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고 효과

Search Result 83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ccurate Ad-Effect Estimation Method based on Relevance between User and Item (유저-상품 적합도 기반의 정확한 광고효과 계산 방안)

  • Hong, suk-jin;Ko, yun-yong;Kim, sang-wook;Park, gy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1-22
    • /
    • 2018
  • 최근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의 급격한 성장과 함께, SNS를 대상으로 상품 마케팅을 하는 기업(광고주)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SNS에서 상품을 효과적으로 광고할 수 있는 광고 대행 유저들을 광고주에게 추천해주는 서비스들이 등장하였다. 하지만 위와 같은 대부분의 서비스들은 단순히 유저의 이웃 수를 기반으로 유저의 광고 효과를 평가하기 때문에, 유저를 통해 단계적으로 파급되는 광고 효과는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영향력 최대화 (Influence maximization) 연구 분야의 기술을 활용하여, (1) 유저를 통해 단계적으로 파급되는 광고 효과를 고려하는 광고효과 최대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보다 정확하게 광고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2) 광고 상품과 유저 사이의 적합도를 정의하여 광고 대행인 선출 과정에 적용하였다. 실세계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광고 대행 유저 선출 방안이 전통적인 선출 방안들과 비교하여 광고 효과가 더 큰 유저들을 선출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 PDF

Differential Effects of Humor Advertising by Expression Type and Receivers' Temperament (유머광고 표현유형과 수신자의 기질에 따른 유머광고의 차별적 효과)

  • Ha, Tae-Gil;Park, Myung-Ho;Yi, Huiuk
    • Asia Marketing Journal
    • /
    • v.9 no.1
    • /
    • pp.23-41
    • /
    • 2007
  •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pression type of humor ads and their advertising effects and the differences in advertising effects by expression type according to temperament as categorized by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Expression type of humor was classified into arousal-, incongruity-, and superiority-type humor ads. Advertising effects were measured by consumers' cognitive, affective, and conative responses. Three ads were created based on expression type of humor. A personality type, as measured by the MBTI, was categorized into four types of temperament, namely SP, SJ, NF, NT and used as moderating variables. As a result, the advertising effects varied according to the expression type of humor advertising.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d expression type and temperament on ad feeling and ad preference were also found.

  • PDF

Display Types for Alleviating Negative Attitude toward Advertisements Attached to Web Articles (인터넷 신문기사에 첨부된 광고의 거부감 경감을 위한 광고 제시 방식)

  • Yu, Hyun-Jin;Lim, Seong-Taek;Chung, Jin-Gu;Lee, Ju-Hwa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554-559
    • /
    • 2007
  • 최근 인터넷 관련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사람들의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행위들이 인터넷을 기반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초고속 통신망의 확산과 더불어 인터넷 쇼핑몰과 상거래시장 또한 빠르게 성장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터넷을 매체로 하는 광고기법 또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데, 인터넷을 통한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인터넷 신문기사 주변에 배치된 배너광고, 팝업광고 등 여러 가지 시도들이 있어왔다. 이러한 시도들은 인터넷 사용자의 편의에 대한 고려보다는 광고내용을 얼마나 잘 전달할 수 있는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광고내용이 잘 전달된다 하더라도 소비자가 그 광고에 대해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면 과연 인터넷 광고효과가 높다고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팝업광고에 대한 대응책으로 개인적으로 팝업 블록커(pop-up blocker)를 사용하겠는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사람들이 팝업 블록커를 이용해서라도 팝업광고를 피하고자 하는 비율이 77%에 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Windows XP 서비스팩 2 이후의 버전은 인터넷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자동 팝업 차단기능을 갖추고 있는 실정이다. 팝업광고를 통해 아무리 높은 정보전달 효과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사용자들은 팝업광고에 대하여 거부감이나 부정적 감정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광고정보가 전달된다 하더라도 팝업광고에 대한 사용자들의 불편함이 그 광고에 대한 부정적 감정으로 전이되어 광고대상에 대한 이미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광고효과는 극대화하면서, 혹은 기존의 수준을 유지하면서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줄인 광고형태를 찾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신문기사에 첨부된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광고 제시 방식을 찾고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너와 팝업 등 두 가지 광고 제시 방식과 전면에 돌출하지 않는 형태로 인터넷 신문기사의 배경에 삽입된 광고 제시 방식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인터넷 신문기사 영역의 주변 특정 부분(코너나 중간 부분 등)에 광고를 삽입한 배너 형태의 광고와 인터넷 신문기사 위에 광고가 돌출 등장하여 콘텐츠를 가리는 팝업 형태의 광고 제시 방식보다 새롭게 제안된 백그라운드 형태의 광고 제시 방식이 인터넷 신문기사를 읽는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줄이며 동시에 광고효과를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인터넷 광고 제시 방식으로 활용한다면 인터넷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방해하여 발생하는 명시적인 거부감(explicit negative attitude)을 줄이면서도 암묵적인(implicit)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Effectiveness of Socially Recommended Advertising on Social Network Sites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의 소셜 추천 광고 효과에 대한 연구)

  • Kim, Jeeyoung;Suh, Kiseul;Kim, Wonjoon;Kim, Songm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4
    • /
    • pp.108-118
    • /
    • 2017
  • This study focuses on an effectiveness of socially recommended advertising on social network sites (SNSs) and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ree critical factors on SNS advertising effectiveness - reward type for advertising recommenders' intention, product type on advertisements, and tie strength. A $2{\times}2$ factorial design was used to test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two variables, reward type and product type on advertisements, moderated by tie strength. The results indicate that when participants observe socially recommended advertising, hedonic product ads with non-monetary reward shows the most effectiveness, and reward type and product type are also effective. In the combination of reward type and product type, we have confirmed the regulating factor influencing the effectiveness of social advertising according to the tie strength between the recommenders and the consumers. Strong-tie recommenders have more influence on the effectiveness of the social advertising than weak-tie recommenders.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to refine marketing environments on SNSs.

인터넷광고에 대한 태도와 효과성에 있어 라이프스타일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Kim, Gyeong-Hun;Park, Jin-Yong;Kim, Dong-Yul;Mun, Hak-Il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6
    • /
    • pp.233-260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1) 인터넷환경하에서 인터넷광고에 대한 태도와 인터넷광고의 효과성 간의 효과를 검증하고, (2) 인터넷광고에 대한 태도와 인터넷광고의 효과성간의 관계에 대 한 인터넷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광고에 대한 태도연구와 효과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두 번수간외 관계성올 알아보았으며, 이는 인터넷 환경하에서도 적용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한 결과는 인터넷광고에 대한 태도는 권유의도, 고려의도, 재방문의도, 구 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시장에서 인터넷광고에 대한 태 도와 인터넷광고의 효과성은 전통적인 시장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작용되었다. 두 번째로 인터넷사용자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여섯 개의 유형 으로 나누어 연구한 결과 인터넷광고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간에는 인터넷사용자들의 라 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evoking advertisement with EEG analysis (뇌파 분석을 이용한 감성자극형 광고 효과 연구)

  • 편흥국;김정룡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413-416
    • /
    • 2000
  • 현재 소비자의 광고 효과 측정에 대한 연구는 정보 처리 모형에 근거한 인지 반응 연구와 주관적인 감성 반응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TV 광고에 대한 광고 효과를 인지와 감성적 부분으로 분류하여 해석한 Shimp(1981)의 모델을 기초로하여 각각의 뇌파의 반응을 측정하였고, 동시에 광고에 대한 감성형용사, 선호도, 구매 욕구를 통한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보전달형 광고와 감성자극형 광고에 있어 뇌파 활성도, 감성형용사, 선호도의 차이를 나타냈다. 본 결과는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정량적인 방법으로 측정하여, 광고 효과 파악을 위한 새로운 모델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The Study about Parody Effect on Print Ad. (인쇄매체광고의 패러디효과에 관한 연구)

  • 김규철;조경섭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5 no.4
    • /
    • pp.231-242
    • /
    • 2002
  • Due to the various reasons reducing the advertising effects in such as message reliability declining, target segment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creative becomes more important than ever before. And this is more true in print advertising than electronic o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ort to develop more effective advertisement in print advertising. Parody advertising, a postmodernic technique, effectiveness was tested empirically. Top-of-mind awareness, reliability toward advertising,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ttitude toward brand, and purchase intention were adapted as a scale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parody and non-parody advertising. Result proved the parody advertising shows higher effects than non-parody one. Conclusively saying that parody could be one of the possible ways to increase effects on print advertising to survive from the heavy competition and low attention.

  • PDF

The Study on the Advertising Effect of Multiple Models -Message Regulatory Focus as An Moderator- (복수모델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 메시지 조절초점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 Song, Jun-Ho;Kim, Hyo-Gyu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2 no.3
    • /
    • pp.127-151
    • /
    • 2013
  •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message regulatory focus on the advertising effect of multiple models. The multiple models are limited to two models in one advertisement in this research.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hypothesis that multiple models, in terms of multiple source effect and social consensus, appears specifically to enhance the relationship of consumer and commercial models on the conditions of promotion-focused message which leads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of relational elaboration. This research applied a 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 targeting 2(the number of model: single model vs. multiple models) by 2(message regulatory focus: promotion-focused message vs. prevention-focused message). As a result, multiple models showed more positive ad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an did single model. And promotion-focused message with multiple models showed more positive ad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an did prevention-focused message with multiple models. Also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number of model and the type of message regulatory focus. It wasn't fully support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of advertising effect between promotion-focused message and prevention-focused message on the condition of single model.

  • PDF

모바일 광고유형과 메시지특성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Lee, Hong-Il;Park, Cheol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1066-1071
    • /
    • 2008
  • 모바일 광고는 새로운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모바일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어떤 광고유형, 메시지 내용이 광고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분석하고자 실험연구를 하였다. 즉 주 실험변수인 광고의 유형(text/icon)과 광고 메시지 특성(쾌락적/실용적)에 따른 광고 태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광고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광고제품의 유형(탐색재/경험재)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광고유형과 광고메시지 특성별로 광고 태도에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광고유형과 메시지특성이 광고태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제품유형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광고태도는 브랜드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Context Effect of Web Contents and Advertising (웹사이트 콘텐츠와 광고의 맥락효과 검증)

  • Shin, Jong-Ku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1
    • /
    • pp.363-375
    • /
    • 2009
  • This study is to verify effects of banner advertising by context effect in web contents. For this, it analyzed the effects of banner advertising by association of internet article's contents, emotion, difficulty of article and the level of involveme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perimental design, banner advertising effects by context effects of web contents were high in the following cases; in the case when the contents were highly associated with banner advertising; in the case when the positive emotions were formed by the internet article; in the case when the difficultly of article was low; and in the case when consumer's involvement was high. And also, when the contents were highly associated with the advertising, the content effects of web contents were high even in the case when the negative emotions were formed; in the case when the difficulty of article was high; and consumer's involvement was 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