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대역 관측시스템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Test Results of 32 Gbps Observing System for Wideband VLBI Observation (광대역 VLBI 관측을 위한 32Gbps 관측장비의 시험결과 고찰)

  • Oh, Se-Jin;Yeom, Jae-Hwan;Roh, Duk-Gyoo;Jung, Dong-Kyu;Harada, Kenichi;Takezawa, Kosuke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8 no.1
    • /
    • pp.13-20
    • /
    • 2017
  • In this paper, we evaluate the basic test results of the 32 Gbps observational equipment introduced as the back-end system for the wideband VLBI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 observation of KVN (Korean VLBI Network). Radio astronomers want to make a large radio telescope that has excellent performance in order to observe the superfine structure of a celestial body, but a lot of money is needed.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sensitivity,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receiving system and the method of observing the wide frequency bandwidth are introduced. To do this, we adopted a wideband sampling method for converting analog signals to digital with ultra-fast speeds and a wideband sampler for performing digital filtering in order to observe a wide observational frequency bandwidth. The wideband sampler (OCTAD-K) supports up to 16 Gsps-2bits sampling and supports a variety of observational bandwidth using digital filtering techniques. In particular, it is designed to support KVN's 4-frequency simultaneous observation system and VERA(VLBI Exploration of Radio Astrometry)'s 2-beam observation system. It can also support polKVN(Korean VLBI Network), KaVA(KVN and VERA Array), 32Gbps Direct Sampler, Digital Filter, Widebandarization observations and supports the standard VDIF(VLBI Data Interchange Format) format of observed data.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and the problem solving are described in detail after performing the factory inspection and field test before the system is introduced.

  • PDF

A Study on the Test Results and Wideband Observing of the Korean VLBI Network (KVN의 광대역 관측 시험 및 결과고찰)

  • Oh, Se-Jin;Oyama, Tomoaki;Yeom, Jae-Hwan;Nishikawa, Takashi;Roh, Duk-Gyoo;Kim, Seung-Rae;Lee, Eui-Gyeom;Je, Do-Heung;Byun, Do-Young;Lee, Seong-Mo;Chung, Hyun-So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7 no.2
    • /
    • pp.83-92
    • /
    • 2016
  •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results of the testing and observation systems for performance wideband expansion in the Korean VLBI Network(KVN). The KVN performs VLBI observations to 1024 Mbps data rate, and 8192 Mbps observing for four simultaneous observation is now evaluating for normal operation. The VLBI stations in several world countries developed their own wideband observing systems to observe the celestial objects with high precision and high resolution or are working with several countries. The KVN is planning to introduce a high-speed sampler, OCTAD, for sampling directly up to 2048 MHz bandwidth for RF signal of K/Q/W/D band in the frequency band without conversion. Therefore, a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performance scalability of the KVN then through the close cooperation with National Astronomical Observatory of Japan (NAOJ), the OCTAD high-speed sampler and OCTADISK2 high-speed recorder were installed in the KVN Yonsei station, and verify the performance through a wideband.

소프트웨어 광대역 전파분광기 기본 설계 및 향후 계획

  • Gang, Yong-U;Song, Min-Gyu;Wi, Seok-O;Lee, Seong-Mo;Je, Do-Heung;Lee, Jeong-Won;Jeong, Mun-Hui;Gang, Ji-Ma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8 no.1
    • /
    • pp.73.1-73.1
    • /
    • 2013
  • 전파자료처리를 위한 전파분광기는 전파망원경으로 얻어진 우주전파자료를 최종 처리하는 장비이다. 현재, 전파관측에서는 우주의 미세구조를 밝혀내기 위해 관측자료의 대량화와 고속화가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초고속 대용량 자료를 처리하기 위해서 FPGA나 ASIC 등으로 구성된 하드웨어 기반의 전파분광기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하드웨어 기반의 전파분광기는 개발에 시일이 많이 소요되고 고가이며 수정 변경이 쉽지 않다. 한편, 관측자료는 더 대량화되고 고속처리가 필요한 추세로 가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고속 계산 플랫폼을 기반으로 구현되는 소프트웨어 전파분광기이다. 미국, EU, 일본 등은 이러한 전파분광기 개발을 이미 진행하고 있다. 특히, THz 대역에서 관측시스템 개발을 이제 막 시작하는 우리나라로서는 경쟁력을 갖추려면 외국의 기술의존성을 탈피하고 첨단의 초고속 관측자료처리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의 우수한 IT기술을 전파관측기술에 활용하여 단계적으로 기술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고속 계산 플랫폼을 기반으로 구현되는 소프트웨어 광대역 전파분광기의 기술개발에 관한 것으로 전파관측에 적용할 수 있는 x-엔진 개발과 기술 결합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이에 소프트웨어 광대역 전파분광기의 기본 설계 및 향후 계획을 소개한다.

  • PDF

Development of Total Radio-Power Detector using Optical transmission for next broadband system of KVN

  • Kang, Yong-Woo;Je, Do-Heung;Song, Min-Gyu;Byun, Do-Young;Wi, Seog-Oh;Jung, Taehy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3 no.2
    • /
    • pp.57.1-57.1
    • /
    • 2018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을 이루는 각 전파망원경에는 4 주파수 동시관측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이 시스템에는 각 주파수별로 우주에서 오는 전파신호 세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전파세기 측정기(Total Radio-Power Detector)를 자체 기술로 설계, 제작하여 운영하고 있다. 전파세기 측정기는 수신되는 전파신호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로써, KVN을 이루는 21m 전파망원경의 수신기로 천체의 전파 신호를 관측할 때 사용한다. 현재, KVN 수신 시스템은 광대역 시스템으로의 성능 향상을 위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개발되는 광대역 수신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하여, 원격지 컴퓨터에서 모니터링과 원격 제어로 자동화 운용이 가능하도록 광전송 방식의 전파세기 측정기를 새로 개발하고 있다. 이번 발표에서는 진행 중인 개발 내용과 향후 계획을 소개한다.

  • PDF

Introduction to Interferometer-based local lighting detection system (근거리 낙뢰관측을 위한 간섭계방식의 측정시스템 구축)

  • Kwak, J.S.;Woo, J.W.;Kweon, D.J.;Shim, E.B.;Moon, J.D.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a
    • /
    • pp.727-72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낙뢰에서 발생하는 VHF 대역의 신호를 광대역 간섭계를 통하여 낙뢰의 방전경고 측정하는 거리 낙뢰관측 시스템을 소개하고자 한다. 측정시스템은 3개의 광대역 전계센서와 LF/VLF 대역의 전계센서로 구성된다. 측정된 신호는 잡음 제거를 위한 필터를 거쳐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메모리에 저장되어 진다. 각각의 센서로부터 측정된 신호는 FFT분석을 거쳐 신호원인 낙뢰의 방위각과 고도각이 계산되어진다. 이 시스템은 30 km 내외의 뇌운의 방전 경로의 형성과 진전과정을 세밀하게 관측할 수 있다.

  • PDF

ICHON SOLAR RADIO SPECTROGRAPHIC SYSTEM AND DEVELOPMENT OF ITS OPERATION SOFTWARE (이천 태양전파 분광시스템 및 운용 소프트웨어 개발)

  • 조경석;이근호;김갑성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14 no.2
    • /
    • pp.320-329
    • /
    • 1997
  • A solar radio spectrograph for monitoring solar radio emission was installed at Ichon branch of Radio Research Laboratory in 1995. The spectrograph consists of three different antennas to sweep a wide band of frequencies in the range of 30MHz~2500MHz. We have developed the operating software for the acquisition and the analysis of solar radio data obtained by solar radiospectrograph in order to carry out active solar radio observational studies. It was found that by using our software, we could have very good solar radio data for a sequence of three TYPE III bursts observed on 4 Nov. 1997. In this paper, we show the radio spectrograph and the result of the observation by its operating software.

  • PDF

An Approach for Implementing PCI Express Interface Based Storage System for Wideband Observation Data

  • Song, Min-Gyu;Kang, Yong-Woo;Kim, Hyo-Ryung;Nam, Uk-W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0 no.2
    • /
    • pp.57.1-57.1
    • /
    • 2015
  • VLBI에서 관측 대역폭이 n배 증가될 경우 관측감도는 sqrt(n)만큼 향상되고, 이는 관측 연구 측면에서 기존에는 불가능하던 천체에 대한 연구 수행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관측 대역폭의 확대는 관측 데이터의 용량 증가를 의미하며 여기서 해당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초고속 데이터 기록시스템은 핵심적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현재 KVN에서는 미국 MIT Haystack 천문대에서 개발된 초고속 기록시스템인 Mark5B/B+와 Mark6를 운용 중에 있다. 하지만 이들 시스템의 경우 사실상 VLBI연구를 위한 목표로 특수 개발되었기에 유지 및 운영 측면에서 여러 불편이 있고, 성능에 있어서도 단일 스트림 기준으로 8Gbps를 넘지 못하는 한계를 안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기존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로서 PCI 익스프레스 기반의 데이터 처리를 소개하고자 한다. 나아가 실제 관측 데이터에 대한 입출력 및 기존 시스템과의 성능 비교를 통해 광대역 관측 연구에 최적화된 기록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Design of High Sensitive Broadband Tag Antenna for RFID System in UHF Band (UHF 대역 RFID 시스템용 고감도 광대역 태그 안테나의 설계)

  • Park, Gun-Do;Min, Kyeong-Sik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3 no.1
    • /
    • pp.51-56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of high sensitive/broadband tag antenna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 Ultra High Frequency(UHF) band. A proposed tag antenna size is $60\;mm\;{\times}\;10\;mm\;{\times}\;1\;mm$. The resonant frequency is 910MHz and bandwidth is about 900 MHz at -10 dB below. The measured return loss and directional pattern have been confirmed a good agreement with the calculation results. The read range of proposed tag antenna with chip is observed about 6.5 m and proposed tag antenna has been observed an average 0.5 m for more than read range of the commercial tag antenna.

A DESIGN STUDY OF THB 400MHZ WIDE-BAND DIGITAL AUTOCORRELATION SPECTROMETER (400MHz 광대역 디지털 자기상관분광기 설계연구)

  • 이창훈;김광동;한석태;김태성;최한규;변도영;구본철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19 no.4
    • /
    • pp.327-340
    • /
    • 2002
  • In this paper, we performed the design study of a wide-band digital autocorrelation spectrometer for the observation study of an extra-galaxy's spectral lines and the survey research of the special radio sources in field of the radio astronomy observational research. The autocorrelation spectrometer designed in this paper can be used to their spectrometer of any system because this spectrometer has a wide dynamic power and frequency range properties. In this system we use the aliasing sampling method to minimize the band loss. For the output signal of the correlator we can increase the signal processing speed using by a special DSP chip, the integration and the FFT using hardware, so this spectrometer can support the newest developed technique for the radio astronomy observation so called “On the fly” method.

Current status of development of 4GHz High Speed Sampler for KVN

  • Kang, Yong-Woo;Je, Do-Heung;Byun, Do-Young;Song, Min-Gyu;Jung, Taehyun;Nam, Wook-W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0 no.2
    • /
    • pp.56.3-56.3
    • /
    • 2015
  • 한국우주전파관측망은 22GHz, 43GHz, 86GHz, 129GHz의 4주파수 동시관측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 이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전파신호를 실시간으로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주는 장치인 샘플러의 국산화를 위하여, 우리는 3년간의 연구개발로 1GHz 샘플링을 할 수 있는 샘플링 장치를 설계/제작하였다. 그리고, 이를 연구 관측에 실제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 단계 더 나아가 광대역 관측과 e-VLBI 구현을 위하여 전파관측 자료를 직접 첨단 연구망으로 보낼 수 있는 4GHz 샘플러를 개발 중에 있다. 이번 발표에서는 4GHz 샘플러에 대한 개발 현황 및 향후 계획을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