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감신경절단술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5초

여성의 안면 다한증에 대한 제2흉부 교감신경 차단술 후 장기결과 (Long-term Results of Thoracoscopic T2 Sympathicotomy for Craniofacial Hyperhidrosis in Woman)

  • 조덕곤;조민섭;박찬범;왕영필;이선희;조규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7호
    • /
    • pp.591-596
    • /
    • 2004
  • 최근 수부 다한증에 비해 안면 다한증에 대한 교감신경 차단술은 점차 기피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저자들은 남성과 여성에서의 술 후 만족도의 차이로 인해 남성에서의 수술은 배제하고 여성에서만의 선택적인 수술을 권장할 것을 보고한 바 있다. 이에 여성의 안면 다한증에 대해 제2번 흉부교감신경 차단술 후 장기결과를 분석하여 여성에서의 수술 적정성을 재검토하고 향후 새로운 치료지침을 정립하기 위해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5월부터 2001년 7월까지 순수한 안면 다한증으로 제2흉부 교감신경 차단술을 시행 받고 수술 후 최소 2년이 경과한 27명의 여성 환자 중 전화 설문조사가 가능하였던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방법은 2 mm 흉강경 기구를 이용하여 제2번 흉부 교감신경절 상부 신경줄기만을 절단하였다. 7명에서 미각성 발한이 동반되었다. 나이는 최소 25세부터 62세까지 평균 46.4세였다. 걸과: 수술 직후 모든 예에서 증상은 소실되었으며, 수술 1주 후에 환자의 만족도는 15예에서 “아주 만족한다”고 하였으며, 5예에서는 “대체로 만족한다” 고 하였다. 그러나 수술 후 25개월부터 63개월까지 평균 46.3개월의 장기추적 관찰에서 9예(45 %)는 “대체로 만족한다”, 8예(40%)는 “그저 그렇다”, 그리고 3예(15%)는 “불만(수술후회)”이라고 하였다. 미각성 발한으로 인해 16명(80%)이 불편하다고 호소하였고, 모든 예에서 보상성 발한이 발생하였는데 10예(50%)에서 “심하다”, 6예(30%)에서 “심하나 참을 만하다”,나머지 4예(20%)에서는 “보통이다” 라고 하였다. 보상성 발한의 위치는 가슴, 등, 액와부 및 하지부위로 전체에 걸쳐 위치하였다. 걸론: 여성에서 안면다한증에 대한 제2흉부 교감신경 차단술은 아직도 고려될 만한 수술이고 수술 만족도에 미치는 주요인은 미각성 발한과 보상성 발한에 대한 개인적인 적응정도의 차이이다. 그러므로 수술 후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이를 예측할 수 있는 수술 전 위험인자를 찾는 노력이 요구되고, 이를 통해 보다 세밀한 수술 대상 환자의 선택이 필요하며 새로운 치료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안면부다한증에서의 T1 Sympathectomy와 T2 Sympathicotomy의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T2 Sympaticotomy to T1 Sympathectomy in Treatment of Craniofacial Hyperhidrosis)

  • 윤용한;이두연;김해균;홍윤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1호
    • /
    • pp.1089-1093
    • /
    • 1998
  • 연구배경 : 안면부 다한증의 경우 주로 T1 교감 신경절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어 안면다한증의 경우 T1 교감신경절의 절제가 치료의 원칙이었다. 그러나 T1 교감신경절을 절제하는 과정에서 성상신경절의 손상에 의한 Horner's 증후군의 유발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수술방법이 어렵고 수술후의 일시적인 Horner's 증후군의 발생율이 높았다. 재료 및 방법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교 영동세브란스 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7년 3월부터 1998년 3월까지 안면부 다한증환자에서 T1 sympathectomy 한군(group I)과 T2 sympathicotomy 한군(group II)을 비교하였다. 결과 : 수술전 모든 환자에서 안면의 심한 발한증상이 있었으나 수술에 실패한 2례를 제외하고는 수술직후 전례에서 증상소실을 보였다. Group I과 II 의 수술에 대한 만족도, 결과 그리고 보상성다한증의 발생율에서의 유의 있는 차이는 없었으며 Group I 에 비하여 Group II에서 수술 시간이 짧았으며 수술후 합병증, 특히 Horner's 증후군에 대한 발생이 Group I에서 7례 인반면 Group II 에서는 전혀 없었다. 수술후 2개월에서 13개월까지의 추적조사에서 재발은 없었다. 결론 : 안면부 다한증 환자의 치료에서 T2 sympathicotomy는 수술의 결과와 만족도는 T1 symapthectomy 와 같으면서 수술시간의 단축과 Horner씨 증후군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하는 간편하고 안전한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 PDF

하지동맥 재건술 후 폐쇄성 합병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Occlusive Complications after Lower Limb Arterial Bypass Surgery)

  • 김종원;정성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2호
    • /
    • pp.152-156
    • /
    • 2005
  • 배경: 동맥 재건술 후에 발생하는 폐쇄성 합병증은 치료가 어렵고 재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동맥 재수술에 관하여 임상양상 및 수술방법, 사용된 이식편, 술 후 결과들을 분석하여 이식편 폐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고 효율적인 치료 방침을 세우는 데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시행된 173명의 동맥재건술 후 재수술을 받은 33명(55예)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임상적 특성과 치초 수술의 유형, 재수술시까지의 경과한 시간, 사용한 이식편, 치료의 결과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33명 중 32명이 남자였고 재수술 당시의 평균연령은 63.5세였다. 첫 수술에서 재수술까지의 기간은 11.9개월이었고 원인질환은 동맥경화증이 28예, 버거씨병 5예였다. 동반된 질환은 고혈압 19예, 당뇨병 11예, 심부전 6예 등의 순이었다. 한 환자당 평균 1.67회의 재수술이 시행되었고 치초의 수술유형은 대퇴동맥-슬와동맥 우회술이 19예로 가장 많았다. 수술에 사용되었던 이식편은 PTFE가 25예, Dacron이 6예였고 이식편에 따른 재수술률은 차이가 없었다. 재수술은 혈전제거술이 20예, 혈관 성형술 18예, 우회로 재조성술이 13예, 요부 교감신경절제술이 4예에서 시행되었다. 재수술의 결과는 하지의 기능회복이 15명, 하지보존 7명, 슬상부절단 5명, 슬하부 절단 3명, 사망 3명이었다. 걸론· 하지 동맥 재건술 후 발생하는 폐쇄성 합병증은 유입 동맥이나 유출동맥의 폐쇄가 발생하며 생기는 경우가 많았다 치료의 방침은 최초의 수술방법과 사용된 이식편에 따라 다를 수 있고 무엇보다도 이식편의 감시가 중요한데 이차 수술의 시행빈도가 가장 높은 시기인 술 후 1년 이내의 이식편 감시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재우회로술 뿐만 아니라 방사선학적 중재술 및 교감신경 절제술과 같은 부가적인 치료도 적극적으로 시행하여야 하지 보존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수장부 다한증에 제한적 교감신경절간 절단술의 장기 고찰 (Long-term Follow-up of Limited T3 Symathicotomy in Palmar Hyperhidrosis)

  • 채진호;최봉춘;이영철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4권1호
    • /
    • pp.56-60
    • /
    • 2001
  • Background: Conventional thoracoscopic sympathectomy or sympathicotomy is an effective method in treating localized hyperhidrosis; however, this may result in a postoperatively compensatory hyperhidrosis or facial anhidrosis in the treatment of palmar hyperhidrosis. We modified the conventional sympathicotomy by limiting the extent of nerve transection (limited T3 sympathicotomy) since May 1998. However, there are many reports of a good short-term outcome of limited T3 sympathicotomy. Therefore, we reviewed long-term follow-up of limited T3 sympathicotomy based on outcomes analysis using a questionnaire. Methods: Fifty four patients with palmar hyperhidrosis underwent a limited T3 sympathicotomy between May 1998 and March 1999 and had a complete follow-up over two years using a questionnaire (the mean follow-up was 2.6 years). The patients' postoperative satisfaction was determined by their subjective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s; the degree of compensatory hyperhidrosis, the effects on foot hyperhidrosis, gustatory hyperhidrosis and facial dryness, and recurrence, and patient's satisfaction. Results: Of the total, 87% of patients had a compensatory hyperhidrosis and 3.7% of them were disabled. 31.5% of patients showed improvement in foot hyperhidrosis, while 68.5% of patients demonstrated no change or got worse. 31.5% of patients had gustatory hyperhidrosis and facial dryness and 22.2% of patients showed a mild palmar hyperhidrosis. The postoperative patients'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in 96.3% of patients. Conclusions: The limited T3 sympathicotomy is a highly effective treatment of palmar hyperhidrosis and has a low rate of postoperative compensatory hyperhidrosis, gustatory hyperhidrosis, and facial dryness.

  • PDF

폐에 발생한 원발성 부신경절종의 수술치험 - 1예 보고 - (Surgical Treatment for Primary Pulmonary Paraganglioma - A case report -)

  • 이충원;방정희;노미숙;김기남;최필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9호
    • /
    • pp.718-721
    • /
    • 2006
  • 환자는 37세 여자로 잦은 심한 기침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수술 전 시행한 흥부 전산화 단층 촬영상좌상엽 기관지 입구부의 폐종양으로 의심되는 종괴가 발견되었다. 좌상엽 기관지를 거의 완전히 막고 있는 종괴의 기관지 내시경을 통한 조직 생검 결과는 육아조직을 포함한 만성염증 소견을 보였다. 수술적 절제를 시행하였으며 좌상엽 절제술 후 기관지 절단면의 종양 조직 침범 소견이 보여 소매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절제된 종양의 수술 후 조직학적 소견은 원발성 폐부신경절종의 특징을 보였다. 부신경절종은 교감신경절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폐의 실질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폐부신경절은 매우 희귀한 질병이다. 이에 저자들은 소매절제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치험 결과를 보고 하는 바이다.

Propofol 전정맥 마취하에 흉부 교감신경 절단술 시 서맥의 위험성과 온도 변화 (Risk of Bradycardia and Temperature Changes during Thoracic Sympathicotomy for Hyperhidrosis under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with Propofol)

  • 정종권;한정욱;김태정;이춘수;차영덕;임현경;허이회;윤용한;곽영란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4권2호
    • /
    • pp.181-185
    • /
    • 2001
  • Background: Bradycardia frequently occurs in intravenous anesthesia with propofol. Additionally, the thoracic sympathetic nerves influence the heart so that the heart rate (HR) and blood pressure are expected to decrease due to this procedure. Therefore, we measured changes in HR, mean arterial pressure (MAP) and both thumb temperatures before and after thoracic sympathicotomy under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with propofol.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21 outpatients of ASA class I who received thoracoscopic thoracic sympathicotomy under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Anesthesia was induced with propofol (2 mg/kg) and vecuronium (0.1 mg/kg) and maintained with propofol-fentanyl-oxygen (100%). The surgical procedure was performed at the T3 level in the order of left sympathicotomy (LST) and right sympathicotomy (RST). Measurements of HR, MAP and both thumb temperatures were taken before induction of anesthesia, before and after LST and RST, and 1 hour after the completion of anesthesia. Additionally, the time to the beginning of a rise in temperature in both thumbs after sympathicotomy was recorded. Results: HR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or after sympathicotomy, however it decreased at 1 hour after the completion of anesthesia. MAP decreased after LST and decreased further after RST. Left thumb temperature began to increase at $45.8{\pm}10.7$ seconds after LST. Right thumb temperature initially decreased after LST and increased from $45.2{\pm}11.8$ seconds after RST. Subsequently, both increased temperatures were maintained at 1 hour after the completion of anesthesia. Conclusions: Although HR and MAP decreased, there were no severe hemodynamic changes. An increase in the thumb temperature was confirmed within 1 minute after sympathicotomy on the same sid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