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광고 모델 국적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6초

광고 모델의 국적과 메시지 및 신제품 유형, 문화적 거리감이 광고 및 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del Nationalities, Message Types, New Product Types and Cultural Distances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the Ads and Products)

  • 박현정;두예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283-293
    • /
    • 2018
  • 본 연구는 글로벌 소비자가 신제품 광고를 접할 때 광고와 관련된 여러 차원의 심리적 거리로 인한 상이한 해석수준에 따라 광고 태도나 제품 태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여 광고 모델의 국적(한/중)이라는 사회적 거리감, 하위해석수준의 구체적인 메시지나 상위해석수준의 추상적인 광고 메시지 유형, 점진적 신제품 혹은 혁신적 신제품과 같이 제품이 지닌 새로움의 정도에 따른 심리적 거리감에 따라 소비자의 태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또 중국 소비자의 한국에 대한 문화적 거리감에 따라 이러한 효과가 조절되는지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예를 들어 한국 모델이 등장한 신제품 광고의 경우 추상적 메시지(vs 구체적 메시지)에서 광고태도 및 제품태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중국 모델이 등장한 신제품 광고의 경우 구체적 메시지(vs 추상적 메시지)에서 태도가 더 높게 형성되었다. 추가적으로 살펴본 문화적 거리감은 이러한 효과를 조절함을 파악하였다.

매스티지 브랜드 광고모델 국적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해석수준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Nationality of Advertising Models for Masstige Brands: Based on Construal Level Theory)

  • 진진곤;방정혜;김민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62-367
    • /
    • 2021
  • 본 연구는 방한 중국관광객에 대해 브랜드 인지도와 지각된 가격공정성이 매스티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한·중 양국의 유명 광고모델이 이 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 연구하였다. 명품의 이미지와 합리적인 가격대라는 매스티지의 특성에 따라 매스티지 원산지와 일치하는 국적(한국)모델과 중국관광객의 자국(중국)모델의 영향을 해석수준이론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2(브랜드인지도 고·저)×2(가격공정성)×2(광고모델 국적) 집단 간 실험설계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 인지도와 지각된 가격공정성은 각각 매스티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광고모델 국적의 조절효과도 유의미하였다. 광고모델이 한국 국적일 경우 브랜드인지도와 지각된 가격 공정성의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이 중국 국적의 광고모델의 경우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본 논문은 매스티지 브랜드는 중국 관광객에게 심리적 거리감이 있더라도 브랜드이미지에 맞는 한류 모델의 영향이 중국 모델보다 더 크다는 것을 보여준 연구로서 시사점이 있다고 하겠다.

광고 모델의 인종이 광고와 브랜드 태도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Revisiting Effects of Endorsers' Race on Attitudes Toward Ad and Brand)

  • 이은선;김여정;안정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110-121
    • /
    • 2014
  • 외국인의 유입이 가속화되고 있는 한국 시장에서 인종별 소비자 특성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이 대표적인 다인종 사회임을 고려하여, 미국에 거주하는 백인 피험자를 대상으로 광고모델의 인종, 상황적 맥락, 제품 유형이 광고와 브랜드 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모델 인종: 흑인/백인) X 2(실험상황: 사적/공적) X 2(제품유형: 고관여 이성/저관여 감성) 혼합요인 설계를 이용하였고, 인상 관리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백인 피험자들은 자동차 광고 모델이 백인일 때 공적인 조건에서보다 사적인 조건에서 광고에 대한 태도를 더 긍정적으로 보고한 반면에, 모델이 흑인일 때는 실험 상황에 따른 태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한국 시장에서 한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인종과 국적의 모델을 사용했을 때 광고와 브랜드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모바일 광고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 러시아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Purchase Intention of Mobile Advertising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Russia)

  • 김승권;윤종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83-192
    • /
    • 2014
  • 휴대폰 보급의 활성화와 모바일 광고의 확산으로 인해 새로운 광고 채널로 부상하고 있는 모바일 광고에 대한 다국적 소비자들의 태도나 행동의지를 이해하는 작업이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모바일 광고의 특정 영역은 여전히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모바일 광고에 대한 고객의 태도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영역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기술수용모형을 바탕으로 모바일 광고 특성과 구매의도간의 관계를 조사하고, 국적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모바일 광고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연구자들이나 광고 실무자들이 관심을 가져야할 요소들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광고를 통해 본 여대생의 서구 이미지 선호경향 (Preference Tendency to Western Images through Advertising Pictures)

  • 임진영;나영주
    • 감성과학
    • /
    • 제7권4호
    • /
    • pp.1-6
    • /
    • 2004
  • 본 연구는 동서양 문물 이미지 사진에 대한 여대생의 선호도와 패션잡지에서 의류광고 사진에 등장한 모델의 동서양 국적에 따른 소비자의 긍정적/부정적 인식 정도의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100명의 여학생이 설문에 응답해 주었으며 20개 사진이 자극물로 제시되었다. 자극물은 주택, 실내, 식품, 미인도, 음료수로 하고, 패션 광고사진으로는 남성복 정장, 여성복 정장, 여성복캐주얼, 여성복 속옷, 여성손목시계 등으로 하여 동서양 모델 사진을 각 1점씩 선택하였다. 여대생들은 간식과 미인도에서는 서양이미지보다 동양이미지를 선호하였으나, 패션잡지의 의류광고 사진의 광고에는 모든 경우에서 서양모델이 사용된 경우에 긍정적인 인식정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사실로서 여대생의 서양이미지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며 이것은 의류제품 브랜드의 소비자 선호도에 영향을 미칠 것을 추측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