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수학습 모형

Search Result 82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n Application and Analysis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to Enhance the Thinking Ability of Information-Gifted Using Recursion (Recursion을 활용한 정보 영재의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적용 및 분석)

  • Kim, Byung-Joe;Jung, Deok-Gil;Lho, Young-Uh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5a
    • /
    • pp.458-462
    • /
    • 2008
  • 교육에서 수월성의 문제가 처음 제기된 문제는 아니지만 국가 간의 경쟁력이란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교육환경의 개선이란 차원에서도 현대사회에서 창의적인 사고력을 지닌 학생의 교육이 무엇보다 강조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정보 영재의 교육 중에서 프로그래밍을 위한 사고력 신장에 적합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에 목적을 두고 있다. 제안된 교수-학습 모형에서 자료구조로는 트리를 구성하고 제어구조로는 recursion 개념을 학습하도록 하고 있다. 정보 영재 지도에 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교수-학습 모형을 현장에 적용하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예제로 선택한 하노이 타워를 트리로 구성하는 방법과 트리 탐색의 방법으로서 recursion 개념을 적용하는 교수-학습 활동으로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CT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Physical Education based on Direct Instruction Model. (직접 교수 모형에 기반한 체육과 ICT활용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Kim, Jong-Hee;Lee, Jae-M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9 no.3
    • /
    • pp.397-406
    • /
    • 2005
  •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prove the efficiency of direct instruction by developing and applying an ICT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for physical education based on a direct instruction model. The curriculum for physical education requires the instructors example and feedback, and sometimes classes may be difficult to conduct due to reasons such as weather conditions. Also, in actual learning, the application of a learning model is inadequate. In these cases, using an ICT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experts can show examples instead. The learners are provided with individual and suitable feedback and can make it practical for them by slowing down motions, sectional motion learning, and repetitive learning. It can also enhance the sharing of the instructor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refore, this research recomposed the commonly used direc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physical education in order to make it suitable for ICT utilized lessons. It was recomposed in a procedural model and each level was explicated, and in order to materialize this, an ICT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was developed. This was then applied to a Fifth grade class, and its learning effects were analyzed.

  • PDF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roblem Based Learning for Computer Network (컴퓨터네트워크 실습 교과목을 위한 PBL 교수학습모형의 설계와 구현)

  • Seo, Doo-Won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2 no.1
    • /
    • pp.17-23
    • /
    • 2009
  • This paper deals with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BL for the computer network practice to improve learner's learning ability. This design is for college student's whose learning ability is low. I implemented the CNC-PBL in a class of second year students at Daeduk college.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CNC-PBL facilitated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process.

Development of Models for Teaching and Learning to Facilitate FASTEL Utilization (전원학교 교수학습지원시스템 활성화를 위한 교수학습모형 개발)

  • Lee, Jaeho;Son, Chanhee;Ahn, Seonghun;Ahn, Kyung Jin;Jeong, Kwang 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5
    • /
    • pp.506-51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develop models for teaching and learning that can guide teachers to utilize FASTEL effectively, but also to investigate the actual effectiveness of the models developed. According to a survey on satisfaction with FASTEL in rural public schools, it is not utilized as anticipated in classroom instruction despite students' high satisfaction with it and teachers' positive perceptions on its effectiveness in teaching and learning. Along this line, this study categorized rural public schools into two types and proposed a model for each type to facilitate FASTEL utilization: one for schools equipped with both FASTEL and the cutting-edge technologies like interactive whiteboard, tablet, and Wi-Fi; the other for schools equipped with FASTEL only. Eventually, the models for teaching and learning develop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revitalize FASTEL by providing the foundation of utilizing FASTEL in general public schools as well as rural public school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the Thinking Extension of Information-Gifted by Steps (정보영재의 사고력 신장을 위한 단계별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 결과 비교 분석)

  • Young-Uhg Lho;Deok-Gil Jung;Byung-Joe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166-1169
    • /
    • 2008
  • 이 논문에서는 정보 영재의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으로 트리 구성과 트리 탐색에 기반을 둔 모형을 제시하고 분석한다. 제시된 교수-학습 모형은 문제를 표현하는 트리의 유형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며, 각 모형은 다시 네 가지 단계의 학습 단계로 구성된다. 구성되는 트리의 모형에 따라 적용되는 알고리즘에는 recursion, heuristic, minimax 탐색 방법 등이 도입되어 적용된다. 이 모델은 저 수준의 사고력을 요구하는 간단한 모형에서 출발하여 고 수준의 사고력을 요구하는 복잡한 모형으로 발전시키는 교육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사고력 신장의 정도에 따라 초등학교 학생들로부터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들에 이르기 까지 대상을 확대하여 점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 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하여 교수-학습 프로그램 유형별로 학습 단계간의 적용 결과를 비교 분석한다.

Study of a PBL-instructional model using an SNS-based online platform (SNS기반 온라인플랫폼을 활용한 PBL-수업모형 연구)

  • Choi, Dea-Hun;Cho, Woo-Hong;Byon, Kil-Hee;Yun, Kyoung-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125-126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교육에서 학습자 주도수업에 대표적으로 활용되는 PBL-교수학습방법을 SNS기반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과제수행을 통해 해결하는 PBL-수업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이론탐색을 통해 PBL-수업설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적용 가능한 수업모형 및 교육내용을 선정하여 기초내용을 구성한 후 3인의 교육공학 전문가와 5인의 대학교수를 대상으로 FGI 인터뷰 방법을 통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한다. 과거 PBL-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수업설계 들이 모의수행이나 발표 후 토론에 한정되었던 것에 반해 본 연구에서는 SNS기반 온라인 플랫폼에 직접 적용하는 매체제작 및 커뮤니티 활동을 포함하는 수업활동이 도출 되었으며, 실행 가능한 수업모형 개발을 위해 대상자 인터뷰와 분석을 통해 이를 위한 교수학습방법을 설정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될 SNS기반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PBL-학습모형은 이후 고등교육기관의 교수학습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the Teaching & Learning Model for Computer Education in U-learning Environment (U-러닝 환경에서 컴퓨터 교육을 위한 교과 교수·학습 모형 개발)

  • Jung, Min-Six;Kim, Hye-Min;Lee, Yun-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1002-1005
    • /
    • 2009
  •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은 전산화, 정보화, 지식 정보화 과정을 거쳐 현재 차세대 패더다임인 유비쿼터스화 단계에 이르렀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u-러닝 기술은 7차 교육과정 수행과 함께 필수적인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최근 교육과정이 u-러닝 환경으로의 변화에 따라 교수 학습 체계 역시 변화가 예상된다. 그리고 ICT를 활용한 교수 학습 모형과 교과별 콘텐츠에 대한 개발이 활발한 이유도 현재 u-러닝이 적극 추진되면서 교육환경에 대한 새로운 요구와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육환경인 u-러닝 시대에 맞추어 교과목에 대한 교수-학습 모형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된 학습모형을 비교, 분석하여 유비쿼터스와 u-러닝에 대한 특성과 기능,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에 대해 고찰한다. 그리고 기존 컴퓨터 교과 분석을 통하여 컴퓨터교과의 중요성과 교육방법 영역, 컴퓨터교과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연구를 통해 u-러닝 환경에서의 컴퓨터 교육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The Design of a Smart Education Teaching-Learning Model for Pre-Service Teachers (예비 교사를 위한 스마트교육 교수 학습 모형 설계)

  • Jeon, Mi-Yeon;Kim, Eui-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247-251
    • /
    • 2014
  • As smart education increases the demand for new teaching-learning methods, teacher training colleges need to systematize smart education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designed a smart education teaching-learning model, which is applicable to pre-service teachers, by analyzing the smart education teaching-learning types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t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and by analyzing the Creation Teaching Learning Assessment (CTLA) model. The goal of smart education is to reinforce capability of learners. The smart education teaching-learning model designed to help pre-service teachers reinforce their smart literacy is suitable for reinforcing capability of future learners to receive smart education. The smart education teaching-learning model in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15-week teaching plan applicable to pre-service teachers at teacher training colleges. In the teaching-learning model, problem-based learning (PBL), a situated learning model, and cooperative learning model were applied to weekly instructions.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prove its effectiveness in allowing pre-service teachers to reinforce their smart literacy by making gradual improvement in this model and to develop and test smart education teaching-learning models constantly.

  • PDF

A Study and Development of instruction-Seaming planning document with ICT on Nation Language Art in University of Education (교육대학에서 국어과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연구)

  • Im, Cheon-Taek;Joo, Kang-Sik;Lee, Jae-M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458-467
    • /
    • 2004
  • 본 연구 개발은 초등학교 예비 교사에게 국어과 ICT 교수 학습에 대한 이해와 과정안 개발 및 수업에서의 활용 능력을 길러주고, 아울러 향후 ICT를 활용한 국어과 교육을 교육과정에 반영할 경우 제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짚어보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개발의 내용은 국어과 ICT 활용 교육 관련 문헌 및 자료 탐색, 자료 및 수업 운영 실태 분석, 국어과 국어과 6학년 1, 2학기 180차시에 대한 학습 내용 및 목표 분석과 국어과 6학년 1, 2학기 180차시에 대한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ICT 교수 학습과정안 개발 결과물의 수정 검토 및 서버 탑재, ICT 교수 학습 과정 개발 과정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모색이다. 본 연구 개발을 위하여 2003년 2학기 강좌인 '국어과 교재 연구(2학점)'와 통합하여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추진하였다. 본 강좌에서는 과정안 개발에 필요한 모형 안내, 과정안 작성 방법 지도, ICT 활용 수업의 분석, 과정안 개발에 필요한 컴퓨터 소양 교육이 이루어졌으며 과정안의 개발은 학기 과제로 추진하였다. 본 연구 개발 과제의 수행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국어과 6학년 ICT 교수 학습 과정안 180차시와 연구 보고서 1종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 개발의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교사에게 국어과 ICT 교수 학습 모형 및 과정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작성 능력을 길러주었다. 둘째, 연구 보고서에 제시된 국어과 ICT 자료 개발 및 활용 실태, 예비 교사의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위한 강의 계획과 개발을 위한 실제 지도 과정은 향후 관련 강의나 연구를 설계하고 교육과정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예비 교사들이 개발한 자료는 현장 교사들이 국어과 수업을 운용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 개발 결과 드러난 문제점과 보다 나은 연구와 강의를 지향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교사의 특성과 개발 내용에 비추어 볼 때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기간이 짧았다. 따라서 강의 시수를 늘리는 방안, 관련 강좌를 추가로 개설하는 방안, 기존 강좌를 통합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둘째, 예비 교사의 수준을 고려할 때 여러 가지 '부가 자료'를 포함하는 ICT 교수 학습 과정안을 1인 1차시씩 개발하도록 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상당한 부담을 안겨 주었다. 대안으로는 개발 관련 강자를 1년 단위로 계획하여 운용하는 방법, 학생 4-5명 당 1차시씩 개발하도록 하는 방법, ICT 교수 학습 과정안 자체만 개발하고 학습지, 교사연구자료, 자율학습 자료 등은 생략하는 방법 등이 있다. 셋째, 학생들의 컴퓨터 소양 기능이 부족한 상태에서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과제로 부과할 경우 좋은 결과물을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교육대학의 교육 과정 편성 체제를 감안하면 컴퓨터 강좌와 교과 교육 강좌를 통합 강좌 형태로 운영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만하다. 넷째, 교수 학습 모형의 경직성과 실제 교수 학습 변인을 고려한 활용이나 변형에 대한 탐구가 여전히 부족했다는 점이다. 앞으로는 이를 몇 가지의 모형 틀 속으로 자꾸 끓어 내려고 하는 것보다는 기존의 모형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도록 그 틀을 열어줄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