가 남자보다 구강보건행위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 = 0.00), 생활비 조달방법에서 정부보조금으로 생활을 하는 대상자보다 본인이 급여를 받거나 수입이 있는 대상자가 구강보건행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2). 4.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우식경험 미처치치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우식경험미처치치아와 우식경험상실치아, 우식경험처치치아와 현존치아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본인이 직접 생활비를 조달하는 노인들이 우식경험처치치아를 5.4개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었으며(p = 0.02)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잇솔질 방법에서 본인 마음대로 닦고 의 경우 상실치아가 11.8개(p = 0.05)로 다른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잇솔질을 하고 있는 노인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윗니와 아랫니를 따로 닦고 있다는 응답자에서 현존치아가 17.3개(p = 0.00)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또한 보건소를 자주 이용하는 노인들의 처치치아는 4.3개로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0).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65세 이상의 노인들은 대체적으로 구강건강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잇솔질방법 등 올바른 구강건강행위를 하는 노인의 구강건강상태가 훨씬 양호하게 조사되었으며, 경제수준도 구강건강상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우리 치과위생사들은 노인들에게 구강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노인구강보건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지역자치단체에서는 노령인구를 위한 보건의료를 확장하여 보건소를 중심으로 적극적인 예방업무와 치료업무가 이루어지도록 치과의료서비스 접근도를 높이는 정책전환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수도권 일부지역 치과병 의원에 내원한 환자들을 조사 대상자로 선정하였기에 조사기간 동안에 내원하지 않았거나 다른 진료기관을 이용한 노인들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되어 우리나라 전체 노인의 구강건강실태를 대변하였다고 할수 없고, 구강검사시 치과병의원의 치과의사의 협조를 얻어 시행하였기에 평가자간의 오차가 다소 발생하여, 향후 검사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요망된다.

  • PDF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구강건조감 및 구강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Stress in Dry Mouth and Self-Diagnosed Oral Symptoms on Workers)

  • 조혜진;조민희;조윤지;장영은;전은희;정복림;정윤선;차혜경;최영주;한인성;황지영;홍민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34-643
    • /
    • 2012
  • 직무스트레스는 점차 복잡하고 다양화되어 가는 현대사회에서 건강 및 구강건강에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2년 6월 1일부터 6월 20일까지 366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구강건조정도를 파악하고 자가 구강증상을 측정하여 직무스트레스 및 구강건조정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다. 1. 성별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수준 차이 결과 남성은 직무요구, 관계갈등, 직장문화에서 상위 50%에 속해 있었으며. 여성은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직장문화에서 상위 50%에 속해있었다. 2. 직무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구강건조감과 자가 구강증상의 차이 결과, 구강건조감은 직장문화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구강증상은 직무요구,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 부적절, 직무스트레스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구강건조감은 직장문화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구강증상은 직무요구,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직무스트레스, 구강건조감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 직장문화, 보상부적절은 구강건조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건조감, 직무불안정, 조직체계는 구강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근로자 개인의 구강건강증진과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직무스트레스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여야 하며, 스트레스로 인한 구강 내 증상을 인지하고 관리함으로써 삶의 질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연하장애 인식과 중재 필요성 (A Survey About Awareness and Necessity of Community Based Dysphagia Therapy of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 민경철;김은희;우희순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2호
    • /
    • pp.39-51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연하재활 인식도, 교육 및 치료 경험과 현황을 설문을 통해 확인하여 지역사회 연하재활 중재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 경기도 내 일개 보건소에 내소하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에게 지역사회 연하장애 인식, 교육, 치료에 관한 직접 설문을 진행한 후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총 89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지역사회 노인들의 연하장애에 대한 인식도 및 교육, 치료 경험은 높지 않았으나, 중요성 및 참여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하는 교육 주제로는 구강 건강 및 관리, 씹기 및 삼킴, 구강운동법으로 다양하였으며, 추후 보건소에 연하재활 프로그램이 생기면 참여한다고 응답하였다. 연하재활 교육 및 치료 참여가 어려운 이유는 정보 및 기회 부족을 꼽았다. 대부분의 연하장애 증상에 대한 이해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연하재활은 일생에 걸친 주요 일상 활동인 먹기 및 삼킴 기능을 유지시키고 삶의 질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재활의 주요 영역이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연하재활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므로, 지역사회 노인을 포함한 지역사회 대상자들에게 연하재활에 관련된 정확한 인식 제공과 체계화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더불어 지역사회 노인들의 연하장애 증상 조기 발견과 중재 제공을 통해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

일부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health allied college students)

  • 박희정;이준협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14
    • /
    • 201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le impact factors(oral health level,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s, health level, health behaviors, and mental health) o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OHIP-14 of health allied college students. Methods: A total of 363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university student in Seoul. To investigate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presented in the research model,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Scheffe's test), man-whitney, kruskal wall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using SPSS ver. 21.0 Results: The study shows that the students reported mean score of OHIP-14 ($8.32{\pm}7.51$), of which physical pain was the highest score($1.88{\pm}1.45$) and social disability was the lowest score($0.69{\pm}1.13$).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that the score of OHIP-14 was shown to b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following people: who were get more self-reported symptom of periodontitis, halitosis, negative self-perceived general health and oral health, no received dental scaling treatment, and participants who had no experience awareness of distress in two weeks. The explanatory power was 18.2%. The most powerful factor regarding to self-reported symptom of periodontitis was shown to be negatively relations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nclusions: In order to enhance the students' life quality, there need to be considered for a comprehensiv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program for the students through health education policy.

  • PDF

거동불편노인의 구강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Dental Health and Living Quality of the Elderly With Physical Debilities)

  • 박남규;김한곤;김진아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13-425
    • /
    • 2011
  •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elderly with physical debilities, who are in a medically vulnerable social class, to examine closely their dem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unmet needs, dental states, and living qualities and satisfaction levels relating to oral health and social supports to them, and also to prepare the basis for effective public medical policies and health improvement programs aimed at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with physical debilities. Methods: Twenty-two elderly care facilities within Jeju Special Self-Government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urvey. Between 11 January and 5 March 2010, a total of 250 elderly persons(65 and over) with physical debilities were interviewed and their dental health was check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The need for social support for dental care of the elderly with physical debilities was high in the medical institution-supported service (49.6%). The unmet needs for physical care were high in bathing (49.6%) and using public transportation (71.6%). More than half of these surveyed had ten or fewer teeth. The survey found that 31.6%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problems eating, due to poor dental health. Concerning quality of life, 30.5% of those surveyed experienced physical pain. Conclusion: In summary, the ages of the survey participants directly relates to the degree of behavioral debility experienced. The more debility a participant exhibits, the greater is the need for social support and dental care. The dental health of a participant directly relates to a higher quality of life. Good dental health of a participant translate to better quality of life.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 elderly with physical debilities suffer from a lack of accessibility to medical care and worse oral health than do other elderly persons, it is essential to increase accessibility to medical institutions that can provide such services as door to door dental care. Current insurance policies, funding for denture insurance, and free denture and denture-upgrade programs desperately need to be expanded. Therefore, to improve effectively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with physical debilities civil dental medical resources should be encouraged to provide inclusive and prevention-focused medical care. In the public domain, door to door dental care services and cooperation with civil dental care resources need to be improved to increase impartial accessibility to dental medical institutions.

성인의 악관절 증상과 요추질환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between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and Lumbar Diseases in Adults)

  • 황수현;유지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4-129
    • /
    • 2018
  • 본 연구는 골관절염의 유병률이 증가하는 시기인 성인을 대상으로 악관절 증상과 요추질환의 관련성 분석을 통해 구강 건강 및 일반적인 건강 향상을 위한 보건정책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수행하였다. 대표성이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제5기 3차년도(2012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목적에 적합한 만 50세 이상을 대상으로 건강설문 및 요추관절 방사선 검사를 완료한 3,017명을 연구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악관절 증상의 여부는 16.1%가 최근 1년간 악관절 부위에서 이상 증상을 한 가지 이상 경험했다고 답하였다. 요통의 경우 20.6%가 최근 3개월 동안 요통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요추관절 방사선 영상 진단결과에 따른 요추 골관절염이 있는 사람은 30.6%로 나타났다. 악관절 증상을 경험한 사람의 경우 요통 유병위험률이 정상군에 비해 1.70배(95% CI, 1.30~2.2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요추 골관절염 유병 위험률은 정상군에 비해 1.20배(95% CI, 0.86~1.6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성인의 악관절 증상이 요추 골관절염 유병위험률과의 관련성에서는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요추질환의 전형적인 증상인 요통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성인들의 악관절 증상에 대한 적절한 치료 및 예방을 한다면 요추질환 유병률을 낮추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중요한 작용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향후 악관절 장애와 요추질환에 대한 적절한 관리프로그램 개발 및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