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절 운동 범위

검색결과 437건 처리시간 0.038초

견관절의 해부학 및 생역학

  • 노규철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9년도 제7차 연수강좌
    • /
    • pp.3-17
    • /
    • 2009
  • 견관절은 우리 몸에서 가장 넓은 운동 범위를 나타내는 반면, 가장 불안정성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관절이다. 견관절을 이루는 해부학적 구조물들은 견관절 운동에 관여하지만 안정성 유지에도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은 견관절을 구성하는 해부학적 구조물들을 주로 기능과 병리 측면에서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정상 성인과 SLAP 병변이 있는 환자의 견관절 회전운동 (Rotational Motion of Shoulder in Normal Volunteer and SLAP Lesions)

  • 신동은;송상준;박형근;김재형;남기식;김재화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5-118
    • /
    • 2004
  • 목적: 정상 성인과 상부관절와순 병변으로 진단된 환자들의 내, 외회전 운동각을 측정하고 이들간의 차이를 통계학적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견관절경술을 통해 상부관절와순 병변으로 확인 된 38례(제1군)와 대조군으로는 40명(제2군)의 젊은 지원자를 대상으로 하여 수술 중 기록한 사진과 녹화된 동영상 그리고 관절 운동에 대해 분석 하였다. 관절 운동의 측정 방법은 1군은 마취 후에 앙와위 상태에서 견갑골 고정하에 외전 90도 상태에서 수동적으로 내회전과 외회전의 각도를 각각 측정 하였고 2군도 동일한 방법으로 수동적 관절 운동의 범위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결과는 Two sample T-test와 Wisconsin signed ranks test로 통계학적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제1군과 2군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제1군의 관절 운동 범위는 내회전평균 50도, 외회전 평균 터도, 제2군의 관절 운동 범위는 내회전 평균 7「도, 외회전 평균90도 이상으로 양 군간에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내회전 : p(0.001, 외회전 ; p(0.001).결론: 상부관절와순 병변이 있는 환자의 수동적 외회전 및 내회전은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감소되어 있으며 이는 상부관절와순 병변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Effect of Squat Exercise Using a Reformer on Muscle Strength, Range of Motion, and Gait in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Hip Replacement Surgery : A Pilot Study

  • Se-Ju Par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2호
    • /
    • pp.183-189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리포머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이 엉덩관절전치환술 환자의 근력, 관절가동범위 그리고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G시 소재의 재활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중재 방법으로 주 7회 2주간 실험군은 리포머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을, 대조군은 스쿼트 운동을 시행하였다. 리포머군의 그룹 내 비교에서는 엉덩관절 굽힘, 폄, 벌림 근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리포머군의 엉덩관절 폄과 벌림의 관절가동범위와 보행에서도 그룹 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그룹 간 비교에서는 엉덩관절 폄 근력, 엉덩관절 폄, 벌림 관절가동범위 그리고 보행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다(p<0.05).

경부안정화 운동이 민간 경비원의 목통증, 경부장애지수,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ervical Spinal Stabilization Training in Private Security on Chronic Neck Pain and Cervical Function, Neck Pain, ROM)

  • 김성호;권봉안;이완희
    • 시큐리티연구
    • /
    • 제25호
    • /
    • pp.89-107
    • /
    • 2010
  • 이 연구는 만성 경부통을 가진 민간 경비원들을 대상으로 경부 안정화 운동을 실시하여, 목통증, 경부장애지수, 관절가동범위, 근육통증, 재위치감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 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 지역 민간경비업체에 종사하는 직원 중 만성 경부통을 호소하는 21명을 대상으로 경부 안정화 운동그룹, 자세교정 운동그룹으로 무선 할당하여, 주3회, 8주간 운동을 실시하였다. 실험 전 후 설문지를 이용하여 목통증과 경부장애지수를 조사하였으며, 관절가동범위, 근육통증, 재위치감각 검사를 실시하여 실험 전 후 변화된 값을 비교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통증강도와 경부장애지수는 경부 안정화 운동그룹이 실험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관절가동범위, 근육통증, 재위치감각은 경부 안정화 운동그룹에서 실험 후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나, 자세교정 운동그룹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그룹 간 비교에서도 경부 안정화 운동그룹이 통증, 경부장애지수, 관절가동범위, 근육통증, 재위치감각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p<0.05). 본 연구 결과를 볼 때, 만성 경부통을 호소하는 민간 경비원들을 대상으로 경장근과 다열근과 같은 심부근육 강화에 초점을 둔 경부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이 일반적인 자세교정 운동프로그램보다 통증 및 목 기능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부 안정화 운동이 만성 경부통을 가진 민간 경비원들의 목 통증 감소와 기능 회복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 PDF

어깨재활운동 융합프로그램이 어깨수술 후 통증, 관절운동범위 및 운동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houlder Rehabilitation Exercise Convergence Program on Pain, Range of Motion and Exercise Self-efficacy After Shoulder Surgery)

  • 이혜림;김주성;조수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409-421
    • /
    • 2018
  • 본 연구목적은 어깨재활운동 융합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에 따라 어깨수술환자 5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에게는 동영상교육, 어깨재활운동 및 운동모니터링으로 구성한 어깨재활운동 융합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자료는 구조화된 질문지와 어깨관절운동범위를 측정하여 수집하였으며 기술통계, ${\chi}^2-test$, t-test 및 ANC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의 어깨통증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p<.001), 어깨관절운동범위와 운동자기효능감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38; p<.001). 그러므로 어깨재활운동 융합프로그램은 어깨수술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재활중재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임상실무영역에서 지속적인 융합중재개발의 확장이 요구된다.

진동적용이 견관절 유착성관절낭염 환자의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Range of Motion of Joint with Vibratory Stimulation of the Patients of Adhesive Capsulitis of the Shoulder)

  • 최우혁;이진환;민동기;최정희;신소홍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권2호
    • /
    • pp.77-8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견관절 유착성관절낭염 환자를 대상으로 진동자극 적용이 견관절 가동범위 증가에 미치는 치료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관절가동 범위 제한을 가지고 있는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로 실험군 15명과 대조군 15명을 나누어 실험을 하였다. 각 운동군은 주3회 4주간 실시하였고, 각도계를 사용하여 견관절 굴곡, 외전, 외회전을 측정 하였다. 결과는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4주 동안 어깨 굴곡, 외전 및 외부 회전운동 범위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따라서 진동 자극 적용은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의 가동범위를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이다.

깊은목굽힘근 강화운동과 등뼈 관절가동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전방머리자세와 목통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ep Neck Flexor Exercise and Thoracic Mobilization Exercise on Forward Head Posture and Neck Pain in Chronic Stroke)

  • 양선아;서동권;이병권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208-215
    • /
    • 2019
  • 본 연구는 깊은목굽힘근운동과 등뼈 관절가동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통증, 전방머리자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36명은 사전측정 후 무작위로 깊은목굽힘근군(DNFE), 등뼈 관절가동운동군(TROM), 대조군으로 각각 12명씩 배정되었다. 중재 전후에 통증(VAS), 두개척추각도(CVA), 두개회전각도(CRA), 전방머리내밈자세(FHP), 등뼈관절가동범위(TROM)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DNFE 군과 TROM 군은 중재 전후 VAS, CVA, CRA, FHP, TROM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두 군은 대조군에 비해 VAS, CVA, CRA, FHP, TROM에서 보였다(p<.05). 결론적으로 깊은목굽힘근운동과 등뼈 가동범위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전방머리자세와 목통증 회복에 효과적이었다. 그러므로 임상에서 뇌졸중 환자 중재프로그램에 깊은목굽힘근운동과 등뼈 가동범위운동을 적극적으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슬링 운동이 무릎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여성 환자의 근력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ling Exercise on Muscular Strength and Range of Motion in Female Patients who Received Total Knee Replacement)

  • 배창환;정연우;이동우;조성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395-4403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무릎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여성 환자에게 슬링 운동을 적용하여 무릎관절의 근력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참여자는 2그룹 나누어 슬링 운동군 15명, 대조군 15명으로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대상자들은 근력 검사를 위해 Biodex system를, 관절가동범위 검사를 위해 각도기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데이터의 분석은 통계적 유의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서 대응표본 t-검정과 독립 t-검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슬링 운동군은 중재 전후 굽힘 각, 넙다리네갈래근, 뒤넙다리근 근력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대조군은 중재 전후 굽힘 각, 폄 각, 넙다리네갈래근, 뒤넙다리근 근력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무릎관절 근력과 굴곡 관절 가동범위는 슬링 운동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슬링 운동법이 무릎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근력과 관절 가동범위에서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차원 아바타를 이용한 관절 가동 범위 시각화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Range of Motion Visualization System using 3D Avatar)

  • 윤창락;장윤섭;김재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03-304
    • /
    • 2022
  • 근골격계 질환 재활환자들의 신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주요 측정 도구로 관절 가동 범위(ROM: Range of Motion)가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근골격계 환자들의 재활운동을 통한 관절 가동 범위 정보를 시각적 이해하기 용이하도록 서비스하기 위하여 3차원 아바타를 이용한 관절 가동 범위 시각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3차원 아바타를 이용한 관절 가동 범위 시각화 시스템은 근골격계 질환 재활환자들의 관절 가동 범위 데이터를 3차원 아바타의 대응하는 관절 작동 범위로 사상하고 다양한 시점으로 시각화하거나 애니메이션으로 재현함으로써 재활 수준의 변화를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12주의 어깨 안정성 회복 프로그램이 견관절 불안정성 야구선수의 관절가동범위, 근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12-week Shoulder Stability Rehabilitation Program on the Range of Motion and Muscle Strength of Baseball Players with Shoulder Instability)

  • 윤진호;오재근;송기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77-286
    • /
    • 2021
  • 이 연구는 12주간 재활 운동프로그램이 어깨 불안정성을 가진 고등학교 야구선수들의 관절가동범위와 근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어깨 불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된 재활 운동군 12명과 정상 운동군 13명을 선정하였다. 12주간 재활운동 참가 전·후 내·외회전 관절가동범위는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등속성 근력은 이원변량 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 하였다. 관절가동범위는 불안정이 있는 우위측과 비-우위측 어깨의 경우 재활운동 전·후 내회전 ROM이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Total ROM의 경우 불안정이 있는 우위측 어깨에서 재활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했다. 등속성 근력의 경우 재활운동 후 내회전 근력이 각속도 180°/sec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12주간 재활운동 프로그램이 어깨 불안정성 환자의 ROM, 근력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제한적 결과에 미루어 재활기간의 연장을 전제로 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