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체표본조사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9초

P-수준교체표본에서 교체그룹내 상관관계를 고려한 일반화 복합추정량 (Generalized Composite Estimator with Intraclass Correlation in p-level Rotation Sampling)

  • 박유성;배경화;김기환
    • 응용통계연구
    • /
    • 제14권1호
    • /
    • pp.81-90
    • /
    • 2001
  • 모집단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추정하기 위한 반복조사 방법으로 겨체표본조사를 고려할 수 있다. 교체표본조사는 크게 일수준교체표본조사와 다수준교체표본조사로 나누어지며 모집단의 특성, 특성의 변화를 추정하기 위하여 복합추정량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수준교체표본조사의 경우 교체그룹내 표본개체들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일반화복합추정량과 추정량의 분산을 최소화시키는 최적계수를제시하였다. 또한 수치예에서는 교체그룹내 표본개체의 수, 교체그룹내 상관정도의 변화에 따라 표본개체들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일반화 복합추정량의 효율성을 제시하였다.

  • PDF

l/G 교체표본디자인에서의 일반화복합추정량과 평균제곱오차에 관한 연구 (Generalized Composite Estimators and Mean Squared Errors for l/G Rotation Design)

  • 김기환;박유성;남궁재은
    • 응용통계연구
    • /
    • 제17권1호
    • /
    • pp.61-73
    • /
    • 2004
  • 교체표본조사에서는 모든 표본단위를 복수 개(=G)의 교체그룹으로 나누고 일정 횟수만큼 조사한 후 표본단위 의 교체를 하는 경우와 조사기 간 동안 동일한 표본단위를 조사한 후 교체그룹 자체를 교체하는 두 가지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후자의 경우를 일반화하는 것으로, 매 조사월에서 하나의 교체그룹이 조사되고 이 교체그룹에 속한 모든 표본단위는 최근 l개월 동안의 정보를 제공하는 l-수준 교체표본설계이다. 표본단위 교체가 오직 교체그룹의 총 개수인 G와 회상 개월 수인 l에 의해 결정되므로 이를 l/G 교체표본설계로 일반화하였으며 일반화복합추정량의 분산과 두 가지 형태의 편향(bias)하에서 MSE를 구하고 절충 GCE(compromise GCE)의 계수를 유도하였다. 또한 GCE의 분산과 MSE를 상관계수, 편향, 표본조사단위의 분산의 형태, 그리고 설계간격(design gap)의 형태에 따라 분석하였다.

3개의 교체그룹을 갖는 2수준 교체표본설계에서의 복합추정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mposite Estimator in 2-level Rotation Design based on 3 Rotation Groups)

  • 박유성;문원기;김기환
    • 응용통계연구
    • /
    • 제15권1호
    • /
    • pp.45-55
    • /
    • 2002
  • 미국 통계국(Bureau of Census)에서 실시하고 있는 소매동태조사(Monthly Retail Trade Survey)를 중심으로 3개의 교체그룹을 갖는 2수준 교체표본설계를 설명하고, 특성치의 추정을 위한 복합추정량을 다루었다. 설계 간격 (design gap)이 존재하는 2수준 교체표본설계에서의 일반화복합추정량(generalized composite estimator)과 순환복합 추정량(recursive composite estimator)을 제시하였고, 각 추정량의 분산식을 유도하였다. 또한 공분산구조와 관련된 응답변동(response variability)과 반복응답으로 부터 연유되는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복합추정량 사이의 효율을 비교하였다.

무시할 수 없는 무응답을 가지고 있는 교체표본조사에서의 무응답 대체와 교체그룹 편향 추정 (Nonignorable Nonresponse Imputation and Rotation Group Bias Estimation on the Rotation Sample Survey)

  • 최보승;김대영;김기환;박유성
    • 응용통계연구
    • /
    • 제21권3호
    • /
    • pp.361-37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패널의 일부를 규칙적으로 교체하는 4-8-4 교체표본설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항목 무응답을 대체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특히 소득이나 취업과 같이 민감한 질문에 대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무응답에 대하여 무시할 수 없는 무응답(nonignorable nonresponse) 체계하에서 발생하는 무응답을 가정하였다. 무응답들의 대체방법으로 모형에 기반한 대체방법을 고려하였으며 베이지안 방법을 이용하여 사후확률밀도함수를 최대화하는 최대사후우도추정량(maximum posterior likelihood estimator)을 구하였다. 그리고 대체된 자료를 이용하여 면접시점이 달라질 때 발생하는 편향을 추정하였으며 추정된 편향을 제거한 후 연속적인 두 조사기간에서의 각 칸의 확률과 고정된 시점에서의 주변확률을 계산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최종적으로 도출된 결과를 평균제곱오차와 편향의 관점에서 비교하였다.

농가경제조사의 무응답 대체군 형성 방안

  • 이기재;김규성;김진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49-5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표본 농가의 교체나 무응답으로 인한 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핫덱방법을 적용할 때 필요한 무응답 대체군 형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농가경제조사의 무응답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고, 대체군 형성 방안들을 비교할 수 있는 측도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비교 측도를 이용해서 대체군 형성 방안들을 비교하였다.

  • PDF

시계열 계속 표본조사에서 불균등확률 추출법 연구 (A study on unequal probability sampling over two successive occasions in time series)

  • 박홍래;이계오
    • 응용통계연구
    • /
    • 제6권1호
    • /
    • pp.145-162
    • /
    • 1993
  • 본 논문에서는 반복적 계속 표본조사에서 일부의 표본을 교체하는 2회 계속조사의 표본 추 출법들을 요약하고 앞 조사시기의 관찰값을 확률측도로 이용한 RHC(Rao-Hartley-Cochran) 유형의 불균등 확률추출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추출법과 기존의 확률추출법의 비교를 위 하여 둘째 조사시기의 모평균 추정량과 그의 분산을 유도하였으며, 제안된 추출법의 상대 효율은 이론적인 측면과 수치적 시뮬레이션 방법으로 비교 분석되었다. 시뮬레이션 비교를 위하여 한 특별한 시계열 모형을 가정하고 이를 사용하여 인위적인 모집단을 생성하였으며 이 모집단에서 각 추출법에 해당되는 표본을 컴퓨터로 추출하여 각각의 추정치를 계산하여 비교한 결과에서 RHC 유형의 새로 제안된 추출법의 분산과 편차가 일반적으로 적음을 보 였다.

  • PDF

부산 지역 전통음식에 대한 세대별 인식 차이 분석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bout Traditional Food by Generations in Busan Area)

  • 이복섭;박헌진;정진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14
    • /
    • 2010
  • 본 연구는 부산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한국음식에 대한 세대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은 부산 지역에 소재하는 중학생, 고등학교, 대학교,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표본을 선정하여 2008년 8월 1일부터 30일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대별로 전통음식을 선호하는 빈도가 차이가 있다는 것을 찾을 수 있다. 나이가 많을수록 전통음식을 좋아하였으며, 반대로 젊은 층에서 전통음식을 좋지 않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모든 세대에서 가장 좋아하는 식사 형태는 한식이며, 셋째, 가정에서 식사를 준비할 때 아버지를 위주로 하여 식사를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식을 만드는 방법에는 바쁜 현대인들에게는 좀 더 단순화시키고 표준화하여 조리하기 쉽게 하는 조리법이 필요하다. 부산 지역 한국음식의 세대별 차이의 개선점으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전통음식의 맛 개발에서 전통음식은 발효음식의 냄새는 허브나 조미료를 첨가하여 모던하게 만들어야 할 것이고, 또한 전통적인 방식도 식품의 재료를 현대식으로 교체와 조리 방법을 변화를 주어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자를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지역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여 좀 더 균형 있는 표본의 선정을 통한 보완이 필요하리라 본다.

  • PDF

구급대원의 출동벨에 대한 스트레스 인지 비교 (Comparison of Stress Cognition for Siren of Paramedics)

  • 김성령;이남종;신교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56-163
    • /
    • 2020
  • 본 연구는 구급대원을 대상으로 현 출동벨에 대한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출동벨에 대한 요구 및 개선점을 파악하여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출동벨 변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9년 8월 28일부터 9월 21일까지 자발적 의사에 의해 연구에 동의하는 대상자 26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로 수집되었다.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SPSS/WIN 23.0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백분율 및 빈도 분석,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현 근무지의 구급 출동벨 유형은 복합형이 143명(53.4%)으로 가장 많았고 출동벨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이 132명(49.4%)으로 높아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상황별 스트레스로는 취침 중에 출동벨을 들었을 때 4.35±0.94로 가장 높았다. 일평균 구급출동 횟수에 따른 취침 중 스트레스에서는 9회 이상과 9회 미만 출동하는 그룹이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5). 구급대원이 원하는 출동벨의 유형으로는 '부드러운 음악'과 '자연의 소리' 등으로 현 출동벨의 교체를 원하는 비율이 168명(62.9%)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24개월 이내로 주기적인 출동벨의 교체를 원하는 비율도 163명(91.6%)으로 높기 때문에 출동벨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체육계열 학과 학생들의 학과발전과 학업성과에 대한 학과신뢰의 영향과 인구통계학적 차이 (Departmental Trust on Departmental Develop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and Demographic Differences in the Department affiliated with Physical Education)

  • 최진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467-475
    • /
    • 2016
  • 이 연구는 체육계열 학과 학생들의 학과신뢰가 학과발전 및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학생들의 성별 및 학년에 따른 학과발전과 학과신뢰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 경기, 인천, 충정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6개 대학교의 체육계열 학과 학생 3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확률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무응답 치는 '회귀분석에 의한 교체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그리고 이원다변량분산분석이 실시되었다. 학과신뢰는 학과발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학업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학과발전은 2, 3학년이 4학년보다 높게 인식되었으며 학과신뢰는 3학년이 4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성별의 차이는 학과발전과 학과신뢰 모두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계열 학과 학생들의 학과신뢰는 학과발전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신뢰구축을 위한 학과차원의 세심한 배려와 관심 그리고 복지혜택 등이 개선이 요구된다.

천연림의 수종 대치 작용 모델에 의한 산림천이 경향 분석 (The Analysis of Forest Successional Trend by Species Replacement Model in the Natural Forest)

  • 김지홍
    • 임산에너지
    • /
    • 제22권3호
    • /
    • pp.1-10
    • /
    • 2003
  • 본 연구는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에서 산림 천이 경향과 잠재 산림 식생을 검토 분석한 것이다. 106개의 20m×20m 정방형 표본구를 설치하여 중ㆍ상층목의 아래에서 생육하는 하ㆍ중층목에 의해서 세대 교체되는 과정을 바탕으로 천이 경향을 평가하였다. 조사 대상 산림의 천이 경향분석은 Markov chain의 수학적 이론에서 변형된 추이 행렬 모델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조사 산림은 천이의 중간 단계에 있으며, 수종 구성상 극성상림에 도달하려면 500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42.6%와 8.1%의 높은 상대밀도를 유지하고 있는 신갈나무와 음나무는 극성상의 안정상태가 되면 각각 13.3%와 0.5% 이하로 수종 구성비율이 감소하리라 예상된다. 반면에 전나무, 고로쇠나무, 물푸레나무, 피나무, 당단풍의 구성 비율은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미래 수종 구성 비율의 증감은 내음성 지수를 바탕으로 연구 모델을 검토한 결과와 대체로 일치하였다. 추이행렬 모델의 실제 상황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연구 모델의 가정과 민감도 역시 고찰하였다. 전반적인 연구 결과가 지적하는 바에 의하면 조사 산림의 현재 생태적 동태는 인간에 의한 방해와 교란이 있은 후 천이가 진행 중임을 반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