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학 필터

Search Result 454,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광통신용 광학 박막의 최신 기술 동향

  • 황보창권
    • The Optical Journal
    • /
    • v.13 no.1 s.71
    • /
    • pp.60-72
    • /
    • 2001
  • 광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광학 박막을 이용한 광학 소자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하고 정교한 광학소자로서 광학박막이 계속 많이 사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광통신 광학박막, 파장 다중 분할 필터(WDM), 이득 평탄 필터, 파장 가변 패브리-페로 필터, 증착 방법을 소개한다.

  • PDF

Acousto-Optic Wavelength-Tunable Bandpass Filter (음향광학 파장가변 대역투과 필터)

  • 이명수;황인각;김병윤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8a
    • /
    • pp.146-147
    • /
    • 2000
  • 광 대역투과 필터$^{(1)(2)}$ 는 WDM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선별에 사용되거나 좁은 선폭의 광원을 제작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광원의 파장을 분석하는 광스펙트럼 분석기나 광섬유 센서 시스템에서 신호처리용 파장 필터 등으로도 널리 쓰이고 있는 중요한 광소자 중에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코어 모드감쇠기와 음향광학 가변 필터$^{(3)}$ 를 사용하여 새로운 전광섬유 형태의 광 대역투과 필터를 구현하였다. 본 광 대역투과 필터는 필터의 중심 파장 및 필터의 투과율을 전기적으로 쉽고 빠르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중략)

  • PDF

Design, Deposi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ptical Thin Films (광학박막의 설계, 증착 및 특성측정)

  • 황보창권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2a
    • /
    • pp.192-193
    • /
    • 2003
  • 광학박막은 유리, 플라스틱, 실리콘, 금속 기판 등에서 표면의 반사율, 투과율, 흡수율과 편광상태 등의 광학적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광학표면에 코팅을 하여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파장영역으로는 수 nm의 연x선부터 자외선, 가시광선과 수십 $\mu$m의 적외선까지 적용할 수 있고, 광학기기에서는 대부분의 광학부품이 광학적 특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목적에 맞도록 코팅되어 있다. 광학코팅의 종류로는 단순한 무반사코팅으로부터 고반사코팅, 칼라필터, 간섭필터, 편광분리기코팅, 마이너스필터 등까지 매우 다양하다. (중략)

  • PDF

분수차 퓨리에 변환을 이용한 광 필터와 신경회로망

  • 이수영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5.06a
    • /
    • pp.117-120
    • /
    • 1995
  • 분수차 퓨리에(Fouier) 변환은 퓨리에 면환을 일반화시킨 것으로, 위치와 공간주파수의 복합적인 표현을 주나, 한 개의 렌즈를 광학적 구현이 역시 가능하다. 광신호처리에서 많이 사용되는 정합 필터를 구성하는 퓨리에 면환을 각각 분수차로 일반화시킴으로서, 위치 필터와 공간주파수 필터의 특성이 복합된 새로운 필터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 필터 구조는 신경회로망의 학습으로 대치된다. 최대경사법과 오차역전파(error back-propagation)에 기초한 학습 법칙이 유도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가 제시된다.

  • PDF

EXB 하전입자빔 에너지 필터의 광학 특성 II

  • Jo, Bok-R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270.2-270.2
    • /
    • 2013
  • 직선운동하는 하전입자의 진행방향에 수직한 평면상에 서로 직교하는 전기장과 자기장을 걸어주면, 하전입자에는 전기장에 의한 힘 FE와 자기장과 속도 v에 의한 로렌츠력 $F_B=q(v{\times}B)$가 동시에 작용하게 된다. 이때 Wien 조건 FB=-FE를 만족하는 질량 mA과, 에너지 EA를 가지는 하전입자 A는 휘지 않고 직선운동을 계속하나, 하전입자 A와 다른 에너지 $E_B\;(=E_A+{\delta}E)$나 질량 $m_B\;(=m_A+{\delta}m)$을 가지는 하전입자는 휘게 되며, 그 휘는 정도는 ${\delta}E$${\delta}m$에 비례하게 된다. 이 현상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에너지 또는 질량 분석기가 독일, 미국, 일본 등의 분석기기 선진국에서 개발되어 왔고, 전자현미경의 이미지 필터로도 활용되고 있으며, 통상 EXB 필터 또는 발명자의 이름을 딴 Wien 필터로 불리어지고 있다. $E{\times}B$ 필터는 일반적인 하전입자빔 렌즈와 다른 광학특성을 가지며, 지난 발표에서는 $E{\times}B$ 필터의 기본 궤도 방정식 및 다양한 2차 기하 수차 방정식의 유도과정 및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발표에서는 EXB 필터의 전후에 배치시켜, 초점거리 등의 조정을 수행할 4극자와, $E{\times}B$ 필터에서 발생하는 2차 수차의 보정을 수행할 6극자의 광학특성의 계산 결과를 보여준다. 4극자-6극자-EXB필터-6극자-4극자 조합의 기본 광학궤도 계산 결과는 빔 다이어그램으로 보여준다. 6극자에 의해 수차를 줄여서 향상되는 에너지 분해능 값은 수치적으로 추정한다. 실제 제작이 된 각 부품의 외형 및 사진을 보여주어 에너지 필터의 제작 진행 상황을 보고한다.

  • PDF

Characteristics of Tunable Filter Using the Thermo-optic Effect (열광학 효과를 이용한 파장 가변 필터의 특성)

  • 박헌용;황병철;이승걸;오범환;이일항;박세근;최두선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7a
    • /
    • pp.114-115
    • /
    • 2003
  • 최근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Wavelength-division-multiplexing (WDM) 시스템에 파장가변 필터는 핵심적인 소자로 적용될 수 있으며, 높은 가격 경쟁력과 광학 필터로서 좋은 특성과 높은 가변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파장가변 필터는 multi-beam 간섭을 이용하고,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MEMS) 공정 기술인 벌크 마이크로 머시닝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되어지고 있다. 또한 파장 가변 필터는 Optical-performance monitoring, Spectrometer, Optical noise filter, Sensor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중략)

  • PDF

Design of Rugate Filters of Inhomogeneous Refractive Index Using the Fourier transform (Fourier 변환을 이용한 불균일 굴절률 Rugate 필터의 설계)

  • 조현주;이종오;황보창권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6 no.3
    • /
    • pp.245-256
    • /
    • 1995
  • Rugate filters of inhomogeneous refractive index were designed using the Fourier transform and the effect of reflectance, stop bandwidth, optical thickness, and Q function on the rugate filter was investigated. An iterative correction process using a merit function was employed to fit an initial design to the target spectrum. Three Q functions derived by Sossi, Bovard, and Fabricius, respectively,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number of iteration, merit function, and optimum optical thickness. The result shows that after a number of iterations the Q functions by Bovard and Fabricius produce high rejection rugate filters closer to the target spectrum than the Sossi's Q function and the optimal optical thickness is determined by the stop-band width of the rugate filter. ilter.

  • PDF

Optical feature extraction by use of an array of the Hough transform filters (Hough 변환 필터 배열을 이용한 광학적 특징 추출)

  • 장주석;신동학;강영수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2 no.1
    • /
    • pp.55-60
    • /
    • 2001
  • We propose a method to extract features optically from the input pattern by use of an array of Hough transfOllli filters. Here the subparts of the input pattern are Hough-transformed by. their cOlTesponding elements of the filter array independently and simultaneously.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whole input pattern is Hough-transformed by a single optical filter, the proposed method not only provides the improved optical transform results when the input pattern becomes complex but also extracts the approximat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line segment features. To show the feasibility of this approach, we fabricated a $5\times5$ filter array and performed preliminary experiments.iments.

  • PDF

Thickness control of multilayer thin film deposition by in-situ ellipsometer (타원편광계를 이용한 스퍼터링으로 증착되는 다층 박막의 실시간 두께 조절)

  • 이재홍;김성화;황보창권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07a
    • /
    • pp.198-199
    • /
    • 2002
  • 진공 증착장비에서 다층박막으로 구성된 광학필터를 증착할 경우, 증착되는 동안 설계된 최종 광학필터의 성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실시간으로 각각의 층들에 대한 굴절률(n)과 물리적 두께(d)를 제어하거나 또는 광학적 두께(nd)를 제어해야 한다. 광학적 두께를 제어하는 대표적인 예로 광모니터링 방법이 있는데, 증착되는 기판에 직접 빛을 입사시켜 기판에서 반사된 빛이나 투과된 빛의 세기를 측정하여 증착과정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중략)

  • PDF

Fiber to planar waveguide type tunable comb filter using thermo-optic effect (열광학 효과를 이용한 광섬유 -평면도파로 결합형 파장 가변 빗살필터)

  • 김정훈;권광희;김광택;송재원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07a
    • /
    • pp.192-193
    • /
    • 2002
  • 지금까지 측면이 코어 가까이 연마된 잔일모드 광섬유와 평면 도파로 사이의 광결합을 이용한 소자들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이를 이용한 소자들로는 광필터, 광변조기, 광스위치, 굴절계, 편광기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파장분할다중화(WDM)에서 인접채널간의 채널분리를 위한 소자로서 빗살필터의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측면이 코어 가까이 연마된 단일모드 광섬유와 평면도파로 사이의 광결합을 이용한 빗살필터를 제작하였으며 열광학 효과를 이용하여 파장 가변 빗살 필터를 구현해 보았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