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차로용량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7초

좌회전 비율에 따른 회전교차로 전환기준 교통량 산정 (Traffic Volume Criteria for Roundabouts Based on Left-Turn Ratio)

  • 조한선;김영춘;안우영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4-67
    • /
    • 2016
  • 현재 국내에 설치되는 회전교차로는 "회전교차로 설계지침, 국토교통부, 2014"에 따라 설계되고 있으며, 다양한 설계요소에 대해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 중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회전교차로 설치를 위한 교통량 기준으로 12,000~32,000대/일의 계획교통량을 제시하고 있으며 접근로 차로 당 125~450대/시/차로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회전교차로 용량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좌회전 비율 및 접근로 차로 수 등이 고려되지 않은 교통량 기준으로 해당지역의 교통 및 기하구조 특성에 따라 회전교차로 용량은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즉, 좌회전 비율이 높을수록 또는 접근로 차로 수가 많은 수록 차로 당 용량은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교통 및 기하구조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회전교차로를 설치할 시 오히려 교통 흐름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어 회전교차로 설치 시 정확한 용량 산정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본 연구는 기존 기침에 제시된 교차로 기하구조 및 교통여건이 고려되지 않는 회전교차로 전환기준을 보완하기 위해 교차로 운영방법, 접근로 차로수에 따른 교차로유형과 좌회전비율에 따른 용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회전교차로 전환기준은 접근로수와 좌회전비율에 따라 변화됨을 알 수 있었으며 접근로수와 좌회전비율에 따른 회전교차로 전환기준을 회전교차로 설계지침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회전교차로 용량분석 방법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Roundabout Capacity Model)

  • 안홍기;김동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2호
    • /
    • pp.143-150
    • /
    • 2021
  • 회전교차로는 신호 교차로와 비교 시 용량증대, 안전성 증대 및 대기오염 감소 등의 장점으로 인해 국내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2011년 시작된 국내 회전교차로의 역사는 어느덧 10년이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불명확한 통행우선권 및 부족한 자료의 축적 그리고 해외 용량분석과 비교시 차이점으로 인해 회전교차로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국내 연구는 회전교차로 용량모형에 관한 연구보다는 회전교차로 설치 시 효과분석에 집중된 성향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회전교차로의 대표적 모형인 경험적 모형과 간격수락 모형에 대해 살펴보고 호주의 SIDRA 모형과 미국의 USHCM 2010 모형을 국내 도로용량편람 2013 모형과 비교해 보았다. 향후 국내 회전교차로 용량의 예측 시, 더욱 정확한 용량분석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한국 도로용량편람과 미국 HCM 2000의 신호교차로 서비스수준 결정에 관한 고찰 (The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Level of Service of Signalized Intersection in KHCM and USHCM 2000)

  • 김성득;박창수;박원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43-154
    • /
    • 2001
  • 신호교차로의 서비스수준은 미국의 HCM 방식을 전세계적으로 준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1985년 미국 HCM을 기본으로 하여 우리나라의 특성을 반영한 보정계수 값들을 수정하여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한국 도로용량편람의 모태가 된 미국 HCM은 이미 94년 1차 수정판에 이어, 이를 더욱 보완해서 HCM 2000을 발간하여 실용화 단계에 있는 반면 92년에 발간된 한국도로용량편람은 발간 이후 빠른 속도로 변화해온 국내의 교통, 도로, 차량 특성과 다양해진 도로시설 유형의 변화를 신호교차로 서비스수준 분석에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신호교차로 서비스수준 결정에 관한 연구의 기초작업으로 기존의 신호교차로 서비스수준 분석방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분석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도로용량 편람과 미국 HCM 2000의 서비스수준 분석방법론 부분을 면밀히 비교 분석하고 두 나라의 지체식에 포함된 공통적인 변수(주기(C), 포화도(v/c), 용량(c), 녹색시간비(g/C))에 대한 민감도 분석과 미국 HCM 2000에 추가로 도입된 변수들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함으로서 한국 도로용량 편람의 문제점을 고찰하고 운전자의 행태나 도로의 기하조건이 외국의 경우와는 다른 우리나라 실정을 반영한 한국형 신호 교차로 서비스수준 정립 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PDF

비신호 교차로의 중차량 용량 보정계수에 관한 연구 (Adjustment Factor for Heavy Vehicles in Estimating Capacity at Unsignalized Intersections)

  • 이용재;김석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9-98
    • /
    • 2001
  • 본 연구는 중차량이 혼재하고 있는 비신호 교차로(혹은 로타리형 교차로)에서 용량분석을 실시하는 경우 중차량에 대한 용량 보정계수의 도출에 관한 것이다. 1997년과 2000년도 미국도로용량편람(Highway Capacity Manual)의 비신호 교차로의 용량분석방법에 의하면 이 경우 기초 임계간격(Base Critical Cap)과 기초 추종시간(Base Follow-up Time)에 각각 보정을 하여 실제 임계간격과 실제 추종시간을 산출한 뒤에 이를 이용하여 잠재용량(Potential Capacity)을 산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미국도로용량편람에서 제시된 이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종류의 중차량에 대한 용량보정이 매우 임의적으로 처리될 뿐만 아니라 그 부정확성으로 인하여 실제 비신호 교차로의 운영분석 및 설계를 담당하는 실무자들에게 많은 어려움을 주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신호 교차로에 대하여 미국도로용량편람에서 채택하고 있는 접근방법을 개선하여 보다 손쉬운 방법으로 용량을 보정할 수 있는 간단한 보정계수의 산정 공식을 제공하여 이 분야의 발전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중차량 용량 보정식은 비신호 교차로에 대한 미국도로용량편람의 제시된 공식과는 달리 일반 고속도로의 용량분석시에 사용되는 중차량 보정식과 유사한 형태의 것으로 유도가 되며 이 보정식의 도출과정에서 새로운 개념의 승용차 환산계수(PCU)의 산정식이 소개된다.

  • PDF

교차로지체측정치에 의한 교차로 서비스수준결정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 of Intersection Level of Service Based on Intersection Delay Measures)

  • 김광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86-93
    • /
    • 1985
  • 1965년에 출판된 고속도로용량교범(Highway Capacity Manual)은 고속도로, 도시 및 지방도로의 용량과 서비스수준을 판단하는데 기본서 역할을 해왔다. 도시내 신호등이 있는 교차로의 서비스수준은 빈하율(load factor) 개념을 이용하여 산정해 왔다. 그러나 푸른신호 주기동안 차량의 교차로이용도를 기준으로 하는 빈하율 개념은 서비스 수준의 측정치로서 한계가 있고 또 그동안 신호체계가 많이 개선되었고 운전자의 통행행태가 크게 변화하여 1970년대 중반부터 한계통행분석법(Critical Movement Analysis)과 차량의 교차로지체시간 측정법(Intersection Delay)등과 같은 새로운 기법이 소개되었다. 본 논문은 최근에 많이 이 용되고 있는 교차로지체시간측정법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15개 교차로의 차량통행량을 기준으로 하여 V/C비를 계산하는 한계통행분석법에 의한 측정치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 과 교차로의 서비스수준을 측정하는데 양자의 방법에 의한 측정치가 크게 다르지 않음을 발 견하였다. 즉 도시내 신호등이 있는 교차로시설을 개선하기 위해 대략적인 교차로 서비스수 준을 측정할 경우 조사인원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한계통행분석법보다 조사가 간편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교차로지체시간측정법이 유용함을 밝혔다.

  • PDF

회전교차로의 통행특성에 근거한 용량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Capacity Models Based on the Travel Characteristics at Roundabout)

  • 김태영;백태헌;박병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51-661
    • /
    • 2014
  • 최근 국내 회전교차로의 도입에 따라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회전교차로의 용량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의 목적은 실 자료를 바탕으로 용량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빗 모형을 이용하여 산정한 임계간격과 추종시간에 근거한 미국 HCM 용량모형을 이용하여 국내 회전교차로의 용량이 분석되었다. 국내의 진입용량은 회전교통류율($Q_c$)이 적을 경우에는 미국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회전교통류율($Q_c$)이 많아지면 미국보다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실 교통량 자료를 기반으로 국내 회전교차로의 기본용량모형이 새롭게 개발되었다. 셋째, 기본용량모형을 근거로 기하구조를 고려한 모형이 개발되었다. 마지막으로 위에서 개발된 모든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진입 및 진출차로 퍼짐에 따른 회전교차로 효과 분석 (A Study on Effectiveness of Entry/Exit Flare at Roundabout)

  • 김태영;김경환;박병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25-32
    • /
    • 2010
  • 이 연구는 회전교차로의 진입 및 진출차로 퍼짐을 다루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회전교차로의 진입 및 진출차로 퍼짐에 따른 회전교차로의 진체 및 용량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회전교차로 및 진출입차로 퍼짐에 따른 교통량별로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VISSI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로 및 2차로 회전교차로의 차량당 평균제어지체를 분석한 결과, 1차로 회전교차로는 총 진입교통량이 2,400pcph에서, 2차로 회전교차로는 4,400pcph에서 서비스수준 F에 도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진입차로 퍼짐 회전교차로에서 총 진입교통량 2,800~3,200pcph가 서비스수준 F인 것으로 분석되어, 1차로 회전교차로 보다 400~800pcph정도의 용량 증대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진입 및 진출차로 퍼짐 회전교차로에서 총 진입 교통량 3,200~3,600pcph가 서비스수준 F인 것으로 분석되어, 1차로 회전교차로보다 800~1,200pcph정도의 용량 증대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회전교차로와 퍼짐 회전교차로의 비교분석 결과, 퍼짐 회전교차로의 용량은 1차로 회전교차로와 2차로 회전교차로의 중간 수준이므로 회전교차로의 유형에 추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교차로 좌회전 궤적에 따른 용량 및 정지선 위치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cision of Stop-line Position and Capacity according to the Left-turn Trajectory at Intersection)

  • 김기용
    • 대한교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교통학회 1999년도 제36회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15-320
    • /
    • 1999
  • 교차로 좌회전 이동류에 대해 곡선반경의 확보여부는 용량 및 안전성측면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된다. 죄회전 곡선반경의 결정은 설계기준차량의 회전궤적에 따라 결정되며 곡선반경의 모양은 원곡선의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다. 교차로 설게시 곡선반경의 확보방안으로 정지선을 후퇴시키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서 좌회전 이동류에 대해 용량 및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연속교차로의 설계 및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and Evaluation of The Continuous Flow Intersection)

  • 박창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79-86
    • /
    • 1999
  • 우리 나라의 교통정체현상을 면밀히 분석해 보면 근본적으로는 차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도로에 기인하지만, 도로의 용량 일관성 부재에서 교통정체현상이 발생하는 경우를 볼 수도 있다. 주요 간선도로가 만나는 교차로에서 인접교차로와의 교통류 패턴의 타이로 인해 주기, 같은 방향 현시의 길이 및 현시수의 변화로 인해서 발생한다. 특히 주요교차로에서 회전교통량으로 인한 현시수의 증가는 전체 간선도로의 용량 저하 및 간선도로의 연동효과를 저해해서 평균통행속도 및 용량을 감소시키는 주요 요인이다. 이와 같은 주요교차로의 병목현상이 인접교차로 및 전체 네트워크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본 논문에서는 연속교차로의 개념을 소개하고, 이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내용으로는 우선 연속교차로의 개념 및 설계시 고려사항을 소개하고, 연속교차로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NETSIM을 사용하여 평면 다현시 교차로와 연속교차로 및 입체교차로의 단순비교 분석을 실시하여, 지체도, 연료소모량 및 배기가스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좌회전 교통량의 변화에 따른 지체도 변화에 대한 민감도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연속교차로 설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