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개혁

Search Result 48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for Philosophy of education in the era of AI (인공지능시대의 교육철학 소고)

  • Kwak, Tae Jin
    • Kore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 /
    • v.40 no.2
    • /
    • pp.1-16
    • /
    • 2019
  • The society of intelligence-information complex is a fresh world that connects things, knowledge and calculation with human. What is the condition of educational reform in this world? Robinson and Aronica(2015) suggest educational reform at the center of organic agriculture, in which they focus on the dignity of human as an organic being. Human consists in an intelligence and a life. We have to ask to ourselves what is the human in this Age. The development of AI represented by deep-learning will be an actual condition in the educational reform. In the other hand, the combination with an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t rises a question about a life itself. So, we have to ask the question seriously that overlap what is the human and what is a life. Two questions about human and a life cast a philosophical paradox in the age of AI.

대학 통합, 성과와 과제(부산대-밀양대)

  • Kim, Yu-Geun
    • 대학교육
    • /
    • s.147
    • /
    • pp.56-60
    • /
    • 2007
  • 부산대학교의 통합은 대학구조개혁과 캠퍼스별 특성화를 동시에 이룩한 국립대 구조개혁의 표본적 성공 사례라 할 수 있다. 통합으로 인해 입학정원 감축, 단과대학 및 산업대학원 통폐합, 유사·중복학과 통폐합, 행정조직 감축, 신입생 충원율 개선 등의 성과가 있었으며, 캠퍼스 특화 전략에 따라 부산캠퍼스는 연구중심대학으로, 양산캠퍼스는 세계적 의료 허브로, 밀양캠퍼스는 나노·바이오 분야로 특화하였다. 향후 부산대학교는 지속적 개혁을 통하여 혁신을 도모함으로써 단발성, 일회성이 아닌 일상적, 상시적 혁신을 추진하여 혁신의 시스템화를 정착시키고자 한다. 그리고 진정한 혁신을 위해 교육 분야 혁신, 산학연구 혁신, 행정 혁신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다.

  • PDF

대학재정 지원정책의 새로운 방향

  • Na, Min-Ju
    • 대학교육
    • /
    • s.92
    • /
    • pp.59-69
    • /
    • 1998
  • 경제 위기와 이로 인한 긴축재정 속에서도 대학교육 개혁을 촉진하고, 대학교육의 질적 발전을 도모하며,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대학재정 지원정책의 수립이 절실하다. 특히 대학에 대한 재정 지원방식을 개혁할 필요가 있다. 시장모형과 수식에 대한 지원방식을 적절하게 활용할 경우, 대학재정 지원의 효과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 PDF

교수 공정 임용을 위한 의식의 전환

  • Lee, Jeong-Min
    • 대학교육
    • /
    • s.77
    • /
    • pp.76-84
    • /
    • 1995
  • 교수 임용과정에 임하는 대학인 중에는 우수한 응모자를 공개채용의 원칙에 입각해 선발해야 한다는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인맥과 학맥 등의 인연을 선호하는 세력이 있다. 누구에게나 그러한 안일의 유혹에 빠질 위험성은 있지만, 대학의 발전을 위해 이를 단호히 물리치는 용기와 의식전환이 필요하다. 요즈음 흔히 운위되는 대학개혁, 교육개혁은 민주적 공정경쟁의 토대 위에서만 실현 가능한 것이다. 적어도 대학만큼은 정의와 공정성, 지성과 도덕성이 살아 숨쉬는 곳이어야 한다.

  • PDF

입력수급전망(入力需給展望)과 고등교육(高等敎育) 개혁과제(改革課題)

  • Lee, Ju-Ho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6 no.4
    • /
    • pp.3-25
    • /
    • 1994
  •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인력계획(人力計劃)을 위한 인력필요량(人力必要量) 예측(豫測)에 초점(焦點)을 맞추기보다는 인력공급전망(人力供給展望), 인력수요분석(人力需要分析), 수급간(需給間) 상호관계(相互關係)등에 주목함으로써 고등교육제도(高等敎育制度)의 개혁과제(改革課題)를 도출(導出)하고자 하였다. 인력공급(人力供給) 측면에서는 2000년대 고졸자의 격감(激減)을 전망(展望)하고 이에 근거(根據)하여 대학교육(大學敎育)에 대한 초과수요(超過需要)를 전제로 하였던 규제위주(規制爲主)의 교육제도(敎育制度)의 근본적인 변화(變化)가 요구됨을 보인다. 인력수요(人力需要) 측면에서는 우리 경제(經濟)가 지식집약경제(知識集約經濟)로 이행(移行)함에 따라 고등교육(高等敎育)의 양적(量的) 팽창(膨脹)보다는 질적(質的) 향상(向上)이 보다 요구되고 있음을 논의한다. 또한 수급간(需給間) 상호관계(相互關係)에도 주목하여 직업기술(職業技術) 고등교육기관(高等敎育機關)과 기업(企業)을 연계(連繫)하는 네트워크가 구축(構築)되어야 함을 강조(强調)한다. 이러한 인력수급분석(人力需給分析)을 바탕으로 대학(大學)의 경쟁여건(競爭與件) 조성(造成)과 직업기술 고등교육의 산(産) 학(學)네트워크 구축(構築)을 위한 교육개혁(敎育改革)의 기본과제(基本課題)를 제시(提示)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Scientific Literacy and Core Competence Discourses as Rationales for the 21st Century Science Curriculum Reform (21세기 과학 교육과정 개혁 논리로서의 과학적 소양 및 핵심 역량 담론 비교 연구)

  • Lee, Gyeong-Geon;Hong, Hun-G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2 no.1
    • /
    • pp.1-18
    • /
    • 2022
  • The two most influential rationales for the 21st century science curriculum reform can be said to be core competence and scientific literacy.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has not been scrutinized but remained speculative - and this has made the harmonization of the general guideline and subject-matter curriculum difficult in Korean national curriculum system. This study compares the two discourses to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science curriculum development. This study took a literature research approach. In chapter II, national curriculum or standards, position papers, and research articles were reviewed to delineat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discourses. In chapter III and IV, the intersections of those two discourses are delineated. In chapter III, the commonalities of the two discourses are explicated with regard to crisis rhetoric, multi-faceted meanings (individual, community, and global aspects), organization of subject-matter cont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the role of high-stake exams. In chapter IV, their respective strengths and weaknesses are juxtaposed. In chapter V, it is suggested that understanding scientific literacy and core competence discourses to have a family resemblance as 21st century science curriculum reform rationale, after Wittgenstein and Kuhn. Finally, the ways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ideas from the general guideline and subject-matter curriculum over crisis rhetoric were explored.

A Study on the Mixed Ownership Reform in Vocational Colleges in China (중국 전문대학의 혼합소유제 개혁에 관한 연구)

  • Zhao, Yuan;Lin, Ling;Li, Ta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1
    • /
    • pp.87-94
    • /
    • 2022
  • The reform of the mixed ownership system of vocational colleges in China is an important driving force in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mixed ownership system of vocational colleges at this stage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for vocational education reform in China.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necessity and existing problems of reforming the mixed ownership system of vocational colleges using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reform of the mixed ownership system of vocational colleges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by preparing measures in terms of legal support, providing incentives, and improving the evaluation system. This study has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s the need to reform the mixed ownership system of Chinese vocational colleges, analyzes problems, and prepares policy measures.

수학교사의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분석

  • Bang, Jeong-S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331-347
    • /
    • 2001
  • 수학교육 개혁에서 강조되고 있는 교실 문화의 변화는 교사가 그 개혁 방향을 이해하고 자신들이 지향하는 가치와 우선 순위를 수업에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문헌을 통하여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변인 (교사의 학습 및 교수 경험, 지식, 신념, 개별인성특징) 및 사회문화적 변인 (문화적 ${\cdot}$ 교육적 규준,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교사교육, 전문적 모델과 교사공동체)을 찾아내고 이를 기초로 하여 수학 교사의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질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발면담 질문을 제시한다.

  • PDF

학부제에서 산업공학의 소속과 역할

  • 김진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6.04a
    • /
    • pp.458-461
    • /
    • 1996
  • 1995년 5원 31일에 단군이래 최대의 개혁이라고 언론 매체들이 보도할 정도로 혁신적인 교육정책이 발표되었다. 또, 1996년 2월 9일에는 2차 교육 개혁안이 제시되었다. 이런 정책들이 추진되면서 우리나라 대학교육체계가 크게 변화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학부제의 도입이 대학의 학사제도 개혁에서 최대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1995년 말에 우리 나라 전대학의 1/3이 넘는 64개 대학이 96학년도부터 학부제를 추진하겠다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대학의 다양화와 자율성이 강조되면서 학부제에는 통일된 모형이 없으며 다양한 모습으로 학부제가 구성되고 있다. 특히 산업공학은 학문의 특성상 인접 학문이 다양하므로 학부제를 구성할 때 소속될 학부의 선택을 어렵게 하고있다. 앞으로 수년 내에 대학 지원 예정자들의 자연 감소와 대학 교육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의 변화로 대학 교육 산업에도 소비자 중심시대가 도래하게 된다. 따라서, 학부제의 도입시에 산업공학의 소속과 역할도 소비자 중심 시대에 적합하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 서비스의 직접 소비자인 대학 입학생들에게 자유로운 전공 선택권을 갖게 하고, 교육 서비스의 간접 소비자인 기업에는 복합 학문의 기술 인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학부제의 모형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