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정(廣頂)횡월류위어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Investig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Discharge Coefficients of Broad-crested Side Weir (광정횡월류위어에서의 유량계수 특성 검토)

  • Rhee, Dong-Sop;Kim, Cha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660-663
    • /
    • 2008
  • 방수로는 본류의 첨두홍수량을 분담하여 대상 지역의 홍수피해가능성을 줄이기 위해서 도입되는 구조적 홍수방어대책의 하나로 특히 도시화로 인하여 기존 하천 유역의 저류 능력이 감소하여 홍수 시 유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방수로의 필요성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외국의 경우에는 이미 대표적인 구조적 홍수방어대책으로 활용되어 그 효과가 이미 확인되어 있다. 방수로로 분담되는 유량은 일반적으로 방수로 유입부에 설치되어 있는 횡월류위어의 월류량을 정확히 산정함으로써 알 수 있다. 따라서 방수로의 홍수방어능력을 알기위해서는 이러한 유입부 횡월류위어의 월류량을 정확히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횡월류위어의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예연위어 형태와 광정위어 형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 광정횡월류위어(broad-crested side weir)을 대상으로 실제 하도와 유사한 흐름 조건을 가지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횡월류위어길이(L)와 본류 폭(B) 비(L/B)를 가지는 실험 수로를 이용하여 광정횡월류위어에 대한 실험을 수행한 후 유량 계수를 산정하여 본류 흐름 조건 및 횡월류위어 제원 변화에 따른 영향을 검토하였다. 광정횡월류위어에서의 유량계수도 기본적으로 예연횡월류위어와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검토할 수 있으며, 동일한 주요 영향 변수를 포함하지만, 위어 폭 W가 횡월류위어의 월류 유량과 본류 유황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정횡월류위어의 특성에 따른 산정된 유량계수의 변화에 초점을 두어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An Estimation of Discharge Coefficient Considering the Geometrical Shape of Broad Crested Side Weir (광정횡월류위어의 기하학적 형상을 고려한 유량계수 산정)

  • Cho, Hong-Je;Kang, Ho-Se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12
    • /
    • pp.955-965
    • /
    • 2011
  • The flow characteristics of rectangular and 1 : 1 and 1 : 2 trapezoidal weirs were investigated through hydraulic experiments in order calculate the exact overflow discharge of the broad-crested side weir. The flow was found to be most stable in trapezoidal shapes with the lowest incline. The 1 : 1 and 1 : 2 trapezoidal weirs had 5.67% and 8.57% increases,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rectangular weir in terms of overflow amount, which suggests that they are more effective in preventing flood. An integrated discharge coefficient equ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discharge coefficient equation and shapes was proposed through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ith an addition of a new parameter for the side wear, $L/L_H$, to the conventional discharge coefficient equation. Also, the applicability of the newly proposed discharge coefficient equation was reviewed by comparing the measured and calculated overflow amounts based on the experimental data of preceding researches and existing researchers and the research data of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