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절질환

Search Result 75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rthroscopic Treatment of Mixed Pyogenic and Tuberculous Arthritis of Shoulder Joint (견관절의 화농성 및 결핵성 복합 관절염의 관절경적 치료 - 증례보고 -)

  • Ko, Sang-Bong;Kim, Shin-Keun;Choi, Won-Kee;Park, Jae-Hyun;Choi, Chang-Hyuk
    • Journal of the Korean Arthroscopy Society
    • /
    • v.12 no.2
    • /
    • pp.129-133
    • /
    • 2008
  • Although the incidence of tuberculosis has been decreased due to new anti-tuberculous agents, improved socioeconomic status and development of multimodal preventive methods, in recent that is increased due to low vaccination rate and appearance of multidrug resistence organism. And the incidence of pyogenic shoulder joint arthritis is increasing due to frequent injection therapy as primary treatment. We have managed the mixed shoulder joint arthritis-pyogenic and tuberculous-with arthroscopic debridement and antituberculous medication successfully and then we report this case with relevant literatures.

  • PDF

지혜 깊어지는 건강_활기찬 실버 세대: 퇴행성 관절염, 쑤시기 전 관절 스트레칭 쭉쭉

  • Park, Jun-Sik
    • 건강소식
    • /
    • v.35 no.7
    • /
    • pp.24-25
    • /
    • 2011
  •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이 마모되면서 뼈끼리 맞닿아 마찰을 이루면서 통증, 부종, 염증뿐 아니라 관절 변형 및 운동 장애까지 불러오는 질환이다. 50세 이상의 노년층에서 가장 흔히 찾아볼 수 있으며, 손가락, 발가락부터 허리, 고관절 등 전신의 어느 부위에서나 나타날 수 있다.

  • PDF

Rehabilitation after operation

  • 최창혁
    • The Academic Congress of Kore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 /
    • 2003.11a
    • /
    • pp.84-90
    • /
    • 2003
  • 최근 견관절 질환 치료의 발전에 힘입어 술 후의 유병율을 줄이고, 보다 견고한 조직 복원이 가능해 짐으로써 운동사슬(kinetic chain)의 생리적이고 생 역학적인 복원을 위한 재활치료를 조기에 시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조기재활 치료는 술 전 적절한 준비, 해부학적인 수술적 치료, 술 중 적절한 운동범위의 회복, 술 후 조기 보조 및 능동 보조운동, closed chain-axial loading rehabilitation protocol, 재활치료 중 기능적 관절위치 유지 및 기능회복에 따른 생리적 호전 등의 원칙을 통해 견관절의 여러 질환의 재활치료에 적용할 수 있다. 견관절의 조기 재활치료 시 통증은 근육의 조화운동을 저해하게 되며 관절의 안정적인 운동과 기능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시각 측정표를 이용한 4이하의 통증범위에서, 관절의 위치와 팔 및 몸의 운동 그리고 근육의 작용을 잘 관찰하는 가운데 운동을 함으로써 통증으로 인한 근억제 효과를 줄이며, 보다 조기에 안전하게 일상생활 및 운동복귀를 할 수 있다.

  • PDF

악안면동통환자의 진단과 치료

  • Kim, Yeong-Gu;Jeong, Seong-Chang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32 no.12 s.307
    • /
    • pp.836-837
    • /
    • 1994
  • 악관절질환 중 개구장애, 관절통 관절잡음을 주증상으로 하는 악관절증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대한 치료개념과 접근방법도 다양해지고 있다.

  • PDF

A Clinical Study of the Severe Degenerative Diseases of Temporomandibular Joint (퇴행성 악관절 질환에 대한 임상적 연구)

  • Kim, Il-Kyu;Oh, Seong-Seob;Choi, Jin-Ho;Kim, Hyung-Don;Oh, Nam-Sig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v.21 no.3
    • /
    • pp.270-276
    • /
    • 1999
  • 저자등은 1996년 5월 부터 1999년 4월까지 인하대병원 치과에 악관절 질환을 주소로 내원한 958명의 환자 중 병력, 임상소견, 방사선학적 검사 결과 퇴행성 악관절 질환으로 진단된 68명에서 병록지 상에 기록된 환자의 성별, 나이, 주소, 병력, 현증상, 방사선학적 소견 및 치료방법 등에 관해 검사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남녀 발병 비율은 1:2로 여성에서 높았다. 2. 발병나이는 20대, 30대. 40대, 10대 순이었다. 3. 병력기간은 2년이상, 6개월이하, 1 - 2년 순이었다. 4. 전 환자에서 악관절 동통을, 44명의 환자에서 관절잡음을, 26명의 환자에서 개구제한을 호소하였다. 5. 그밖에 26명의 환자에서 관절부위에 민감성을, 5명의 환자에서 안면 비대칭을, 또한 개교합, 섬유성 악관절강직의 소견이 각각 2명의 환자에서, 양측성질환의 소견이 4명의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6. 방사선학적 소견상, 15명 환자의 과두부에서 증식성 재성형소견(progressive remodeling)이, 51명의 환자에서 침식성 재성형소견(regressive or erosive remodeling)이 관찰되었으며, 침식성 재성형 환자 중 11명에서 과두주변부 증식성 재성형소견(peripheral remodeling or marginal lipping)이 관찰되었다. 7. 골증식체(osteophyte) 및 소성체(loose body)의 소견이 각각 2명의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8. 약물에 의한 보존적 치료방법이 1차로 모든 환자에서 시행되었으며, 이중 12명의 환자는 교합안정장치를 병행하여 치료하였다. 9. 관절강내 스테로이드 주사요법에 의한 치료환자가 2명, 관절원판절제술 및 이개연골 이식술을 동반한 악관절성형술 환자가 각각 1명 및 2명이었다.

  • PDF

The Validity of Computed to Mography in Diagnosis of Temporomandibular Joint Osteoarthritis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 진단에 있어 전산화 단층촬영의 유용성)

  • Jeon, Young-Mi;Choi, Jong-Hoon;Kim, Seong-Taek;Kwon, Jeong-Seung;Ahn, Hyung-Joo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3 no.2
    • /
    • pp.195-204
    • /
    • 2008
  • Osteoarthritis is caused by joint degeneration, a process that includes progressive loss of articular cartilage accompanied by attempted repair of articular cartilage, remodeling and sclerosis of subchondral bone, and osteophyte formation. The most common causative factor that either causes or contributes to osteoarthritis is overloading of the articular structures of the joint. The diagnosis of temporomandibular joint(TMJ) osteoarthritis is based on the patient's history and clinical findings such as limited mandibular opening, crepitation and tenderness to palpation on TMJ. The diagnosis is usually confirmed by TMJ radiographs, which will reveal evidence of structural changes in the subarticular bone of the condyle or fossa. Plain radiography techniques such as panoramic, transcranial, transpharyngeal views can be used in most dental offices for evaluation of the TMJs. However, plain radiographs are often limited due to overlapping and distortion of anatomical structur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linical examination and panoramic view with computed tomography for diagnosis of temporomandibular degenerative joint disease, and to compare the findings of condylar bony changes through panoramic radiography with that of computed tomography, hence, to confirm the limitations of clinical and panoramic radiography, and the validity of the computed tomography for diagnosis of temporomandibular degenerative joint disease. The pathophysiology of the TMJ osteoarthritis remains poorly understood, and current treatments are based more on speculation than science, and symptomatic treatments often fail to provide satisfactory pain relief. For diagnosis of TMJ osteoarthritis, clinical examination and radiographic examination for confirmation of the bony changes are essential, and computed tomography are clearly superior to plain radiographs for their limitations.

Wrist Arthroscopy (완관절 관절경)

  • Park, Min Jong
    • Journal of Korean Orthopaedic Sports Medicine
    • /
    • v.11 no.1
    • /
    • pp.17-23
    • /
    • 2012
  • Wrist arthroscopy has gained popularity and it is applied to a variety of disease for diagnosis and management. In this review article, recent literature review as well as traditional indications is described.

  • PDF

건강관리코너 - 성인비만

  • Jo, Su-Hyeon
    • 방재와보험
    • /
    • s.100
    • /
    • pp.50-51
    • /
    • 2004
  • 요즘 비만은 대사성증후군의 하나로, 질병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한 이유는 비만한 사람이 의학적으로 뿐 아니라, 사회적, 정신적으로도 장애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비만과 관련된 질환으로는 제2형 당뇨병, 고혈압, 뇌졸증, 심장질환, 고지혈증, 골관절염, 위장관질환, 담낭질환, 수면무호흡증, 암, 통풍, 정서장애, 수면장애, 섭식장애, 불임이 있으며, 그 외에도 다낭성 난소증후군 등 산부인과 질환이 있다.

  • PDF