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통류 특성

Search Result 23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nalysis of stable flow traffic characteristics to develop spatial distribution models for freeway-diverging sections (지방부 고속도로-유출부 구간의 정상류 교통특성 규명 및 교통분포 모형식의 개발)

  • 최재성;김병성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5
    • /
    • pp.9-22
    • /
    • 2002
  • 고속도로-연결로는 두 개의 교통흐름이 서로 상충되는 지점으로서 복잡한 교통행태를 나타내고 고속도로 구간 중 용량저하 및 교통와해현상, 난류현상이 일어나는 구간으로서 운영상 문제점이 많이 일어나고 있는 상태이다. 이 구간에서의 운영상태가 전체 시설물의 운영상태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 구간의 국내자료를 토대로 한 교통류 분석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교통행태에 대한 미시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기존의 HCM 모형과 같은 거시적인 분석 방법만을 가지고는 분류구간 교통현상을 규명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 분석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속도로-연결로 구간중 유출부 구간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고, 지점(구간)과 차로로 세분하여 미시적인 방법으로 교통특성을 규명하였다. 또 한 유출부 구간의 여러 지점에서 지점 및 차로별 교통량을 예측할 수 있는 교통분포 모형식을 개발하였다. 정립된 교통분포 모형식을 적용해 본 결과 유출부 구간의 분석 및 서비스 수준의 평가는 연결로 접속차로(Vl)의 교통량만을 고려하여 분석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고, 연결로나 본선 모두와 진입부를 포함한 연결로 전체를 다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시적인 분석방법을 통한 차로별 교통분포 모형식은 기존 분석방법과 비교하여 더 정확하게 그리고 폭 넓은 분석 및 적용하기에 손쉬운 모형이라는 점에서 상당히 효과적인 분석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한 조사지점에 대한 적은 자료를 토대로 하였기 때문에 실제적용 가능성에서 향후 보강할 필요가 있으며, 다른 지점의 현장조사와 세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다.

A Mathematical Model for Determination of PCE's Based on Delay for Two-Lane Two-Way Highway (양방향 2차로 도로의 지체시간 산정을 이용한 승용차환산계수 결정이론)

  • 이승준;최재성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2
    • /
    • pp.149-162
    • /
    • 1999
  • One of the most important steps of the design, capacity and operation analysis stapes in the two-lane two way highways is the effect of heavy vehicle to traffic flow quality. This heavy vehicle's effect on traffic flow can be represented as PCE, which is the number of passenger cars that are displaced by a single heavy vehicle of a particular type under prevailing roadway, traffic, and control conditions.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heavy vehicles effect on volume, speed, delay, and the maneuver of freedom which are major MOE's in traffic operation analysis and PCE criterion which should be measurable, determinable and able to reflect the traffic flow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e paper is to determine the PCE criterion and to develop a new PCE determination method. In this study, delay is adopted as PCE criterion and, for calculation of delay, the highway is divided into the passing zone and the no-passing zone. PCE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delay due to total traffic flow interaction with the delay due to a single heavy vehicle, Also, this paper proposes a new method to determine the average PCE on the highway that has the passing zones and no-passing zones.

  • PDF

A Study on Service Level Analysis According to Geometric Structure of Two-Lane Highway (양방향 2차로도로의 기하구조에 따른 서비스수준 분석에 관한 연구)

  • Lee, Ju-Ho;Lee, Young-Woo;Lim, Chae-M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y Convergence
    • /
    • v.7 no.1
    • /
    • pp.47-53
    • /
    • 2004
  • 양방향 2차로 도로에서는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도로의 안전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오르막 차로 및 양보차로 추월차로 등의 부가차로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부가차로 효율성의 비교 분석을 통한 연구에 의하여 기존의 도로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가차로 중 추월차로 및 양보차로가 포함된 구간을 조사하여 기하구조에 따른 교통류 특성을 분석하고 각 구간별로 서비스 수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기하구조별로 지점속도와 통행속도를 분석한 결과 지점속도는 통행속도보다 조사지점의 기하구조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아 변동이 심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통행속도는 그 기하구조에 따른 교통류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차량별 지점속도의 비교 분석에서는 현재 차량성능의 진보로 인하여 조사구간의 설계속도에 반해 중차량 및 버스-트럭, 승용에 대한 차량별 속도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존의 중차량에 대한 보정은 현장제한속도에 대하여 감안되어야 된다고 판단된다. (3) 모의실험모형과 현장조사에 의한 교통류특성을 비교해 보았을 때, 시뮬레이션은 도로의 전구간에 대한 결과는 잘 반영하고 있으나 짧은 구간에 대하여 교통류의 연속성을 파악하기에는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4) 추월가능 구간과 양보차로구간의 효율성을 비교해 보면, 추월율에서 양보차로구간이 추월가능구간보다 22.5%나 높게 나왔으며 총지체비교에서는 추월가능구간보다 5.56sec/h의 지체감소를 보이고 있다. 서비스 수준분석에서는 같은 C의 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양보차로의 영향으로 양보차로 후구간의 서비스 수준이 A까지 상향되었다. 따라서 대향교통류의 영향을 받는 추월차로의 확보보다는 효율성이 좋은 양보차로구간의 보급이 많아야 되겠다.

  • PDF

Study for the Homogeneity of Freeway Free-Flow Speed under the State of LOS-A Low Density (LOS A 저밀도 상태에서 고속도로 자유교통류 속도의 동질성에 관한 연구)

  • Yoon, Byoung Jo;Oh, Seung Hw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6D
    • /
    • pp.779-784
    • /
    • 2011
  • Freeway FFS (Free-Flow Speed) under the state of LOS (Level of Service) A has been regarded as a homogeneous state to all levels of traffic volume. The features of low-density FFS is served as the basic data for a decision on limited maximal speed, accident analysis, simulation modeling etc. A few researches for the macroscopic characteristics of design and operation speed have been reported, and any study for the microscopic features of freeway free-flow speed under the state of low density has not been done.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low-density FFS according to the level of traffic volume (1-3 veh/30 sec) and daily hour periods (0-5, 6-8, 9-11, 12-19, 20-23) is microscopically analyzed in this study with huge volume and speed data. It was found that speed distributions are changed and show different behaviors under the conditions of traffic volume levels and daily time periods. V85s (85th percentile speed) at early morning and night periods decrease when levels of traffic volume increase, whereas V85s at day time do not show considerable differences. Especially, FFSs of levels of traffic volume at early morning and night periods, despite low density, is analyzed as heterogeneity, but homogeneity at day time.

A Study on Development of Dynamic Traffic Assignment Technique using the Cell Transmission Theory (Cell Transmission 이론을 이용한 동적통행배정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주영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31-40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Cell Transmission(1994, Daganzo) 교통류 이론을 기반으로 동적통행배정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모형은 동적 O-D 발생모듈, HOV 차선모듈, 분류부 분할모델, 링크비용함수 모듈, 최단경로 탐색 모듈등으로 구성된다. 이 모델에서 적용하는 교통류 모델은 각 링크를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셀로 구분하여 셀내의 진입시간과 진출시간을 계산하여 링크비용을 계산하는데 이것은 비용의 과대·과소 추정을 피할 수 있으며 교통지체 현상을 현실적으로 표현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HOV 차선 모듈에 의해 수단별 교통류 진행 및 비용고려가 가능하며 HOV 차선의 평가 및 분석이 가능하다. 기존의 동적통행배정모형은 매 시간대별 출발지에서 균형상태를 추구하는 통행배정기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 모델은 분류되는 노드를 가상의 출발점이라고 가정하여 각 시간대별로 최단경로를 탐색하여 균형상태를 추구해나가는 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각 셀별 차량을 목적지별, 차종별, 대기시간별로 추적하여 진행시키며 분류부에서는 최단경로를 탐색하여 배분된다. 또한 진행하고자 하는 셀의 용량과 현재 셀의 밀도를 고려함으로서 용량제약 하에서의 동적통행배정모형을 적용하고 있다. 이 모형은 고속로의 합류부 및 분류부의 교통특성을 세밀히 분석할 수 있으며, TCS 및 램프미터링과 접목하여 고속도로 운영에 이용될 수 있으며, 고속도로 중·장기적인 계획에 이용될 수 있다.

  • PDF

Analysis Study on the Microscopic Characteristics of Freeway Free Flow Speed (고속도로 자유교통류 속도의 미시적 특성에 관한 연구)

  • Yoon, Byoung J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2D
    • /
    • pp.105-111
    • /
    • 2010
  • Operating speed is one of key elements i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freeway. Few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macroscopically to find characteristics of free-flow speed (FFS) using small sample size and not considering the conditions of traffic volume and the effects of hour periods. As an attempt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FFS, this study microscopically analysed both the distributions of freeway FFS and percentile speeds according to traffic volume and daily hour periods using huge sample size. It was found out that speed distributions are changed and showed different behaviors under the conditions of traffic volumes(1-5 veh/30sec) and daily hour periods(0-5, 6-8, 9-11, 12-19, 20-23). V85(85th percentile speed) at morning, night, and midnight period decreases according to increase in traffic volume respectively, whereas V85 at day time does not show considerable differences. So the behaviors of V85 according to hour periods dra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raffic volume.

Development of Emission Monitoring System Using ITS (ITS를 이용한 대기오염 로니터링 시스템 개발)

  • Park, Jun-Hwan;Lee, Jun;Lee, Young-Ih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7 s.78
    • /
    • pp.61-67
    • /
    • 2004
  • It is needed for one to design the better models estimating emission and then with the real time data, make the monitoring system simulating emission rate because of having built the basement of accepting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in ITS projects.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develop the monitoring system visualizing air pollution to a certain place. It is based on the estimated emission from the patterns of individual vehicles and the changes of traffic flow. For constructing simulator, we loaded referring algorithm in actuality program and simulates the traffic flow movement in a microscopic viewpoint. The simulator is able to express not only the movement of each car but also to visualize processing the emission and diffusion of the air pollutant by computer program. Not only expresses the simulation process the angle of vision but it also cutting down environment expenses and improving the traffic impact assessment and the traffic impact assessment.

Research on the Generation Maritime Traffic Features based on Vessel Trajectories (항적 기반 해상교통 특성 정보 생성에 관한 연구)

  • Oh, Jae-Yong;Kim, Hy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0.11a
    • /
    • pp.175-176
    • /
    • 2020
  • 시뮬레이션 기반의 해상교통 분석 방법은 대상 항만의 항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교통 특성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해상교통 현상을 재현함으로써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교통 특성 모델은 교통 현상을 수치적으로 표현한 일반화 된 모형을 말하며, 모델링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본 논문에서는 해상 교통 특성을 생성하기 위한 자동화 된 프로세스를 제안하며, 실제 목포항의 항적 데이터에 적용하여 교통특성 정보 생성 방법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PDF

Analysis of Merging Behaviors and Traffic Characteristics on Freeway Merging Areas According to Acceleration Lane Length (가속차로 길이에 따른 합류행태 및 합류부 교통특성 분석)

  • Lee, Seung-Jun;Park, Jae-Beom;Kang, Jeong-Gy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3 no.8 s.86
    • /
    • pp.53-66
    • /
    • 2005
  •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acceleration lane lengths on the traffic characteristics of merging areas. Two merging areas, Suwon IC and Singal JC, which have remarkably different acceleration lane length were selected as field study sites. Traffic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ividing each merging area into several subsections. Not only conventional flow, speed and density data but also a newly introduced MOE, density variation were used to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erging area. Singal JC which has longer acceleration lane than Suwon IC showed more severe congestion, and the cause of the results was figured 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