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시야각

Search Result 9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Polarimetry of the Moon through the eyes of PolCam: Phase-angle coverage

  • Sim, Chae Kyung;Kim, Sungsoo S.;Jeong, Minsup;Choi, Young-Jun;Hong, Sukbum A.;Baek, Kilho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4 no.1
    • /
    • pp.55.2-55.2
    • /
    • 2019
  • 한국형 시험용 달 궤도선(KPLO)에 실릴 과학 탑재체 가운데 하나인 광시야 편광 카메라(PolCam)는 최초로 달 표면전체의 편광 특성을 관측한다. 편광 특성은 태양-달-관측기기 사이의 각도인 위상각에 따라 달라지므로, 다양한 위상각에서의 반복 관측을 통해 달 전 지역에 대한 각각의 편광곡선을 얻을 예정이다. 편광곡선으로부터 달 표면의 입자 크기와 성분 등의 분포를 알 수 있다. 이는 과학적으로도 흥미로울 뿐 아니라, 미래의 달 탐사 임무를 위한 착륙지 선정 시에도 중요한 참고자료가 된다. 여기에서는, PolCam이 1년간의 KPLO 임무 동안 관측할 수 있는 지역 및 위상각의 분포를 소개한다. 또한, 임무 도중 관측이 일시중지되거나 임무 자체가 비정상종료되는 경우 불완전한 관측 자료로부터 편광곡선을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 PDF

On Development of LCD Simulation Program (LCD Simulation용 Program 개발)

  • Lee, Byeong-Hoon;Lee, Han-Y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5.07c
    • /
    • pp.1255-1261
    • /
    • 1995
  • The development of LCD Simulation program has been targeted to the design and estimation of LCD in an efficient, reasonable and proper method. In developing this program, we have got the theoretical construction for analysis of LCD. Moreover, we've applied CAE to the field of LCD, and thus we could help finding the optimal condition of LCD design or new type of LCD. This software can be applied for the modes such as TN, mono-STN, B/W STN(DSTN, FSTN), color STN, TFT, reflective modes and the program can be developed for other modes.

  • PDF

Cap-Divided 방식의 VA 액정모드를 채용한 신규 반투과형 LTPS-LCD 개발

  • Gang, Seung-Gon;Kim, Seong-Ho;Song, Seok-Cheon;Park, Won-Sang;Lee, Cheong;Kim, Chi-U;Jeong, Gyu-Ha
    • Information Display
    • /
    • v.5 no.5
    • /
    • pp.10-12
    • /
    • 2004
  • 우수한 화질특성을 나타내는 새로운 반투과형 액정모드를 개발했다. 단일 셀캡 구조에서 감마(Gamma) 보정없이 투과모드와 반사모드를 동시에 구동하기 위해 유기막을 이용하여 반사모드 영역의 액정 Cap을 두 가지로 분리하는 새로운 설계구조를 도입했다. 반사모드 영역의 액정 Cap을 순수한 액정 $Cap(C_{LC})$과 유기막 $Cap(C_{OL})$으로 분리함으로써 액정에 걸리는 실제 전압을 조절하게 되어 단일 셀캡 구조에서도 감마 보정없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반투과형 VA 액정모드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Cap-Divided 방식의 신규 VA 액정모드는 높은 콘트라스트, 광시야각 특성 및 공정 단순화의 장점이 있기 때문에 향후 반투과형 LCD에 적극적인 채용이 기대되어진다.

Field Emission Display 개발동향 및 전망

  • 송윤호;이진호;권상직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15 no.12
    • /
    • pp.11-18
    • /
    • 2002
  •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 FED)는 금속 또는 반도체로 만들어진 극미세 구조의 전계 에미터(field emitter)에 전기장을 인가하여 진공 속으로 방출되는 전자를 형광체에 충돌시켜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원리적으로 브라운관(CRT)의 우수한 표시 특성을 그대로 가지면서 경량 박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Thin CRT'라고 불리기도 한다 FED는 원리적으로 고휘도, 저소비전력, 빠른 응답속도, 광시야각, 고해상도, 우수한 칼라 표시. 넓은 사용온도 범위 등 CRT 및 평판 디스플레이의 장점을 모두 갖추고 있는 이상적인 디스플레이 소자로 평가되어 1990년대 초반부터 세계 유수의 연구 기관들이 본격 적 인 연구 개발을 추진하여 왔지만, 아직까지 평판 디스플레이 시장에 진입 할 만큼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FED의 근간이 되는 전계방출 소자의 원리 및 종류, FED의 핵심요소 기술, 최근 연구 개발 동향, FED의 응용 분야 및 상용화 가능성 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 PDF

표면 프리틸트 제어를 통한 새로운 광시야각 수직 배향 LCD 기술 소개

  • Kim, Seong-Min;Lee, Seung-Hui
    • Information Display
    • /
    • v.10 no.1
    • /
    • pp.15-21
    • /
    • 2009
  • 다중 도메인 수직배향 LCD는 러빙 공정을 필요치 않는 다는 장점에서 출발해 현재 액정 TV 시장에서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현재 사용화 되고 있는 제품들이 투과율, 응답속도, 명암대비율 등 성능부분의 개선이 필요하고 공정 측면에서 돌기를 사용하거나 상판 패턴을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공정을 제거하면서도 성능이 우수한 새로운 형태의 수직배향 LCD가 최근 대두되고 있다. 기 발표된 기술들을 정리해 보면 신기술에서는 액정에 UV curing이 가능한 모노머를 소량 도핑 한 후 적절한 셀 구조를 형성해 전압 인가시 중간에 액정 배열에 충돌이 있더라도 최종적으로 안정한 배열을 갖게 만든 다음 UV조사를 통해 양 기판 표면에 모노머가 고분자화되면서 액정 배향 방향과 프리틸트각을 갖게 하도록 만든다. 이러한 신개념의 수직배향 LCD는 종래 LCD에 비해 전기광학 특성이 우수해지고 제조공정도 단순해져 향후 수직배향 LCD의 주를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수직배향 기술은 해마다 새로운 진화를 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 진화를 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 부분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 지원이 필요하다.

Wide-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of MVA Cell using Photolithograph with Homeotropic Photopolymer Surface (수직 광폴리머 표면에 사진식각을 이용한 다중도메인 수직배향셀의 광시야각 특성)

  • 황정연;이경준;이재호;김태호;이상극;서대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 /
    • v.16 no.3
    • /
    • pp.219-223
    • /
    • 2003
  • The electro-optical (EO) performances of a multidomain verticial-alignment (MYA) cell on a homeotropic photopolymer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absence of an electric field, the WVA cell achieved black state as LC alignment is homeotropic An electric field created by interdigitated electrodes and rib made after photolithograph using the photopolymer on both substrates causes a director deformation of a multidomain type. Good voltage transmittance curves for a MVA cell on the homeotropic photopolymer were observed. Also, the stable response time of MYA cell on the homeotropic photopolymer can be achieved.

Wide Viewing Angle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Fringe-Field Switching Mode (FFS 모드를 이용한 광시야각 반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

  • Song, Je-Hoon;Lim, Young-Jin;Park, Chi-Hyuk;Lee, Se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4.11a
    • /
    • pp.567-570
    • /
    • 2004
  • We have designed a single gap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LCD) driven by a fringe electric field, in which the LCs are homogeneously aligned in the initial state. In the reflective and transmissive areas, the degrees of the rotation of the LC director are $22.5^{\circ}$ and $45^{\circ}$, respectively. Utilizing this mechanism and an in-cell retarder with a quarter-wave plate that is used below the LC layer, the transflective LCD using fringe-field switching (FFS) mode is realized.

  • PDF

Study of the Effect of the Transmittance of a Diffuser Plate on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High-power Quantum-dot Illumination (확산판의 투과율이 고출력 양자점 조명의 광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Kim, Hye-Rin;You, Dong Geun;You, Jae Hwan;Jang, Jun Won;Choi, Moo Kyu;Hong, Seung Chan;Ko, Jae-Hyeon;Joe, Sung-Yoon;Kim, Yongduk;Park, Taehee;Ko, Young Wook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32 no.5
    • /
    • pp.220-229
    • /
    • 2021
  •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high-power direct-lit white light-emitting diode (LED) lighting were investigated, where a quantum dot (QD) film was adopted to enhance the color-rendering index (CRI). The transmittance of the diffuser plate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QD film were varied in this study. The color coordinates and the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CCT) did not show any appreciable change, while the CRI values increased slightly as the transmittance of the diffuser plate decreased. The investigated optical properties were nearly independent of the viewing angle, and the luminance distribution was close to Lambertian. The CCT decreased from approximately 6000 K to approximately 4000 K as the concentration of the QD film increased from 0 to 7.5 wt%, which was due to the enhanced red component in the emission spectrum. The CRI increased to approximately 95 for some optical configurations of the lighting.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glare-free, color-changeable, high-rendering LED lighting can be realized by using a combination of a diffuser plate of appropriate transmittance and a red QD film.

A Study for Microlens to Improve Outcoupling Efficiency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외광 효율 향상을 위한 마이크로 렌즈에 관한 연구)

  • Yun, Tae-Uk;Kang, Min-Ki;Han, Ga-Ram;Jeon, Ki-Hwan;Hong, Chin-Soo;Kim, Chang-Ky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6a
    • /
    • pp.157-15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OLE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의 광추출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마이크로 렌즈를 개발하였다. 차세대 평판디스플레이 및 차세대 면광원으로 주목받고 있는 OLED는 자발광소자이며, 빠른 응답속도와 넓은 시야각, 낮은 구동 전압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OLED는 아직까지 해결해야할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특히, 휘도와 수명 특성은 OLED의 운명을 좌우한다. OLED의 발광층에서 생성된 빛은 내부에서의 웨이브 가이드 효과 등으로 인하여 약 25%정도만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내부에서 반사되어 소멸되거나 측면으로 방출되는 빛을 OLED 전면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마이크로 렌즈를 제작하였고 광추출향상율은 8%이었다.

  • PDF

유리 기판 위에 형성된 랜덤한 분포를 가지는 나노 구조물과 OLED 소자로의 적용 가능성

  • Park, U-Yeong;Hwang, Gi-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500-500
    • /
    • 2013
  • 특정한 유기 물질에 전류를 인가했을 때 발광을 하는 특성을 이용한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는 뛰어난 색재현성, 적은 전력소모, 간단한 제조공정, 넓은 시야각 등으로 인해 PDP, LCD, LED에 이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OLED는 각기 다른 굴절률을 가지는 다층구조로 되어있어 실질적으로 소자 밖으로 나오는 빛은 원래 생성된 빛의 20%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이러한 광 손실을 줄이기 위해 Photonic Crystal (PC)이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LA) 부착 등과 같이 특정한 크기를 갖는 주기적인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광추출 효율 상승 방법은 특정 파장의 빛에서만 효과가 있는 한계가 있었으며 고가의 공정과정을 거쳐야 했으므로 OLED 소자의 가격 향상에 일조하였다. 이의 해결을 위해 본 연구는 유리기판 위에 랜덤한 분포를 가지는 나노 구조물 제작 공정법을 제안한다. 먼저 유리기판 위에 스퍼터로 금속 박막을 입혀 이를 Rapid thermal annealing (RTA) 공정을 이용하여 랜덤한 분포의 Island를 가지는 마스크를 제작하였다. 그 후 플라즈마 식각을 이용하여 유리기판에 나노 구조물을 형성하였고 기판 위에 남아있는 마스크는 Ultrasonic cleaning을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제작된나노구조물은 200~300 nm의 높이와 약 200 nm 폭을 가지고 있다. 제작된 유리기판의 OLED 소자로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광학특성 조사결과는 300~900 nm의 파장영역에서 맨유리와 거의 비슷한 수직 투과율을 보이면서 최대 50%정도의 Diffusion 비율을 나타내고 있고 임계각(41도) 이상의각도에서 인가된 빛의 투과율에 대해서도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제안된 공정의 전체과정 기존의 PC, MLA 등의 공정에 비해 난이도가 쉽고 저가로 진행이 가능하며 추후 OLED 소자에 적용될 시 대량생산에 적합한 후보로 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