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통정보 서비스

Search Result 964, Processing Time 0.063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Center for Integrated Road Transport Information Service System (통합도로교통정보 서비스 체계 구현을 위한 교통정보센터 개발 연구)

  • Chung, Sung-Ha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4 no.10
    • /
    • pp.259-270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ystematic design of the Korea's Integrated Road Transport System in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Integrated Road Transport System services support safety driving and traffic information for travellers, and rapid response of the system for emergency status not only dissemination of traffic for traffic but also flood, heavy snowfall, falling rocks, closed-road, collapse, accident and so on. Therefore, integrated road transport system service contributes national highway safety management system to the voice of the nation of integrated road transport system center service for user friendly.

A Design of Real-time Road-Traffic Monitoring System based on GML for Mobile (모바일을 위한 GML기반 실시간 교통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계)

  • Kim Myung-Hwan;Chung Yeong-J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319-321
    • /
    • 2005
  • 최근 효율적인 교통 흐름 제어 및 교통정보 서비스 제공을 위한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에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도로의 소통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이용자들에게 웹이나 지역에 설치된 VMS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를 위한 GIS가 OpenGIS와 같은 표준화 단체에서 제안하고 있는 구조를 따르지 않고 있으며, 지리정보의 표현도 검증 없이 자체적으로 GIS정보를 이용함으로 인해 서비스의 성능과 품질 저하는 물론 정보통합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OpenGIS에서 공간정보 표현에 권고되고 있는 GML을 기반으로 도로망에 구축되어진 각종 교통정보 기기로부터 ITS로 수집된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반영하여 모바일 기기 또는 웹서비스를 통해 교통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GML을 기반으로 한 지리정보 DB와 각종 교통정보 기기로부터 수집된 실시간 교통정보의 통합을 통해 모바일 기기나 웹을 통해 공통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Client/server 시스템에 주안점을 두고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시스템은 전용 공간데이터를 구축하지 않고, 표준화된 공간정보인 GML을 이용한 변환 메커니즘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이 기종의 시스템에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Traffic Information and POI Providing System for Telematics Services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위한 교통정보 및 주변정보 제공 시스템)

  • Kim Chul-Su;Kim Jong-Ik;Yoon Dae-Sub;Kwon Oh-C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497-500
    • /
    • 2006
  • 개방형 텔레매틱스 시스템 구축을 위해 텔레매틱스 게이트웨이와 프레임워크[1]가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개방형 텔레매틱스 시스템의 중요 요소인 프레임워크에서 교통정보와 주변 정보를 통합하여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교통정보와 주변정보를 직접 생성하고 관리할 필요 없이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개발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웹서비스 기술을 이용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물은 서비스 개발자들에게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교통정보와 주변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정보를 받기 위한 상세한 내용을 모르고도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게 한다.

  • PDF

텔레매틱스 시대를 대비한 첨단교통정보서비스 체계화 방안

  • 강연수;문영준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1 no.5
    • /
    • pp.56-69
    • /
    • 2004
  •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위해서는 우선 가장 기본이 되는 교통정보의 제공체계가 뒷받침되어야 하는데, 현재 우리나라의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체계는 이를 담당하는 각 지자체 및 업체들에 따라 별도의 시스템들을 구축하고 있어 종합적이며 체계화된 정보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텔레매틱스 상용화에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범국가적 차원에서 교통정보의 수집 및 활용, 통합운영ㆍ관리방안을 마련하여 종합교통정보서비스 사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체계화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텔레매틱스를 위한 통신 인프라의 국제적인 기술 방향에 따른 국가 도로체계 정보화 인프라 구축방안을 전략적으로 제시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중략)

A Study on Public Transportation Integrated Pedestrian Path Information Service (보행자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연구)

  • Kim, Jae-Kwon;Bae, Eun-Shil;Byun, Woo-Sub;Park, Sang-Bong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3-9
    • /
    • 2005
  • 무선통신 기술과 정보 기술을 이용해서 사용자 무선 단말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텔레매틱스 서비스는 차량 운전자, 탑승자 및 보행자 등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다. 또한 무선통신망의 발전으로 인해 광대역 통신의 대용량 텔레매틱스 서비스로의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텔레매틱스 서비스 중에서 대중교통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보행자 위주의 길안내 서비스에 대해 논한다. 보행자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를 위한 요구 사항을 기반으로 서비스 기능을 정의하고 서비스를 분류함으로써 보행자의 도보 및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를 제안한다. 보행자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는 보행자 도보 길안내 기능, 출발지와 목적지 기반의 One-Stop 대중교통 안내 기능, 대중교통 정보 제공 기능, 경로 예약 기능, 개인화 기능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기능의 정의 및 구성 요건들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ranport Protocol Experts Group Service (TPEG 서비스 추진 동향)

  • Chun, H.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2 no.6
    • /
    • pp.170-181
    • /
    • 2007
  • TPEG는 디지털방송 매체를 통해 교통 및 여행정보를 전송하는 표준 프로토콜로 이동환경에서 운전자들에게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킬러 애플리케이션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교통정보를 데이터화해 지상파 DMB, DAB 등의 매체를 통해 이용자의 위치와 주변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기술로 데이터의 부호화, 복호화 및 필터링 등 다양한 규격을 포함한다. TPEG는 DMB 등 휴대이동방송이 시작되면서 디지털 방송신호를 통해 개인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본 고에서는 TPEG 서비스의 개요 및 개발현황, 사업자들의 TPEG 서비스 추진현황을 살펴보고, TPEG 서비스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 Study on b-Traffic Service Platform based on Open data Infrastructure (공공데이터 인프라기반 b-Traffic 서비스 플랫폼 연구)

  • Son, Seok-Hyun;Song, Seok-Hyun;Shin, Hyo-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117-118
    • /
    • 2014
  • 최근 공공기관의 공공데이터 제공이 활성화 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응용서비스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교통정보예측 플랫폼은 실시간 교통정보 또는 과거 교통정보이력을 분석하여 미래의 교통량이나 도착시간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날씨, 사고 등과 같은 미래 교통정보에 즉각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를 배제하고 있어 높은 신뢰도를 확보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교통정보예측에 영향을 주는 요소인 기상, 사고, 교통정보와 같은 공공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 저장 처리할 수 있는 저장방식 및 신뢰도 높은 교통정보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기술이 포함된 b-Traffic 서비스 플랫폼을 제시한다.

  • PDF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region informal ion and traffic informal ion service system using mobile technology (모바일 기술을 이용한 지역정보, 교통정보 서비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강희성;손필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571-573
    • /
    • 2004
  • 기존의 지역정보, 교통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직접 PC 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무선 인터넷이 보급됨에 따라 PC 가 아닌 휴대용 단말 장치로 서버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 실제로 PC 를 사용할 수 없는 지역에서도 필요한 지역정보나 교통정보를 모바일 단말장치를 통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SK 텔레콤이 XCE(eXtended Computing Environment)와 공동 개발한 무선인터넷 서비스 플랫폼인 SK-VM 이 가지는 장점을 최대한 이용하고, 데이터베이스와 모바일간의 데이터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아직까지 상용화되고 있지 많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인 모바일 지역정보, 교통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raffic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Crowd Sourcing (크라우드 소싱 기반의 교통 정보 서비스 설계 및 구현)

  • Kim, Garam;Park, Dohun;Yoo, Jaesoo;Bok, Kyoung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2
    • /
    • pp.1-9
    • /
    • 2022
  • To provide real-time traffic conditions, crowd sourcing based traffic information services in which users directly report and share traffic conditions are being developed. However, the existing traffic information service provides limited traffic conditions because it only shares information reported by specific service participants. In this paper, we design and develop a crowd sourcing based traffic information service that provides real-time traffic conditions by collecting direct reports from users and public traffic conditions. The proposed service allows users to directly report traffic conditions by voice and text, and collects and integrates traffic conditions published by external organizations. The collected traffic conditions are provided in real time through a push service, and new traffic conditions are transmitted when the user's location changes. The proposed service can report traffic conditions and share real-time traffic conditions through an Android app.

ITS System and Its Communication Requirements (첨단운송체계(ITS) 서비스 정의 및 통신 기술)

  • O, Yeong-In;Yun, Cheol-Sik;Kim, Eung-Bae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2 no.3 s.45
    • /
    • pp.11-17
    • /
    • 1997
  •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는 H/W 중심의 차량 및 교통 기반 기설에 통신.전자.제어.컴퓨터 등 S/W 중심의 기술을 적용하여, 각 차량 및 교통 시설(신호등, 도로, 교통 안내 표지판, 도로 상황판 등)들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존의 도로 교통 시설의 이용 효과를 극대화하고, 그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교통 수요 관리를 목적으로 사용자에게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지능형 종합 기술 체계이다. 이러한 최첨단 도로교통 관리의 ITS를 이용한 서비스는 각 나라마다 달리 정의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첨단교통관리시스템(ATMS), 첨단교통정보시스템(ATIS), 상용차량 운행관리 시스템(CVO), 차량 및 도로 시스템(AVCS) 그리고 첨단 대중교통 시스템(APTS)의 5개 분야로 나누어진다(1). 이 다섯가지 ITS 서비스 시스템은 공통적으로 정보 수집, 정보 처리, 정보 전달, 정보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각종 검지기, 차량 단말, 노변 단말 등의 수집 장치에서 수집된 정보(정보 수집)는 관련 통신 방식(정보 통신)을 통하여 중앙 정보 처리 센터에 전달되어 그 서비스 요구 사항에 따라 처리(정보 처리)되고, 생성된 정보는 해당되는 통신 채널을 거쳐(정보 통신) 각종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정보 전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ITS체계의 정의, 목표 및 서비스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여 전달하는 과정과 이에 요구되는 통신 체계에 대하여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