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강·악안면

Search Result 2,215,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Intraoral Approach in Submandibular Gland Extirpation (구내접근법을 이용한 악하선 적출)

  • You, Jun-Young;Ko, Kwang-Hee;Yoon, Hyun-Joong;Lee, Kook-Yeop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v.17 no.2
    • /
    • pp.186-190
    • /
    • 1995
  • 타석증을 동반한 만성 악하선 타액선염의 경우 악하선 적출은 일반적인 치료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악하선 적출술은 수술의 용이성, 수술시야의 확보 등의 장점으로 구강외접근에 의해서 시행되어져 왔다. 그러나 시대적으로 심미적인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요즈음 구외 접근으로 인한 술후 반흔은 구외접근법의 가장 결정적인 단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설하선과 함께 적출하여야 할 경우 구내접근과 구외접근을 동시에 실시할 경우 술후 치유과정상의 후유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반면에 구강내 접근에 의한 악하선의 적출은 수술상의 고도의 난이도로 수술자체의 어려움은 있으나 구강의 반흔을 남기지 않아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저자 등은 타석증을 동반한 악하선 타액선염의 환자에 있어 구내 접근으로 악하선 및 설하선 적출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Submental Intubation for Maxillofacial Surgery -A Case Report - (구강악안면수술을 위한 악하 기관 삽관 -증례보고-)

  • Kim, Soung-Min;Kwon, Kwang-Jun
    •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Society of Anesthesiology
    • /
    • v.4 no.2 s.7
    • /
    • pp.96-99
    • /
    • 2004
  • 구강저를 통한 기관내 삽관은 1986년 Altemir에 의해 처음 소개된 바 있는데 그 후 1993년 Hoenig와 Braun 및 같은 해 Stoll 등에 의해서나, 또는 1996년 Prochno 등에 의해 계속 변형된 방법으로 문헌에서 기술되어 왔다. 이 방법은 치과 영역 특히 구강악안면외과의 외상수술시 이상적인 교합을 얻기 위해 임시 상하악간 고정(intermaxillary fixation)을 할 수 있고 중안모 골절(midface fracture)의 회복을 위한 비관 삽관의 불편함을 피할 수 있는 유리한 점이 있으며, 또한, 정복 및 고정술이 필요한 비골 골절(nasal bone fracture)에서나 두개기저골 골절(skull base fracture)에서 여러 감염 등 합병증을 피하기 위해 추천될 수 있다. 또한, 목 부위에 비심미적인 반흔을 만들게 되며 여러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는 기관절개술(tracheostomy)보다 유용할 수 있다. 본 증례보고에서는 교통사고로 두개기저부 골절을 동반한 심한 중안모 골절 환자에서 적용시킨 경우를 알아보고, 아울러 이러한 악하부 삽관의 장, 단점 및 시술 과정 등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 PDF

Hodgkin Lymphoma of the Oral Mucosa :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구강점막에 발생한 호지킨림프종의 증례보고 및 문헌고찰)

  • Lee, Eun Su;HE, YUZHU;Cho, Hye Joung;SUN, QIAOCHU;SHI, SHUHAN;Kim, Young;Kim, Ok Joon
    • The Korean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 /
    • v.42 no.6
    • /
    • pp.175-182
    • /
    • 2018
  • Extranodal intraoral Hodgkin lymphoma is not common. We report the case of a 78-year-old male patient with ulcer of the mandibular oral mucosa that was not cured for about 3 weeks. In biopsy and histopathologic examination, it was found to be extranodal intraoral Hodgkin lymphoma. Early diagnosis of oral lesions led to early detection of lesions of the opposite neck lymph node in an additional PET-CT scan. We report this case and review relevant literature.

MICRONEUROSURGICAL RECONSTRUCTION OF THE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USING THE SURAL NERVE;HISTOLOGIC STUDY (비복신경을 이용한 구강 및 악안면 영역의 신경재건;해부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Myung-Jin;Kim, Byeong-Ri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v.13 no.1
    • /
    • pp.30-36
    • /
    • 1991
  • Various nerves from many areas of body can be used as a donor of autogenous nerve graft in the microneurosurgical repair of the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In the grafting procedure of nerve repair, the best results will be achieved with a maximum approximation of fascicular surface at both the porximal and the distal stumps. Therefore, appropriate selection of donor nerve will bring out the best results. The sural nerve has been used as one of the most popular donor nerve in the microneurosurgical repair of the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The authors examined the fascicular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sural nerve microscopically and compare this results with our previous report of the greater auricular nerve and that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 PDF

Anatomic Study on the Lacrimal Duct using Computerized Tomograph

  • Choung Pill-Hoon;Lee Ui-Lyong;Hong Jong-Rak
    • Korean Journal of Cleft Lip And Palate
    • /
    • v.5 no.2
    • /
    • pp.109-112
    • /
    • 2002
  • 구순 구개열 환자의 악교정 성형수술로 구강내 Le Fort II 골절단술이나 비중격 성형술이 많이 이용되는데, 이때 비골의 외측골절단술을 요하며, 이에 대한 술 후 합병증으로 비루관의 폐쇄나 비골의 분쇄골절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악안면기형 환자를 다루는 구강악안면외과의사에게 비루관의 웅용해부학적 연구는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합면을 기준으로 촬영된 컴퓨터 단충 촬영에서 비루관의 위치와 크기를 조사하는데 있다. 2000년 7월부터 2003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방사선과에서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한 환자 62명을 대상으로 비상악봉합선에서 비루관까지의 최단거리와 비루관의 최대반경과 최소반경을 측정하였다. 우측비상악 봉합선에서 비루관까지의 거리는 5.68mm이고, 좌측은 5.67mm였다. 좌우 및 성별간의 차이는 없었다. 이의 해부학적 지견은 악기형 수술시의 비루관 폐쇄라는 합병증의 예방책으로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 PDF

Changes in Protein Expression of Oral Cancer Cells Continuosly Exposed to Porphyromonas gingivalis (Porphyromonas gingivalis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구강암 세포의 단백발현 변화)

  • Wi, Sin Wook;Woo, Bok Hee;Kim, Da Jeong;Lee, Ji Hye;Park, Bong Soo;Park, Hae Ryoun
    • The Korean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 /
    • v.41 no.1
    • /
    • pp.9-16
    • /
    • 2017
  • Porphyromonas gingivalis is a gram-negative bacteria of rod shape, and grown in an anerobic condition. It colonizes in subgingival crevice and is known as a major pathogen causing chronic periodontitis. It possesses an invasive property and replicative potential within various cell types, presumably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modulating biological behaviors of oral cancer. However, the pathophysiology of P. gingivalis in the malignant transformation of oral cancer has not been fully understood.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molecular changes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cells induced by repetitive P. gingivalis infection that clinically resembles chronic periodontitis.

FOREIGN BODIES IN MAXILLOFACIAL REGION (구강악안면부위에서 발견된 이물질)

  • Kim, Il-Kyu;Sihn, Joo-Ho;Oh, Sung-Seop;Choi, Jin-Ho;Oh, Nam-Sik;Rim, Young-Il;Kim, Wang-Si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v.27 no.3
    • /
    • pp.266-270
    • /
    • 2001
  • Foreign bodies in the maxillofacial area are not commonly seen. If occurred, the immediate removal of foreign bodies is recommended to avoid further complication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a exact localization of foreign bodies using X-rays such as plain radiography, computed tomograph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ultrasound before treatment. During removal of foreign bodies, tissue should be dissected carefully and complete exploration of the whole wound required.

  • PDF

A Study on Symptoms and Clinical Findings of TMJ Dysfunction (악관절 기능장애증의 증상 및 임상소견에 관한 연구)

  • 김연중;이승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9 no.1
    • /
    • pp.117-125
    • /
    • 1984
  • 악관절 기능장애증의 증상 및 임상소견에 관해 많은 연구가 보고되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편이며, 이들간의 상호 관련성을 조사한 연구는 별무하였다. 이에 저자는 1983년 3월부터 1984년 7월 사이에 서울대학교 병원 구강진단과에 내원한 악관절 기능 장애증 환자 367명 중 방사선 사진상으로 기질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는 327명을 대상으로, 증상 및 임상소견에 관한 조사와 아울러 악관절 동통이 하악 운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악관절 기능장애증은 약 3:1의 비율로 여자에게 빈발하였고, 15세에서 29세까지의 청장년 층에 많았다. 2. 악관절 기능장애증 환자가 경험한 주 증상은 동통, 관절잡음, 개구장애 등이었다. 3. 관절잡음은 편측성인 경우가 많았고, 좌우 발현 빈도는 비슷하였으며 말기의 관절잡음이 많았다. 4. 악관절 기능장애증의 발병 기간은 1개월 이하인 경우가 많았다. 5. 악관절 동통은 개구와 하악 전방운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6. 악관절 동통은 동통이 있는 쪽으로 하악 개구로의 편위를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Lycorine induces apoptosis by enhancing protein degradation of survivin in human oral cancer cell lines (Lycorine의 사람 구강 암 세포주에서 survivin 단백질 분해 증진으로 세포자멸사 유도)

  • Jeong, Joseph H.;Cho, Nam-Pyo;Jang, Boonsil
    • The Korean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 /
    • v.41 no.1
    • /
    • pp.1-7
    • /
    • 2017
  • Lycorine, a natural alkaloid extracted from the Amaryllidaceae plant family, was reported to various phys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effects including anti-cancer activity. Nevertheless, there is no report of the anticancer effect of lycorine in oral cancer cells. The effects of lycorine on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were examined through trypan blue exclusion assay, 4'-6-diamidino-2-phenylindole (DAPI) stain, Live/Dead assay, Western blot analysis and RT-PCR. Lycorine suppressed cell viability and induced apoptosis in MC3 and HSC-3 cell lines. Lycorine decreased survivin protein but did not affect its mRNA. It regulated survivin through accelerating protein degradation in a time-dependent manner although neither proteasome nor lysosome was not associated with lycorine-mediated protein degradation. Collectively, our results suggest that lycorine may be a potential therapeutic anti-cancer drug candidate for the treatment of human oral cancer.

Genome sequence of Prevotella intermedia strain originally isolated from cervicofacial actinomycosis (경부안면형 방선균증에서 분리된 Prevotella intermedia의 유전체 염기서열 해독)

  • Moon, Ji-Hoi;Jang, Eun-Young;Yang, Seok Bin;Shin, Seung-Yun;Ryu, Jae-In;Lee, Jin-Yong;Lee, Jae-Hyung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55 no.1
    • /
    • pp.58-60
    • /
    • 2019
  • Anaerobic Gram-negative bacterium Prevotella intermedia is a part of normal flora of the oral cavity and associated with various types of oral and systemic diseases. We present here a draft genome sequence of P. intermedia ATCC 15032, originally isolated from cervicofacial actinomycosis. The genome is 2,848,426 bp in length and has a GC content of 43.45%. The genome includes 2,358 protein-coding genes, 5 rRNAs, and 43 tRNA. The sequence information will provide important clues in understanding the genome diversity within the bacterial species, and genetic basis for phenotypic differences among P. intermedia stra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