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 삽입

Search Result 259,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Development of Control System for Thimble Handling Equipment for Neutron Flux Mapping (노내 핵계측 검출기 안내관 인출 및 삽입 장비 제어시스템의 개발)

  • Byun, Seung-Hyun;Cho, Byung-Hak;Park, Joon-Young;Lee, Jae-Ky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d
    • /
    • pp.1995-1996
    • /
    • 2006
  • 검출기 안내관은 노내 핵계측 계통의 중성자 분포 측정을 위한 이동형 검출기의 이동경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원자로 냉각수 계통의 압력경계를 유지하는 안전성 등급의 중요한 설비이다. 그러나, 인출과 삽입을 위한 검출기 안내관 취급은 의외로 낙후되어 작업자의 인력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며, 원자로 격납용기 내부에 위치한 고방사선 지역에서 작업이 수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노내 핵계측 계통의 검출기 안내관의 안정적인 관리를 위해 검출기 안내판을 일정한 힘으로 인출하고 삽입할 수 있는 자동화시스템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력연구원에서 개발한 안내관 취급기구는 롤러에 의해 안내관을 파지하고, DC 모터 구동에 의해 안내관을 인출하고 삽입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안내관 취급 기구의 제어 시스템 구성과, 롤러와 안내관 사이에 발생하는 슬립을 고려한 제어기 구조를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구현한 제어 시스템의 효용성을 보인다.

  • PDF

고 선량율 근접 및 온열치료 병용 삽입관의 제작과 특성

  • 추성실;김성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Conference
    • /
    • 2003.09a
    • /
    • pp.52-52
    • /
    • 2003
  • 악성종양을 치료하는 방법중 방사선과 온열요법은 가장 강력한 치료방법으로 연구되어왔으며 이를 병용함으로 서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인체조직에 41$^{\circ}C$ 이상의 열을 가하면 세포질의 단백질변성으로 세포에 손상을 주어 세포가 사멸하게 되며 세포의 생존율은 가열시간 즉 열량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한다. 온열은 세포주기중 방사선 저항성이 매우 큰 DNA 합성시기와 산도가 높을 때 감수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방사선과 병용요법은 상호 상승효과를 가져온다. 이와 같이 온열을 이용한 악성종양의 치료가능성은 생물학적 기초연구와 임상시험에서 경이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아직 까지 가열방법과 온도분포측정이 큰 과제로 남아있으며 주위건강조직의 가열을 피하면서 인체 깊은 곳에 존재하는 종양에만 집중 가열하는 방법인 삽입형 온열치료방법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었다. 한편 방사선 치료방법은 주위 건강조직의 피폭을 최소로 줄이고 종양에만 집중 조사가 요구되며 자궁암, 유방암, 뇌암등 부피가 작고 집중적 치료를 요하는 종양은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근접 삽입치료 (Brachyradiotherapy)가 큰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방사선과 온열의 병행 치료를 위하여 방사선 삽입 치료에 사용한 선원 삽입관을 그대로 두고 삽입관 속에 방사성 동위원소 대신 온열 전극을 넣어 열을 가하는 방사선 온열 병용치료방법을 고안하였으며 방사선과 온열병용에 사용할 최적 삽입관의 제작과 이에 따른 온도분포의 측정과 최적삽입방법을 결정하였다. 방사선 삽입치료용 폴리에찌렌 삽입관의 외부에 금박을 입혀 라디오파 첨극을 삽입할 때 서로 연결되도록 고안 제작함으로서 방사선 삽입치료와 자입식 온열치료를 동시에 만족하게 수행할 수 있는 병용삽입관 (Flexible thermoradiotherapy probes)을 제작하였다. 전도율이 큰 금박부위가 직접 조직에 접촉됨으로 라디오파의 전달이 용이하며 금박의 길이를 2 cm 에서 5 cm 로 구분제작 함으로서 종양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라디오파를 이용한 온열분포의 측정은 인체조직과 전기적 특성이 비슷한 물질인 한천 팬텀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며 온도분포 측정은 열전대와 서머그람으로 시행하였다. 생체조직 내에서의 온도분포와 온열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직접 개의 뇌를 이용하여 시행하였으며 4 개의 전극을 이용하여 43$^{\circ}C$로 50분간 가열하고 일주일후 개를 회생시켜 개 뇌에 대한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한편 팬텀 표면에서 중앙부로 안테나 길이가 2 cm 인 4 개의 전극을 1 cm 간격으로 정사각형이 되도록 삽입하여 가열하였을 때 90% 등온곡선이 반경 1.25의 원형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었고 종단면상 삽입관의 길이에 따라 균일한 온도분포가 이루어졌다. 전극을 2 cm 간격으로 삽일 하였을 때 90% 등온곡선이 1.75 반경으로 거의 4 각형의 균일한 분포를 얻었으나 전극의 간격이 증가하면 전도율이 떨어져서 전극 중심부에 불균일한 온도분포를 형성하였다. 동물실험에서 정상 개의 뇌 실질에 자입하여 직접 정방형의 중심을 43$^{\circ}C$로 유지하며 50분간 온열 요법을 시행한 후 관찰한 조직병리학적 소견은 liquefactive necrosis, pyknosis of neuronal element 및 polymorphonuclear leukocytes들의 회백질에서 급성기에 관찰되었고 liquefactive necrosis 주위에 lipid-laden macrophage들이 관찰됨이 공통적인 특정이었으며 후기변화로 괴사조직 주위로 신경교세포의 증식이 관찰되었다.

  • PDF

Retrospective Analysis for Complications of the Central Venous Catheter in Patients with Cancer at a Single Center in Korea (우리나라 일개 병원 암 환자에서 중심정맥관 합병증에 관한 후향적 조사)

  • Kim, Eun-Jung;Kim, Hyun-Jung;Kim, Han-Jo;Kim, Kyoung-Ha;Kim, Se-Hyung;Lee, Sang-Cheol;Bae, Sang-Byung;Kim, Chan-Kyu;Lee, Nam-Su;Lee, Kyu-Taek;Park, Sung-Kyu;Won, Jong-Ho;Park, Hee-Sook;Hong, Dae-Sik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13 no.1
    • /
    • pp.24-31
    • /
    • 2010
  • Purpose: A central venous catheterization (CVC) is frequently used for delivering anti-cancer chemotherapeutic agents, blood products, parenteral nutrition, and other intravenous therapy in patients with cancer. Major complications of CVC use are thrombosis, infection, and mechanical complica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requency of CVC complications and related factors. Methods: The records of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a CVC at our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2001 to October 2006 wer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Chi square test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related factor for thrombosis or infection, and Kaplan-Meier analysis for univariate analysis, or Cox-regression analysis for multivariate analysis was used for catheter life span. Results: Three hundred and ten CVCs (235 nontunneled, 75 tunneled) were inserted in 310 patients (157 males, 153 females). Among them, 104 had hematologic cancers and 206 had solid cancer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2 years (range, 19~82 years). CVC complications occurred in 60 cases (19%). CVC-related thrombosis occurred frequently in patients with infection (P=0.003), whereas diagnosis, catheter type, transfusion, and TPN history did not affect infection or thrombosis. The mean duration of the catheter was 102 days (range, 2~1,330 days), and the duration was prolonged in patients with tunneled catheters (P=0.000), or without transfusion through CVC (P=0.030). Conclusion: The major complications for long-term use of a CVC were infectionand thrombosis. Tunneled catheter was effective tool for long term use, especially in cases without transfusion through CVC. The studies o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thrombosis and infection are, therefore, warranted by using CVC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Evaluation of the Cochlear Electrode Behavior in the 3D Human Cochlea Model by FEM Analysis (3차원 달팽이관 모델에서의 인공와우 전극의 거동에 대한 유한요소해석)

  • 임윤섭;박세익;김용협;오승하;김성준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5 no.3
    • /
    • pp.207-215
    • /
    • 2004
  • A finite element analysis is used in this study to model 6 kinds of electrode by a genetic program in order to evaluate the mechanical effect on the 3D human cochlea model and the behavior of electrode. Human cochlea is modeled by the spiral-approximation method and the shape of scala tympani is extracted from the mid section of the human cochlea. Contact pressure at the tip and the insertion force are found to be highest when the wires stack horizontally. Axial rotation of electrode is minimal comparing with the stimulating current sprea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lectrode stiffness is important to minimize the trauma.

Indication and Post-Procedural Management of Upper GI Stent Implantation (상부 위장관 스텐트 삽입술의 이해 -적응증 및 추적 관리-)

  • Joo, Moon-Kyung;Park, Jong-Jae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12 no.2
    • /
    • pp.49-55
    • /
    • 2009
  • Self expandable metal stent (stent) implantation of upper gastrointestinal (UGI) tract is now widely accepted for the palliation of obstructive symptoms caused by inoperable malignant UGI obstruction. With the technical progress and accumulation of clinical experiences, it became possible to perform the procedure easily, safely and effectively. However, clinician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post-procedural care, because early or late complications such as ulceration, pain, bleeding, food impaction, perforation, migration or in-stent tumor growth could occur. In this review, several topics about stent placement in the UGI tract are discussed, such as major indications for stenting, kinds of stents, and post-procedural management.

  • PDF

Availability of peripheral inserted central catheters in severe hemophilia patients with inhibitors (중증 혈우병 항체 환자에서 시행한 말초삽입 중심혈관 카테터의 유용성)

  • Park, Youngshil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51 no.12
    • /
    • pp.1359-1362
    • /
    • 2008
  •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strategy for patients with hemophilia is replacement therapy with FVIII or FIX concentrates, which usually requires long-term, uncomplicated venous access. However, central venous access device (CVADs, ports) insertion requires inpatient admission and general anesthesia, and presents some problems regarding health insurance coverage.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s (PICCs) were inserted in two severe hemophilia patients aged 7 and 11 years with high titers of inhibitors. They experienced frequent bleeding episodes and required replacement therapy, which eventually resulted in difficulty in acquiring venous line access. Factor VIII activity was below 1%, and inhibitor titers were 160 and 26.3 BU/ml. In an outpatient setting, PICC lines are easily placed by radiological guidance and require local anesthesia alone. PICC has been feasible, in particular, for hemophilia patients with frequent bleeding episodes.

Subclavian Portal Approach for Isolated Subscapularis Tendon Tear - Technical Note - (견갑하 건 단독 파열에 대한 쇄골하 삽입구를 이용한 봉합술 - 술기보고 -)

  • Choi, Chang-Hyuk;Kim, Shin-Kun;Chang, Il-Woong;Kim, Se-Sik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v.12 no.2
    • /
    • pp.221-225
    • /
    • 2009
  • Purpose: For an isolated tear of the subscapularis tendon, the presented technique using a subclavian portal provides both a good angle for anchor placement and sufficient space for managing the upper portion of a subscapularis tendon tear. Materials and Methods: The conventional method needs 2 additional portals for traction, debriding the footprint and anchor fixation for repair. The presented technique requires only an anterior portal for suture management and a subclavian portal without cannula for suture anchoring and placement of suture hooks. Results: The two suture limbs of the anchor can be placed on the subscapularis tendon by the switching technique and these limbs are repaired sequentially. Conclusion: This technique is simple and reproducible and it can be applied to partial tears and minimally retracted subscapularis tears.

펄스 고전압을 이용한 해수모세관방전에서 고전압 펄스 방전특성 연구

  • Seok, Dong-Chan;Yu, Seung-Min;Hong, Eun-Jeong;No, Tae-Hyeop;Lee, B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248-248
    • /
    • 2011
  • 유전체 모세관을 이용한 해수에서의 펄스고전압 방전 특성을 연구하였다. 내경 1, 2, 3 mm의 구멍이 뚫린 Quartz 블럭에 외경 1, 2, 3 mm의 SUS 핀을 삽입하였고 삽입된 핀의 끝이 해수에 담구어 지도록 하여 고전압 방전을 발생 시켰다. 인가된 펄스 고전압은 5 kHz의 반복 주파수를 가지며, Pulse 폭을 $1{\sim}2.5{\mu}sec$까지 변화 시켜 전압전류 파형과 방전양상을 살펴 보았다. 방전은 펄스폭 변화에 따라 전해전도 전류에 의한 모세관 가열, 모세관내 미세기포형성, 기포내의 코로나 방전 개시 그리고 글로우 또는 아크방전으로 발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모세관의 길이는 각각의 구경에 대하여 5 mm, 10 mm 두 가지로 변화하여 실험하였고, 모세관 길이 10 mm 조건에서는 방전이 매우 불안정 하였다. 각각의 방전조건별로 1~5분간 방전을 진행하여 해수내의 유리염소의 농도 변화를 살펴본 결과 방전모드가 글로우 또는 아크 방전 모드에서 단위 에너지당 유리염소 발생 수율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 Efficacy of Pulmonary Rehabilitation Using Mechanical In-Exsufflator in Stroke Patients with Tracheostomy Tube (강제 양압식 호흡훈련이 기관절개관을 삽입한 뇌졸중 환자의 호흡재활에 미치는 효과)

  • Jang, Sang-Hun;Lee, Yean-Seop;Kim, Jin-Sa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7
    • /
    • pp.3030-303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mechanical in-exsufflator (MI-E) with on pulmonary rehabilitation in stroke patients with trachostomy tube. Methods: We studied ten stroke patients who had neither history nor radiologic finding of pulmonary disease. The pulmonary function was evaluated by measuring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 (FEV1) and forced expiratory ratio (FEV1/FVC) The capacity of cough was evaluated by measuring manual assisted peak cough flow (MPCF).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repeated ANOVA test. Results: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are significant improvement of FVC and FEV1 according to training period (p<.05). 2) There are significant improvement of MPCF according to training period (p<.05). Conclusion:These results suggest that MI-E training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herapeutic modality for improvement of pulmonary function and capacity of cough in stroke patients with tracheost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