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육계획안 개발을 위한 협력 모형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유치원 초임교사의 교육계획안 개발에서 실천적 지식 함양을 위한 협력 모형 구안 (Developing a Collaborative Model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on Early Childhood Curriculum at First Career Period)

  • 황윤세;강현석
    • 아동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233-251
    • /
    • 2007
  • This study explored the contents of practical knowledge about educational planning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as constructed by kindergarten teachers at early career stages and then developed a collaborative model of educational planning. Subjects were 6 teachers at early career stages. Using the ethnographic method,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Research outcomes were : (1) teachers specifically worked on 'difficulties in adapting to the teaching job', 'age of children that the teacher cares for',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and 'variety of actual teaching situations.' (2) A model for collaborative educational planning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eachers' knowledge, educational planning for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learning of community.

  • PDF

팀티칭에 대한 공업계열 전문교과교사와 산학겸임교사 간 인식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 of team teaching between vocational teachers and industry-educational adjunct teachers in Technical high school)

  • 손여울;이병욱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5-94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팀티칭 수업 과정 모형(안)의 단계를 바탕으로 공업계 고교 전문교과교사와 산학겸임교사 간 팀티칭의 실태와 인식을 비교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는 공업계 고교 전문교과교사와 산학겸임교사 간 팀티칭 활성화 방안 연구 및 실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교과교사와 산학겸임교사는 팀티칭이 필요하다고 동일하게 인식하고 있었지만, 이러한 필요성에 대하여 전문교과교사는 산학겸임교사보다 낮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팀티칭 준비 단계에서 두 교사 집단은 교사 간 사전 교류 및 연수가 가장 도움이 된다고 인식 하였다. 따라서 팀티칭 준비 단계에서는 교사 간 의견 차이를 좁히고 소통의 기회를 갖도록 자리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충분한 학습 기자재 및 물리적 시설이 마련되어있는지 확인하여 팀티칭 실행 시 이론적 내용과 실습의 통합이 이루어져 팀티칭 운영이 매끄럽게 진행 될 수 있게 준비를 해야 한다. 셋째, 팀티칭 계획 단계에서 두 교사 집단은 팀티칭 계획 활동을 서로 협력하여 공동으로 수립하고, 수업 활동은 협력 계획에 따라 분담하여 각자 진행하거나 서로 협력하여 공동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이에 교사 간 명확한 역할 분담과 수업 계획을 사전에 체계적으로 준비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응답자들은 수업 계획서 개발 시 주된 방해 요인은 현행 교육과정, 재정, 수업 진도 강요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수업 계획 시 자율적으로 교사 재량에 의한 수업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에 있어 자율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넷째, 팀티칭 실행 단계에서 두 교사 집단은 동일 수업 내 수업 활동을 분담하여 진행하되 관련 있는 내용은 협력하는 것이 바람직한 수업 운영 형태라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효과적인 팀티칭 실행을 위해 전문교과교사는 '학생의 흥미와 관심에 따른 학습 내용'을 산학겸임교사는 '충분한 학습기자재 및 물리적 시설 환경 제공'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다섯째, 팀티칭 평가 단계에서 바람직한 성적 평가 형태에 대해 두 교사 집단은 전문교과교사가 50%, 산학겸임교사가 50% 평가하여 반영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